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 전시형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엔티티 기반 3차원 예술작품 데이터모델링 개선방안 연구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cultural policy-based public companies. However, it is by no means easy to accumulate 3D works of art as data.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스마트미디어저널 Vol. 13; no. 1; pp. 86 - 100
Main Authors 김소진(So Jin Kim), 김찬희(Chan Hui Kim), 김안나(An Na Kim), 박현정(Hyun Ju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01.01.2024
Korean Institute of Smart Media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1322
2288-9671
DOI10.30693/SMJ.2023.13.01.86

Cover

Abstract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cultural policy-based public companies. However, it is by no means easy to accumulate 3D works of art as data.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metadata in public institutions, there was no digitalization of resources when developing digital twins because it was built based on old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ata modeling evolution is inevitable to connect multidimensional data at a capacity and speed that exceeds the functions of existing systems. Therefore,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data modeling design were first considered among previous studies. When developing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it is designed for the migration of 3D modeling data, the previously created metadata was analyzed to improve the upper elements that must be added to 3D modeling.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by directly implementing the process of using newly creat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modeling process. If this study is gradually developed in the future, metadata-based data modeling can become more meaningful in the use of public data than it is today. 최근 문화정책 기반 연구과제 및 공공기업들의 홍보수단으로 가상현실 전시형 콘텐츠 서비스가 적지 않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시각, 예술, 기록 등 문화자원을 기초로 하는 대부분의 아카이브 자료들이 엔티티 기반 데이터모델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3차원 예술작품을 데이터화하여 축적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공공기관 메타데이터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오래된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디지털트윈을 개발할 때 자원 디지털화의 부재가 있었다.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뛰어넘는 용량과 속도로 다차원 데이터들을 연결함에 데이터모델링 진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우선 선행연구 중에 데이터모델링 설계의 요소들과 개념들을 고찰하였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할 때 3차원 모델링 데이터들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설계되는 경우 기존에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모델링에서 추가되어야만 하는 상위요소들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모델링 프로세스에 맞게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직접 구현하여 가능성을 실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가상현실 전시콘텐츠 제작에서 시소러스를 어떻게 데이터로 연결하는 과정을 검증하였고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사용자에게는 디지털 요소로 추가되어야 하는 필수요소들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데이터 방식으로 시각예술기록 및 3차원 모델링 데이터모델링 구조를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메타데이터 기반 데이터모델링이 현재보다 유의미해지고 개발자들의 공공데이터 활용성에 대해 더욱 향상할 것을 기대해 본다.
AbstractList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cultural policy-based public companies. However, it is by no means easy to accumulate 3D works of art as data.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metadata in public institutions, there was no digitalization of resources when developing digital twins because it was built based on old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ata modeling evolution is inevitable to connect multidimensional data at a capacity and speed that exceeds the functions of existing systems. Therefore,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data modeling design were first considered among previous studies. When developing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it is designed for the migration of 3D modeling data, the previously created metadata was analyzed to improve the upper elements that must be added to 3D modeling.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by directly implementing the process of using newly creat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modeling process. If this study is gradually developed in the future, metadata-based data modeling can become more meaningful in the use of public data than it is today. 최근 문화정책 기반 연구과제 및 공공기업들의 홍보수단으로 가상현실 전시형 콘텐츠 서비스가 적지 않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시각, 예술, 기록 등 문화자원을 기초로 하는 대부분의 아카이브 자료들이 엔티티 기반 데이터모델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3차원 예술작품을 데이터화하여 축적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공공기관 메타데이터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오래된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디지털트윈을 개발할 때 자원 디지털화의 부재가 있었다.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뛰어넘는 용량과 속도로 다차원 데이터들을 연결함에 데이터모델링 진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우선 선행연구 중에 데이터모델링 설계의 요소들과 개념들을 고찰하였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할 때 3차원 모델링 데이터들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설계되는 경우 기존에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모델링에서 추가되어야만 하는 상위요소들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모델링 프로세스에 맞게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직접 구현하여 가능성을 실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가상현실 전시콘텐츠 제작에서 시소러스를 어떻게 데이터로 연결하는 과정을 검증하였고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사용자에게는 디지털 요소로 추가되어야 하는 필수요소들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데이터 방식으로 시각예술기록 및 3차원 모델링 데이터모델링 구조를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메타데이터 기반 데이터모델링이 현재보다 유의미해지고 개발자들의 공공데이터 활용성에 대해 더욱 향상할 것을 기대해 본다.
