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조기 추적 BNP 수치와 울혈 정도 및 예후와의 관계
배경 및 목적:임상 양상에 따른 BNP 수치의 변화는 다양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초기에 울혈 상태에 따른 BNP 수치의 감소 정도 및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으로 진단된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울혈 상태에 따라 다음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Ⅰ군은 부종, 수포음이 있고 흉부 사진상 폐울혈이 있는(clinical & radiologicalwet status) 환자군, Ⅱ군은...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200 - 207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3.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5520 1738-5555 |
Cover
Abstract | 배경 및 목적:임상 양상에 따른 BNP 수치의 변화는 다양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초기에 울혈 상태에 따른 BNP 수치의 감소 정도 및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으로 진단된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울혈 상태에 따라 다음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Ⅰ군은 부종, 수포음이 있고 흉부 사진상 폐울혈이 있는(clinical & radiologicalwet status) 환자군, Ⅱ군은 부종, 수포음은 없으나 단순 흉부 사진 상 폐울혈이 있는(clinical dry & radiologicalwet status) 환자군, Ⅲ군은 부종, 수포음이 없고 단순 흉부 사진 상 폐울혈이 없는(clinical & radiological drystatus) 환자군으로 정의하였다. 초기 BNP 수치, 조기 추적BNP 수치(평균 2.2개월) 및 임상 변수와의 예후와 연관성을분석하였고 불량한 예후는 심부전의 악화로 인한 재입원, 주요 심장 사건 및 심장사가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세였고 성별은 남성이 50%였
다. 기저 심질환은 허혈성 심질환이 가장 흔하였고(35.8%)
심부전의 악화 인자는 심근 허혈이 가장 흔하였다(44.2%).
평균 NYHA 수치는 2.79였다. Ⅰ군은 61.7%(n=74), Ⅱ군은
24.1%(n=29), Ⅲ군은 14.2%(n=17)였다. 내원 시 BNP 수치
는 Ⅰ, 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Ⅰ군 1540.4±
1202.8, Ⅱ군 1482.8±1281.6, Ⅲ군 666.4±827.9 pg/mL,
p=0.036) 조기 BNP 감소율도 Ⅰ, 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다(Ⅰ군 69.8±27.1, Ⅱ군 67.4±32.8, Ⅲ군 1.3±
144.9%, p=0.007). 임상 결과가 불량한 환자는 13.3%(n=
16)였고 임상 결과와의 연관성은 단변량 분석 결과 조기 BNP
감소율 및 크레아티닌 수치(p=0.004, p=0.029), 다변량 분
석 결과 크레아티닌 수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0.048).
결 론:
심부전 환자에서 조기 추적 BNP는 환자의 울혈 상태에 따
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환자의 예후와 연관성이 있을 가
능성이 있고 크레아티닌 수치는 환자의 예후와 연관이 있으
며 BNP 조기 추적 검사는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유용한 임
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A correlation between the BNP reduction ratio and prognosis could be expected to
be found by evaluating the BNP reduction depending on the volume status during the early period. Subjects and
Methods::::Between October 2002 and June 2004, 120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AHF)(<1 month) were
includ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volume status, as follows. Group I: patients
with clinical & radiological wet status, Group II: clinical dry & radiological wet status and Group III: clinical &
radiological dry status. The blood BNP (Triage??) level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The bad prognostic
parameters were defined as readmission due to heart failure, a major adverse cardiac event or cardiovascular death.
Results::::The mean patient age was 68.0±12.7 years, and 50.0% of the subjects were male. The most frequent
etiology of AHF was ischemic heart disease (35.8%). There were 61.7, 24.1 and 14.2% in Groups I, III and III,
respectively. The baseline BNP level was higher in group I and II than in group III patients (I: 1540.4±1202.8,
II: 1482.8±1281.6, III: 666.4±827.9 pg/mL, p=0.036) as was the early BNP reduction ratio (I: 69.8±27.1, II:
67.4±32.8, III: 1.3±144.9%, p=0.007). Sixteen (13.3%) patients had a poor prognosis. From a logistical analysis,
the early BNP reduction ratio (p=0.004) and creatinine level (p=0.02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linical
outcomes. Conclusion::::The early change in the BNP level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gestive status,
and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linical outcomes. Therefore, in our opinion, the early monitoring of the
BNP level will provide significant clinical information in AHF patients. KCI Citation Count: 4 |
---|---|
AbstractList | 배경 및 목적:임상 양상에 따른 BNP 수치의 변화는 다양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초기에 울혈 상태에 따른 BNP 수치의 감소 정도 및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으로 진단된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울혈 상태에 따라 다음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Ⅰ군은 부종, 수포음이 있고 흉부 사진상 폐울혈이 있는(clinical & radiologicalwet status) 환자군, Ⅱ군은 부종, 수포음은 없으나 단순 흉부 사진 상 폐울혈이 있는(clinical dry & radiologicalwet status) 환자군, Ⅲ군은 부종, 수포음이 없고 단순 흉부 사진 상 폐울혈이 없는(clinical & radiological drystatus) 환자군으로 정의하였다. 초기 BNP 수치, 조기 추적BNP 수치(평균 2.2개월) 및 임상 변수와의 예후와 연관성을분석하였고 불량한 예후는 심부전의 악화로 인한 재입원, 주요 심장 사건 및 심장사가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세였고 성별은 남성이 50%였
다. 기저 심질환은 허혈성 심질환이 가장 흔하였고(35.8%)
심부전의 악화 인자는 심근 허혈이 가장 흔하였다(44.2%).
