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의 분석

목 적: 골다공성 골절군과 정상 대조군을 남, 여 성별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골밀도의 감소와 골교체의 이상이 골다공성 골절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3년 8월 까지 교통사고 및 추락 등 고에너지 손상이 아닌낙상 등 저 에너지 손상으로 인한 고관절부 골절로 본원에서 치료한 76명과 대조군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군은 남자가 22예, 여자가 54예이었고 평균나이는 남자가 67.2 (51-79)세이었고, 여자가 71.1 (55-8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39; no. 3; pp. 323 - 328
Main Authors 김신윤(Shin Yoon Kim), 정호성(Ho Sung Jung), 박일형(Il Hyung Park), 박병철(Byung Chul Park), 박의균(Eui Kyun Park), 김기수(Ghi Su Kim), 하용찬(Yong Chan 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골다공성 골절군과 정상 대조군을 남, 여 성별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골밀도의 감소와 골교체의 이상이 골다공성 골절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3년 8월 까지 교통사고 및 추락 등 고에너지 손상이 아닌낙상 등 저 에너지 손상으로 인한 고관절부 골절로 본원에서 치료한 76명과 대조군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군은 남자가 22예, 여자가 54예이었고 평균나이는 남자가 67.2 (51-79)세이었고, 여자가 71.1 (55-87)세이었다. 대조군은 남자가 22예, 여자가 61예이었고, 평균나이는 남자가 67.9 (57-85)세, 여자가 70.1 (60-80)세이었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골대사 지표로는, 혈청 골 특이성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와 혈청 osteocalcin을 골 형성지표로 측정하였고, 골흡수 지표로 요 deoxypyridinoline을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골 특이성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의 평균값은 남녀 모두 골절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osteocalcin의 평균값도 남녀 모두 골절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요디옥시피리디놀린의 평균값은 남녀 모두 골절군과 대조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DEXA를 이용하여 측정한 Tscore의 평균값은 남녀 모두 골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 론: 골다공성 골절군에서 남녀 모두 대조군보다 골밀도 및 골형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골밀도의 감소와 골형성의 저하가 골다공성 골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of an osteoporotic hip fracture group with those of a control group. Materials and Methods: The fracture group included 76 patients with hip fractures who were injured by low energy trauma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3.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83 patients recruited over the same period. There were 22 men and 54 women in the fracture group, with an average age of 67.2 years for men and 71.1 years for women.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22 men and 61 women, of average age 67.9 years for men and 70.1 years for women. There were no siginificant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or body mass index. We analyzed BMD by 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 and osteocalcin were used as markers of bone formation and urine-deoxypyridinoline (DPD) as a maker of bone resorption. Results: B-AL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acture group (p<0.05). Also, average serum osteocalci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acture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e-DPD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values of BMD i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actur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decreased BMD contributes to hip fractures in elderly people and that B-ALP and serum osteocalcin rather than urine-DPD are reliabl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osteoporotic hip fracture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908.2004.39.3.01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