최근 문화정책 기반 연구과제 및 공공기업들의 홍보수단으로 가상현실 전시형 콘텐츠 서비스가 적지 않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시각, 예술, 기록 등 문화자원을 기초로 하는 대부분의 아카이브 자료들이 엔티티 기반 데이터모델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3차원 예술작품을 데이터화하여 축적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공공기관 메타데이터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오래된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디지털트윈을 개발할 때 자원 디지털화의 부재가 있었다.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뛰어넘는 용량과 속도로 다차원 데이터들을 연결함에 데이터모델링 진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우선 선행연구 중에 데이터모델링 설계의 요소들과 개념들을 고찰하였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할 때 3차원 모델링 데이터들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설계되는 경우 기존에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모델링에서 추가되어야만 하는 상위요소들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작성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모델링 프로세스에 맞게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활용되는 과정을 직접 구현하여 가능성을 실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가상현실 전시콘텐츠 제작에서 시소러스를 어떻게 데이터로 연결하는 과정을 검증하였고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사용자에게는 디지털 요소로 추가되어야 하는 필수요소들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데이터 방식으로 시각예술기록 및 3차원 모델링 데이터모델링 구조를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면 앞으로 메타데이터 기반 데이터모델링이 현재보다 유의미해지고 개발자들의 공공데이터 활용성에 대해 더욱 향상할 것을 기대해 본다.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cultural policy-based public companies. However, it is by no means easy to accumulate 3D works of art as data.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metadata in public institutions, there was no digitalization of resources when developing digital twins because it was built based on old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ata modeling evolution is inevitable to connect multidimensional data at a capacity and speed that exceeds the functions of existing systems. Therefore,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data modeling design were first considered among previous studies. When developing virtual reality content, when it is designed for the migration of 3D modeling data, the previously created metadata was analyzed to improve the upper elements that must be added to 3D modeling.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by directly implementing the process of using newly created metadata in virtual reality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modeling process. If this study is gradually developed in the future, metadata-based data modeling can become more meaningful in the use of public data than it is today.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찬희(Chan Hui Kim)
김안나(An Na Kim)
김소진(So Jin Kim)
박현정(Hyun Jung Par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소진(So Jin Kim)
– sequence: 2
  fullname: 김찬희(Chan Hui Kim)
– sequence: 3
  fullname: 김안나(An Na Kim)
– sequence: 4
  fullname: 박현정(Hyun Jung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988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kE9r1EAAxQepYK39Ap7m4kVInP-ZHJei9p8U7N6HSTKRkJLAphdvFiIslkIru3ShqeyttXiYg0IufqHN5DsYWw_Cg_cOP96D9xSsFWVhAHiOkU-RCOmrw3e7PkGE-pj6CPtSPALrhEjphSLAa_c58DAl5AnYrKosQphgJnAg1sFJN5u5m0993fZfWtdMoVvW7rTpF3Pofi_6z-euXcKVbTrbuOsauqbu5w10l7P-1A6Cq9Z2dgGps7fu6hy6xdRNl-7bRf91Crsz665_9rXt7m67s7a7Ofnb5OplZ7-7-TB1aVe_fjwDj1N9VJnNf74Bxm9ej7e2vf2Dtztbo30vDzn3sEyxMKnROpJMyjDRmqcJlaEWjEVxgjgzOmEm5TELgwTTOJYhlxoJToyQEd0ALx9qi0mq8jhTpc7u_UOp8okavR_vKIyoFAHlA_ziAc6z6jhTRVIdqd3R3sFwMkMy4Hx4kJLgP-5jGZUqKss8NsWxmSiGMEJC8pByQukfR8Wku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JDI
ACYCR
DEWEY 302.23
657.84
DOI 10.30693/SMJ.2023.13.01.86
DatabaseName 교보스콜라(Kyobo Scholar)
Scholar(스콜라)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nthropology
Social Sciences (General)
Business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tity-Based 3D Artwork Data Modeling for Digital Twin Exhibition Content Development
EISSN 2288-9671
EndPage 10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86735
JAKO202408755012327
4010068593523
GroupedDBID P5Y
SSSTE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955-18f16efeaab84889daa5fd389a644bcd054ead4ef5c497d13cc8958a0652e68b3
ISSN 2287-1322
IngestDate Tue Jun 25 21:02:40 EDT 2024
Thu Apr 04 09:50:54 EDT 2024
Thu Apr 10 10:28:0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서비스디자인
메타데이터
디지털트윈
Data modeling
Digital Twin
Service design
Public data
Metadata
공공데이터
데이터모델링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55-18f16efeaab84889daa5fd389a644bcd054ead4ef5c497d13cc8958a0652e68b3
Notes KISTI1.1003/JNL.JAKO20240875501232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75501232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86735
kisti_ndsl_JAKO202408755012327
kyobo_bookcenter_401006859352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1
  year: 2024
  text: 2024-0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스마트미디어저널
PublicationTitleAlternate Smart media journal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Korean Institute of Smart Media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name: Korean Institute of Smart Media
– name: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SSID ssib012146176
ssib036278714
ssib022315842
ssib051117086
ssib044760798
Score 1.8547126
Snippet Recently, a number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type content services have been produced using archive resources of visual art records as a means of promoting...
최근 문화정책 기반 연구과제 및 공공기업들의 홍보수단으로 가상현실 전시형 콘텐츠 서비스가 적지 않게 제작되고 있다. 특히 시각, 예술, 기록 등 문화자원을 기초로 하는 대부분의 아카이브 자료들이 엔티티 기반 데이터모델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3차원 예술작품을...
