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굴곡형과 비고도 굴곡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추시결과 비교연구

=목 적: 고도 굴곡형과 비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술 후 임상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술 전 후속 굴곡이 120도 이상인 52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환자군(고도 굴곡군)은 35예, 비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환자군(이하 비고도 굴곡군)은 17예였다. 양 군의 술 전과 술 후 3개월, 6개월, 1년, 2년 및 3년의 후속 굴곡 그리고 후속 굴곡의 호전 정도인 Delta 굴곡을 비교하였다. 술 전과 술 후 3년의 슬관절 점수 및 슬관절 기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2; no. 3; pp. 360 - 365
Main Authors 문정석(Jeong-Seok Moon), 유건식(Kun-Sik Yu), 하철원(Chul-Won 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고도 굴곡형과 비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술 후 임상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술 전 후속 굴곡이 120도 이상인 52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환자군(고도 굴곡군)은 35예, 비고도 굴곡형 인공 슬관절 환자군(이하 비고도 굴곡군)은 17예였다. 양 군의 술 전과 술 후 3개월, 6개월, 1년, 2년 및 3년의 후속 굴곡 그리고 후속 굴곡의 호전 정도인 Delta 굴곡을 비교하였다. 술 전과 술 후 3년의 슬관절 점수 및 슬관절 기능 점수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결 과: 술 후 3개월에 고도 굴곡군이 비고도 굴곡군에 비해 더 많은 후속 굴곡을 보였으나(p=0.000), 이후 양 군 간 차이는 없었다(p>0.05). Delta 굴곡도 술 후 3개월에서만 고도 굴곡군의 후속굴곡 호전 정도가 더 컸다(p=0.000). 술 후 3년에 슬관절 점수 및 슬관절 기능 점수와 방사선학적 결과는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07.42.3.016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