‘마음’을 통한 한용운 문학의 불교해석학적 고찰
‘마음’을 중심으로 한 해석학적 고찰의 시도는 불자이자 독립운동가이며 시인이었던 한용운의 다양한 면모들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유리한 입지점을 제공함으로써 한용운이 일구었던 정신적 세계 및 형성해갔던 정체성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마음’은 불교적 세계관의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승려였던 한용운이 중점적으로 성찰하고 다스리고자 했던 부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용운은 불교적 세계에서 추구하는 초월과 해탈에의 지향성 대신 현실에의 정착과 사회에의 참여를 추구하는데 여기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모순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no. 29; pp. 119 - 14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12.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9.201012.005 |
Cover
Summary: | ‘마음’을 중심으로 한 해석학적 고찰의 시도는 불자이자 독립운동가이며 시인이었던 한용운의 다양한 면모들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유리한 입지점을 제공함으로써 한용운이 일구었던 정신적 세계 및 형성해갔던 정체성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마음’은 불교적 세계관의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승려였던 한용운이 중점적으로 성찰하고 다스리고자 했던 부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용운은 불교적 세계에서 추구하는 초월과 해탈에의 지향성 대신 현실에의 정착과 사회에의 참여를 추구하는데 여기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모순을 통해 결국 자신의 세계를 형성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용운은 불자로서의 정체성과 조국에의 신념 어느 한 편도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지 않았는데 이때 ‘마음’은 이 두 세계간의 긴장과 통합을 이루어내는 장(場)에 해당되었다. 한용운은 ‘마음’의 무상성과 실체성 간의 모순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이를 실천을 통해 통합하고자 함으로써 실제로 유의미한 창조적 성과를 발휘한다. ‘조선불교유신론’이 논리적 차원의 해명이라 한다면 시 「님의 침묵」은 현실에서 일구어낸 새로운 창조에 해당한다. ‘조선불교유신론’의 획기적 성격과 「님의 침묵」의 강한 감동은 우연이나 관념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마음’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해 가려했던 한용운의 치열한 삶에 의해 빚어진 결과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그의 시에 나타난 ‘님’은 단순한 대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다루기 위한 방법적 역할을 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용운의 시에서 열렬한 사랑의 대상으로 나타나는 ‘님’은 한용운이 단지 맹목적으로 추구한 자였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마음’을 도출하기 위한 전략적 담론의 계기에 해당했다는 것이다. 한용운은 ‘님’을 통해 ‘마음’을 초점화하고 ‘님’에 의해 ‘마음’을 형성해나갔다. 이로써 ‘마음’은 초월이 아닌 ‘세계 내’의 것이 될 수 있었고 나아가 일제 식민지라는 조건에 대응해 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한용운의 시는 불자로서의 정체성과 독립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이 상호 긴장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한 것이며 ‘마음’의 불교적 무상성과 현실적 실체성이 결합된 성질의 것임을 의미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 of mind in Han YongWoon's literature. As mind is main concept of Buddhism, it is a method of understandig in Han YongWoon's literature. Han YongWoon discords between the emptiness and actuality in mind. He pursued the deliverance and actual arguing at the same time.
Here, mind is specific energy. So Han YongWoon concentrates on mind by the Nim and through this makes the Nim center of power. Energetic mind becomes new creature. Nim is object of pursuit and method of mind-becoming, too. This means the unity of emptiness and actuality in mind.
In Han YongWoon' poetry, <The Silence of Nim> is the most splendid model in the unity of mind. Han YongWoon shows impressive creation in the <The Silence of Nim>. Mind becomes the emptiness and actuality at the same time.
Such features appear Han YongWoon' discourse. Through his discourse, Han YongWoon asserts the unity of emptiness and actuality in mind and social activity of Buddhism. This results from the situation of colony in Cho-sun. Han YongWoon would overcome the colonialism through the mind, the unity of the emptiness and actuality.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1014.2010..29.010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9.201012.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