평균 NYHA 수치는 2.79였다. Ⅰ군은 61.7%(n=74), Ⅱ군은
24.1%(n=29), Ⅲ군은 14.2%(n=17)였다. 내원 시 BNP 수치
는 Ⅰ, 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Ⅰ군 1540.4±
1202.8, Ⅱ군 1482.8±1281.6, Ⅲ군 666.4±827.9 pg/mL,
p=0.036) 조기 BNP 감소율도 Ⅰ, 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다(Ⅰ군 69.8±27.1, Ⅱ군 67.4±32.8, Ⅲ군 1.3±
144.9%, p=0.007). 임상 결과가 불량한 환자는 13.3%(n=
16)였고 임상 결과와의 연관성은 단변량 분석 결과 조기 BNP
감소율 및 크레아티닌 수치(p=0.004, p=0.029), 다변량 분
석 결과 크레아티닌 수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0.048).
결 론:
심부전 환자에서 조기 추적 BNP는 환자의 울혈 상태에 따
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환자의 예후와 연관성이 있을 가
능성이 있고 크레아티닌 수치는 환자의 예후와 연관이 있으
며 BNP 조기 추적 검사는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유용한 임
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A correlation between the BNP reduction ratio and prognosis could be expected to
be found by evaluating the BNP reduction depending on the volume status during the early period. Subjects and
Methods::::Between October 2002 and June 2004, 120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AHF)(<1 month) were
includ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volume status, as follows. Group I: patients
with clinical & radiological wet status, Group II: clinical dry & radiological wet status and Group III: clinical &
radiological dry status. The blood BNP (Triage??) level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The bad prognostic
parameters were defined as readmission due to heart failure, a major adverse cardiac event or cardiovascular death.
Results::::The mean patient age was 68.0±12.7 years, and 50.0% of the subjects were male. The most frequent
etiology of AHF was ischemic heart disease (35.8%). There were 61.7, 24.1 and 14.2% in Groups I, III and III,
respectively. The baseline BNP level was higher in group I and II than in group III patients (I: 1540.4±1202.8,
II: 1482.8±1281.6, III: 666.4±827.9 pg/mL, p=0.036) as was the early BNP reduction ratio (I: 69.8±27.1, II:
67.4±32.8, III: 1.3±144.9%, p=0.007). Sixteen (13.3%) patients had a poor prognosis. From a logistical analysis,
the early BNP reduction ratio (p=0.004) and creatinine level (p=0.02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linical
outcomes. Conclusion::::The early change in the BNP level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gestive status,
and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linical outcomes. Therefore, in our opinion, the early monitoring of the
BNP level will provide significant clinical information in AHF patients. KCI Citation Count: 4 |
Author | 황성오 유병수 정일형 이승환 왕희성 최현민 유호열 김장영 윤정한 최경훈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정일형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유병수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유호열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왕희성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최현민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6 fullname: 김장영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7 fullname: 이승환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8 fullname: 황성오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sequence: 9 fullname: 윤정한 organization: (연세대학교) – sequence: 10 fullname: 최경훈 organization: (연세원주대학교)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3757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jMtKw0AYhQepYFt9h9m6CMzkMsksa_FSKCqSfchlIrWSQPMCEWYRcdEuFFNvxL2LiFLiKyV_38Gg4tl8B77D6aFOFEdiA3WpqVmK0abz31WyhXpJckEI03WVd5FTV9cg3zHcvDWrFAqJ18scXhZwvwD5hOG1rKsSw-oWiiu8d3yKIcvhK4dliuGhWucZhuKumUvclHMMebZ-lK2D5xzXn2n9IbfRZuheJmLnj31kH-zbwyNlfHI4Gg7GSmQwpni-Z1Hd5AanJvWIqvKA6KbvCtcMeUg06gluBK4riCoEI6zdMdMwLN3nvhBWoPXR7u9tNAudqT9xYnfyw_PYmc6cwZk9cii1CNWZ9g2uqG02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ACYCR |
