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강내 금속정 삽입 후 외 고정 장치를 이용한 대퇴골 연장술
목 적: 하지 부동 환자들에서 골수강 내 금속 정 삽입 후 외 고정 장치를 이용한 대퇴골 연장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 및 합 병증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명의 환자들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평균 3.2년(범위, 2-5.2년) 추시하였으며, 수술 당시의 나이는 평균 22.2세(범위, 13-35세)였다. 연장된 대퇴골의 길이는 평균 5 cm (범위, 2.7-8.1 cm)였으며, 외 고정 장치는 수술 후 평균 135.9일(범위, 59-210일)에 제거하였다. 외 고정 장치의 장착률은 평균 23.8일/cm (범위, 11...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39; no. 7; pp. 812 - 818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하지 부동 환자들에서 골수강 내 금속 정 삽입 후 외 고정 장치를 이용한 대퇴골 연장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 및 합
병증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명의 환자들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평균 3.2년(범위, 2-5.2년) 추시하였으며, 수술 당시의 나이는 평균
22.2세(범위, 13-35세)였다. 연장된 대퇴골의 길이는 평균 5 cm (범위, 2.7-8.1 cm)였으며, 외 고정 장치는 수술 후 평균
135.9일(범위, 59-210일)에 제거하였다. 외 고정 장치의 장착률은 평균 23.8일/cm (범위, 11.1-34.7일/cm)이었다.
결 과: 22명 중 19명에서 수술 전 목표치만큼 대퇴골 연장이 가능하였으나, 골수염의 발생으로 조기에 골수강 내 금속 정
을 제거하여 실패한 경우가 3예 있었으며, 이들은 기존 대퇴골 단축의 원인으로 골수염 또는 개방성 골절 후의 감염 처치
술 등의 병력이 있던 환자들이었다. 대퇴골의 연장률이 20% 이상인 환자 중에서 슬관절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가 4예
있었는데, 이는 슬개골의 아탈구 3예, 후방 아탈구 1예 등이었다. 그 외 다른 합병증으로 연장 골의 함몰과 함께, 교합 나
사의 파손이 발생한 경우가 1예 있었다.
결 론: 골수강 내 금속 정 삽입 후 외 고정 장치를 이용한 대퇴골 연장술은 외 고정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합병증의 발생에 유의하여야 한다. Purpose: The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femoral lengthening over an intramedullary nail with a external
fixator in patients with limb length discrepanc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aterials and Methods: After lengthening 22 femoral segments, all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
mean of 3.2 years (range, 2 to 5.2 years). They ranged in age from 13 to 35 years (average age, 22.2 years)
at the time of the index procedure. The mean lengthening was 5 cm (2.7 to 8.1 cm), and the external fixator
was removed after a median 135.9 days (range, 59 to 210 days). The mean external fixation index was
23.8 days/cm of lengthening (range, 11.1 to 34.7 days/cm of lengthening).
Results: Nineteen patients achieved the length of their pre-operative goal. However, there were 3 failures
with osteomyelitis and the removal of the nail, which had a past history of infection or open trauma.
There were 4 knee joint complications when the lengthening was over 20%. These included three cases
of a patella subluxation and one case of a posterior knee subluxation. In the other complications, there
was one case of a collapse in the lengthened segment with a breakage of the locking screws.
Conclusion: Although lengthening over a nail can reduce the duration of external fixation, caution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4.39.7.005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