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부 신전손상의 연부조직 손상
목 적: 신전손상에 의한 하경추부 외상에서 연부조직의 손상을 MRI로 분류하여 신전손상의 정도를 진단하고 또한 연부조직 손상 정도와 척수 손상의 발생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하경추부 신연-신전손상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 MRI를 촬영하였으며 연부조직 손상의 정도를 5단계로 세부 분류하였다.결 과: 후종 인대 파열이 동반된 3단계 이상의 연부조직 손상에서 척수 손상이 발생되었다(p<0.01). 척수 신호 강도의 변화도 연부조직 손상 단계가 증가할...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2; no. 4; pp. 433 - 443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신전손상에 의한 하경추부 외상에서 연부조직의 손상을 MRI로 분류하여 신전손상의 정도를 진단하고 또한 연부조직 손상 정도와 척수 손상의 발생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하경추부 신연-신전손상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 MRI를 촬영하였으며 연부조직 손상의 정도를 5단계로 세부 분류하였다.결 과: 후종 인대 파열이 동반된 3단계 이상의 연부조직 손상에서 척수 손상이 발생되었다(p<0.01). 척수 신호 강도의 변화도 연부조직 손상 단계가 증가할수록 많이 발생하였다(p<0.01).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연부조직 손상과 척수 손상과는 관계가 없었다(p=0.45).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7.42.4.005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