DatabaseName |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Medicine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Follow-Up BNP Level and Congestive Status or Prognosis in Acute Heart Failure |
EISSN | 1738-5555 |
EndPage | 207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180146 |
GroupedDBID | --- 5-W 8JR 8XY 9ZL ACYCR ADBBV ADRAZ AENEX ALMA_UNASSIGNED_HOLDINGS AOIJS BAWUL DIK E3Z EF. F5P HYE KQ8 M48 O5R O5S OK1 PGMZT RPM |
ID | FETCH-LOGICAL-n566-bcb8147959171b0229d047caea7f9f031be95daae02ee606591675584c9cee8d3 |
ISSN | 1738-5520 |
IngestDate | Sun Mar 09 07:51:58 EDT 2025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566-bcb8147959171b0229d047caea7f9f031be95daae02ee606591675584c9cee8d3 |
Notes | G704-000708.2006.36.3.006 |
PageCount | 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8014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6-03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6-03-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3 year: 2006 text: 2006-03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PublicationYear | 2006 |
Publisher | 대한심장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심장학회 |
SSID | ssj0064429 |
Score | 1.6300272 |
Snippet | 배경 및 목적:임상 양상에 따른 BNP 수치의 변화는 다양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급성 심부전 또는 급성 악화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초기에 울혈 상태에 따른 BNP 수치의 감소 정도 및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2002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심부전... |
SourceID | nrf |
SourceType | Open Website |
StartPage | 200 |
SubjectTerms | 내과학 |
Title |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조기 추적 BNP 수치와 울혈 정도 및 예후와의 관계 |
UR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37577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6, 36(3), , pp.200-207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ihNBsNnsQbyIT3zTiH0KIzOZV_dxepKwKrt4iLgHIcwrsgQSCNmLpwg5RDzsHhSzvoh3DxFlib-UdP7B6p6ZOFlWWL0MRVV1VU1VM13d092F0H2m67GV2K5WMWNHs6CXaGHoxBq15E0kjhMEsTyNvL3jbD21Hu3auxul54VdS_v98EH08tRzJf8TVcBBXOUp2X-I7EooIACG-MITIgzPM8WY1DzCKaGM1HxCLcKNsoI48XxS44Q7ciMDYDwdyECrEsYIoxLFaoQpGnMzAAQwXwnwDML1TDjXFQpEMSsXZZT5zpNUFc3E8ZVcBjoVjan2UieYSMtZY2ZLy2g9NYhLRbSe8ks2xc-lLbksBUghZWWRpVAAmCSt-pan1o-7PflXIdrrRVlJsnLRidCpChYokdzPrEsLcOYsTHFJ00zCjNVbnsKiGnOaeZFbayxMKapKRTIaWYBOrrKYxVUW5RlfvWBVtmZ-IZwqZJ6dk5gCPOAvjCsujCu2XUl_QSVFnG0Xxw9dL6QilbQg8Pot4SdG77V7wtvRXvNFt9nuNWE29LApr_eDkbCESqah1rO0Z3mWAmmwquC3Mgxyq06vVcitGhfRhWxShL20h19CG-3uZXRuO9v2cQU157PXYvgdizffFscDMRni5dFYfDkU7w_F8BMWX6fz2RSL47di8gpD18RiNBa_xuJogMWH2XI8wmLybnEwxIvpARbj0fLjEGji8xjPfw7mP4ZXUaNea_hbWlYZROvA90MLo5AalstsZrhGCFkoi3XLjYIkcFusBcNUmDA7DoJErySJI3cOGDAvhlQ7YpAT0ti8hjY73U5yHWFIz-WNSWakA7litCiFlmZLj0LXNRzbvYHugVuUY__u4JtnYbqFzv_pWLfRZr-3n9yBhLYf3lWR-Q3M5YZo |
linkProvider |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89%EC%84%B1+%EC%8B%AC%EB%B6%80%EC%A0%84+%ED%99%98%EC%9E%90%EC%97%90%EC%84%9C+%EC%A1%B0%EA%B8%B0+%EC%B6%94%EC%A0%81+BNP+%EC%88%98%EC%B9%98%EC%99%80+%EC%9A%B8%ED%98%88+%EC%A0%95%EB%8F%84+%EB%B0%8F+%EC%98%88%ED%9B%84%EC%99%80%EC%9D%98+%EA%B4%80%EA%B3%84&rft.jtitle=Korean+circulation+journal&rft.au=%EC%A0%95%EC%9D%BC%ED%98%95&rft.au=%EC%9C%A0%EB%B3%91%EC%88%98&rft.au=%EC%9C%A0%ED%98%B8%EC%97%B4&rft.au=%EC%99%95%ED%9D%AC%EC%84%B1&rft.date=2006-03-01&rft.pub=%EB%8C%80%ED%95%9C%EC%8B%AC%EC%9E%A5%ED%95%99%ED%9A%8C&rft.issn=1738-5520&rft.eissn=1738-5555&rft.spage=200&rft.epage=20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8014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5520&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5520&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5520&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