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의 혈청 코티졸, 통증,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의 혈청 코티졸, 통증,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대상자는 대구시 K 대학병원 호스피스 완화병동에 입원한 환자로서 실험군 34명과 대조군 33명으로 총 67명이었다. 실험처치는 2004년 5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실험군은 실내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매일 30분씩 20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호스피스 완화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간호가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호스피스 환자의 생리적 반응으로 혈청 코티졸과 통증을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으로 불...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24; no. 1; pp. 95 - 10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03.2006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의 혈청 코티졸, 통증,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대상자는 대구시 K 대학병원 호스피스 완화병동에 입원한 환자로서 실험군 34명과 대조군 33명으로 총 67명이었다. 실험처치는 2004년 5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실험군은 실내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매일 30분씩 20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호스피스 완화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간호가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호스피스 환자의 생리적 반응으로 혈청 코티졸과 통증을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으로 불안 및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χ2-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혈청 코티졸(F=9.800,p=0.003),통증(F=13.740,p=0.000),불안(F=85.662, p=0.000) 및 우울(F=42.279, p=0.000)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환자의 생리적심리적 반응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와서 환자의 증상완화와 안위에 기여하였으며, 향후 임상에서 원예치료가 호스피스 완화요법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rum cortisol,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non-synchronized design. The experimental unit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34, the control group of 33, and the total 67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a 30-minute every day for 20 day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erformed routine care of hospice palliative unit. As of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de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serum cortisol (F=9.800, p=0.003), pain (F=13.740, p=0.000), anxiety (F=85.662, p=0.000) and depression (F=42.279, p=0.00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improve recovery and comfort of the hospice patients in the hospital field. KCI Citation Count: 11 |
---|---|
Bibliography: | G704-000900.2006.24.1.013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