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 23일부터 7월 11일까지 S시와 C시의 4개 대학 간호학과 3, 4학년에 재학 중인 20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2) Vol. 14; no. 12; pp. 369 - 377
Main Authors 홍성실(Sungsil Hong), 박미정(MiJeo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2.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12.3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 23일부터 7월 11일까지 S시와 C시의 4개 대학 간호학과 3, 4학년에 재학 중인 20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3.56점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상실습 스트레스(p<.001)와 무력감(p<.001)은 간호전문직관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무력감을 모두 포함한 예측 모형의 설명력은 22.1%였고(p<.001),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임상실습으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들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의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urvey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on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205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S and C Citie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3 to July 11, 2014,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core for subjects'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56 on 1 to 5 point scal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higher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eco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hown by clinical practice stress (p<.001) and helplessness (p<.001).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redictive model involving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was 22.1% (p<.001), and the subjects'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were identified as main factors having influenc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KCI Citation Count: 34
Bibliography:G704-001475.2014.14.12.059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12.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