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비교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및 경북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참여를 동의한, 간호 대학생 231명, 일반 여자대학생 174명으로 총 405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Kim GH et al.(1991)의 대학생용 스트레스 척도 도구를, 우울은 Jeon GG et al.(1992)가 한국판으로 번역한 것으로 CES-D (Center for Epidemiolog...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18; no. 2; pp. 119 - 12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7.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및 경북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참여를 동의한, 간호 대학생 231명, 일반 여자대학생 174명으로 총 405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Kim GH et al.(1991)의 대학생용 스트레스 척도 도구를, 우울은 Jeon GG et al.(1992)가 한국판으로 번역한 것으로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Sherer et al.(1982)이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Hong HY(1995)이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방법은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스트레스 정도, 우울, 자기효능감간의 비교는 카이검정을 하였으며,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 우울, 자기효능감간의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 대학생의 변수간의 상관분석은 pearson correlation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은 일반 여자대학생 비해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자기 효능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ss, depression, self-efficacy between nursing student and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40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is study compared nursing students study the results of stress and depression than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is much low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Of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and nursing student and the general stress, depression, self-efficacy correlated with lower stress and depression low, the self-efficacy was higher. (Korean J Str Res 2010;18:119∼124) KCI Citation Count: 38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0.18.2.005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