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중독과 직무열의의 결과변수에 대한 비교 연구
본 연구는 일중독과 직무열의의 통합모형을 통해서 개념적 및 실증적으로 두 변수의 차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개념의 결과변수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일중독과 직무열의는 오랜 시간 일한다는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외견적으로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학문적으로도 일중독에 관해 연구결과가 일관성을 보이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존 연구들은 두 개념과 관련하여 별도의 결과변수 또는 동일한 결과변수들을 각 개념의 독립된 연구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서 동...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25; no. 5; pp. 2341 - 236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8.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일중독과 직무열의의 통합모형을 통해서 개념적 및 실증적으로 두 변수의 차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개념의 결과변수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일중독과 직무열의는 오랜 시간 일한다는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외견적으로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학문적으로도 일중독에 관해 연구결과가 일관성을 보이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존 연구들은 두 개념과 관련하여 별도의 결과변수 또는 동일한 결과변수들을 각 개념의 독립된 연구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서 동일한 결과변수에서 다른 관계성을 보이고 있음을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중독이 심할 수록 일-가정 갈등이 심해지는 반면 직무열의는 높을 수록 일-가정 갈등이 감소하였다. 둘째, 일중독이 심할수록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은 감소하는 반면 직무열의는 높아질수록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중독 성향이 높은 구성원이나 직무열의가 높은 구성원 모두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workaholism and job engagement through the integral research model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To do this, we compare and annalize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se concept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orkaholism from job engagement, for both of the concept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long-time working. Therefore, the results of study of workaholism are not consistent. The existing studies suggest the its own research model respectivel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oncepts, we suggest the integral research model and verify that they show the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the sam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more workaholism an employee has, the more work-family conflict he or she suffer from, while the more job engagement he or she has, the less work-family conflict he or she does. Second, workaholism decreases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f a employee, while job engagement increase it. Finally, both of workaholism and job engagement show the low level of turnover intention. KCI Citation Count: 30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2.25.5.005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