SourceID nrf
kisti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86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3차원 데이터모델링 개선 제안 Ⅳ. 디지털트윈 3차원 데이터 활용 실증 Ⅴ. 결론 REFERENCES
Title 디지털트윈 전시형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엔티티 기반 3차원 예술작품 데이터모델링 개선방안 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859352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75501232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9884
Volume 1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스마트미디어저널, 2024, 13(1), , pp.86-10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9qvXgRRcX6URZ0TyF1v2Z35rj5KDFSFRuht2V3s5EaSSQ2h3oQCxGCpVClpQFTya1VPOxBIRf_oWbyP_jmbTZJbfGjEJKXtzO_efPeZt97k_mQpLtl3Ve1sOKlbciQ06avmWnP8tW0Fvgk9FUvYKpY77z00Co8NYsrZGVmtjo1a6m55i8Er09dV3IWqwIP7CpWyf6HZcegwAAa7AvvYGF4_ycbK_mMwkzxymcVxxazFvI5hZpKhiLhIJFVWFahNIWFVHEZCJoRXCjEqMIIXsvgF1GPKExFDoUKcA1wVCyeSQjAFA2lEnQToaBeNmbZKFRONJNRx0QMRZEVQ9GUgQ2pihNLCmKpMQQFmVFSIQRy8grTsB097k5GoTnEQmkyZtJ5RHcchIzLICEUpE33BuV2ElkchkAkURX0QSBBaaKMNqh8nqg9K3TrmAnqtLaBszgixqZhFkoXqx_bg4bZ-I8ibIThFQC2FJpN7GlC_L9cTxVXayk89pqdWkUIH9syJwidiiUjqUJz9U-VsKMoii50rVOnBq72RI3YTGR0p9CkF8DRaWG9WUsVwVukHuOMezY9hKSbvw0hje-QRKe5s-oxxmFIOKCtiTPTITNPi5GPY57XOPGEid1osjv6y_hYZPU0Xw-5Lm6EtrxUXIBOGQuaITbg_X1jdQzVTFUTa6EIg3TDOCed120b53QsvcknzkfDE-4nsTmEzRoE5-PYHwI98G2TKQemaVuqPRmrgMRFs1U8WXbc13iRHgp674SYkA2LFHFVfK7X_ToEt7VGZSq4LV2SLo6yUtmJHzGXpZlq_Yq0MdjZ4Qdvh63-8H2fd9sy77X4ZnfY2ZX5z87w3Tbv9-SjqDuIuny_JfNua7jblfneznAzgpd81I8GUUc2eHTIP23LvNPm7R7__GH4sS0PtiK-_33YigZfDwdb_cHBhkDird4g-sJ3oam96OjHt6tSaTFfyhbSoxNb0lVGSFqjFc0KK6Hn-RQCA1b2PFIpQ0rkQdblB2VID8FxmWGFBCazy5oRBJQR6kEapIcW9Y1r0mytXguvS3LZsKgeqAAValDWhqwihEzLq1iEeYFB56R51J5bK7964RadB4903K3RJgSzRFsUEGp1xWCFmOgeNtxjt8GcdAf07VaDVVdssS8-n9XdasN1npTuu-LcCMs2yI2_wdyULkx-Urek2bVGM7wNecqaP4_31y_6MwIH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4%94%EC%A7%80%ED%84%B8%ED%8A%B8%EC%9C%88+%EC%A0%84%EC%8B%9C%ED%98%95+%EC%BD%98%ED%85%90%EC%B8%A0+%EA%B0%9C%EB%B0%9C%EC%9D%84+%EC%9C%84%ED%95%9C+%EC%97%94%ED%8B%B0%ED%8B%B0+%EA%B8%B0%EB%B0%98+3%EC%B0%A8%EC%9B%90+%EC%98%88%EC%88%A0%EC%9E%91%ED%92%88+%EB%8D%B0%EC%9D%B4%ED%84%B0%EB%AA%A8%EB%8D%B8%EB%A7%81+%EA%B0%9C%EC%84%A0%EB%B0%A9%EC%95%88+%EC%97%B0%EA%B5%AC&rft.jtitle=%EC%8A%A4%EB%A7%88%ED%8A%B8%EB%AF%B8%EB%94%94%EC%96%B4%EC%A0%80%EB%84%90&rft.au=%EA%B9%80%EC%86%8C%EC%A7%84%28So+Jin+Kim%29&rft.au=%EA%B9%80%EC%B0%AC%ED%9D%AC%28Chan+Hui+Kim%29&rft.au=%EA%B9%80%EC%95%88%EB%82%98%28An+Na+Kim%29&rft.au=%EB%B0%95%ED%98%84%EC%A0%95%28Hyun+Jung+Park%29&rft.date=2024-01-01&rft.pub=%ED%95%9C%EA%B5%AD%EC%8A%A4%EB%A7%88%ED%8A%B8%EB%AF%B8%EB%94%94%EC%96%B4%ED%95%99%ED%9A%8C&rft.issn=2287-1322&rft.volume=13&rft.issue=1&rft.spage=86&rft.epage=100&rft_id=info:doi/10.30693%2FSMJ.2023.13.01.86&rft.externalDocID=401006859352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132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132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132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