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정책의 우리나라 지속가능한 지하수관리에의 시사점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nitiated by the 1991 Nitrate Directive, the EU has pursued a multifaceted approach to reduce agricultural nit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자원환경지질 Vol. 57; no. 2; pp. 271 - 280
Main Authors 오준섭(Junseop Oh), 최재훈(Jaehoon Choi), 서현수(Hyunsoo Seo), 김호림(Ho-Rim Kim), 안현태(Hyun Tai Ahn), 윤성택(Seong-Taek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 Society Of Economic&Environmental Geology 30.04.2024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7281
2288-7962
DOI10.9719/EEG.2024.57.2.271

Cov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nitiated by the 1991 Nitrate Directive, the EU has pursued a multifaceted approach to reduce agricultural nitrate pollution through sustainable ('good') farming practices, regular nitrate level monitoring, and designating Nitrate Vulnerable Zones. Further policy integrations, like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and Groundwater Directive,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protection strategies, including the use of pollutant threshold values. Recently, the 2019 Green Deal escalated efforts against nitrates, aligning with broader environmental and climate objectives. This review aims to explore these developments, highlighting key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nitrate pollution, and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sustainable groundwater nitrate management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restore and improve groundwater quality.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관리를 위한 유럽연합(EU)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은 1991년 질산염 지침 도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지침에서는 농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오염 감소를 목표로 하여 회원국들에게 지속가능한 농법 적용, 질산염 농도 모니터링, 그리고 기준치 초과 지역에 대한 질산염 취약 지역 지정을 요구하였다. 2000년 수질 프레임워크 지침(WFD)은 이를 확장, 모든 수역의 좋은 상태 달성 목표를 설정했으며, 2006년 지하수 지침(GWD)은 질산염 지침을 보완하여 지하수 보호를 위한 포괄적 접근 제공과 함께 오염물질 문턱값(threshold) 설정 등을 명시하였다. 2019년에는 그린딜(Green Deal) 발표와 함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질산염과 관련한 조치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천사를 살펴봄으로써 질산염 오염 감소를 위한 주요 전략과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EU의 동향을 기반으로 국내의 질산염 오염 문제의 현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식, 규제 체계, 농업 교육 프로그램 등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 조치의 강화와 이해관계자 간 협력 증진이 한국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관리를 위한 유럽연합(EU)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은 1991년 질산염 지침 도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지침에서는 농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오염 감소를 목표로 하여 회원국들에게 지속가능한 농법 적용, 질산염 농도 모니터링, 그리고 기준치 초과 지역에 대한 질산염 취약 지역 지정을 요구하였다. 2000년 수질 프레임워크 지침(WFD)은 이를 확장, 모든 수역의 좋은 상태 달성 목표를 설정했으며, 2006년 지하수 지침(GWD)은 질산염 지침을 보완하여 지하수 보호를 위한 포괄적 접근 제공과 함께 오염물질 문턱값(threshold) 설정 등을 명시하였다. 2019년에는 그린딜(Green Deal) 발표와 함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질산염과 관련한 조치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천사를 살펴봄으로써 질산염 오염 감소를 위한 주요 전략과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EU의 동향을 기반으로 국내의 질산염 오염 문제의 현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식, 규제 체계, 농업 교육 프로그램 등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 조치의 강화와 이해관계자 간 협력 증진이 한국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nitiated by the 1991 Nitrate Directive, the EU has pursued a multifaceted approach to reduce agricultural nitrate pollution through sustainable (‘good’) farming practices, regular nitrate level monitoring, and designating Nitrate Vulnerable Zones. Further policy integrations, like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and Groundwater Directive,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protection strategies, including the use of pollutant threshold values. Recently, the 2019 Green Deal escalated efforts against nitrates, aligning with broader environmental and climate objectives. This review aims to explore these developments, highlighting key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nitrate pollution, and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sustainable groundwater nitrate management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restore and improve groundwater quality. KCI Citation Count: 1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Initiated by the 1991 Nitrate Directive, the EU has pursued a multifaceted approach to reduce agricultural nitrate pollution through sustainable ('good') farming practices, regular nitrate level monitoring, and designating Nitrate Vulnerable Zones. Further policy integrations, like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and Groundwater Directive,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protection strategies, including the use of pollutant threshold values. Recently, the 2019 Green Deal escalated efforts against nitrates, aligning with broader environmental and climate objectives. This review aims to explore these developments, highlighting key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nitrate pollution, and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future sustainable groundwater nitrate management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restore and improve groundwater quality.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관리를 위한 유럽연합(EU)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은 1991년 질산염 지침 도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지침에서는 농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오염 감소를 목표로 하여 회원국들에게 지속가능한 농법 적용, 질산염 농도 모니터링, 그리고 기준치 초과 지역에 대한 질산염 취약 지역 지정을 요구하였다. 2000년 수질 프레임워크 지침(WFD)은 이를 확장, 모든 수역의 좋은 상태 달성 목표를 설정했으며, 2006년 지하수 지침(GWD)은 질산염 지침을 보완하여 지하수 보호를 위한 포괄적 접근 제공과 함께 오염물질 문턱값(threshold) 설정 등을 명시하였다. 2019년에는 그린딜(Green Deal) 발표와 함께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질산염과 관련한 조치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천사를 살펴봄으로써 질산염 오염 감소를 위한 주요 전략과 동향을 확인하고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U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EU의 동향을 기반으로 국내의 질산염 오염 문제의 현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식, 규제 체계, 농업 교육 프로그램 등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방적 조치의 강화와 이해관계자 간 협력 증진이 한국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수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uthor 김호림(Ho-Rim Kim)
윤성택(Seong-Taek Yun)
오준섭(Junseop Oh)
서현수(Hyunsoo Seo)
안현태(Hyun Tai Ahn)
최재훈(Jaehoon Choi)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오준섭(Junseop Oh)
– sequence: 2
  fullname: 최재훈(Jaehoon Choi)
– sequence: 3
  fullname: 서현수(Hyunsoo Seo)
– sequence: 4
  fullname: 김호림(Ho-Rim Kim)
– sequence: 5
  fullname: 안현태(Hyun Tai Ahn)
– sequence: 6
  fullname: 윤성택(Seong-Taek Yu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405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kDFLw0AUxw9RsFY_gJuLi5B495LLXcZSaq0WBOl-XHKJhEgiTRe3UlBEEbqUFmnRRUVwqOBYv1Bz_Q62VdDp_97j9_8NbwOtJmkSILRNsOky4u5XKlUTMNgmZSaYwMgKKgBwbjDXgVVUIADUYMDJOtrKssjDmNuUUMstoAs9fMofv3R_POu96dFgR7-2Z72BvllMN7oz1v3JzvSznb-866ee_rhaMg_j-Z53Bvlosijo6_vpuJ3fPs96wz_Bb6vfXVbuhrozV3Q30Vooz7Ng6zeLqHFQaZQPjfpJtVYu1Y3YpdiwHMsjynECygNJFYBiioSUU2U5ikmlfOoS7nFQnErPlz5TofRdGUpncVFWEe39aJNmKGI_EqmMlnmWirgpSqeNmiDYBsYdPId3f-A4ylqRSFR2Lo5KxyeLnxKLW4xTDpT-4y5TLxVemsZ-kLSCprAxwdhxATBltvUNnLKba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JDI
ACYCR
DEWEY 553
DOI 10.9719/EEG.2024.57.2.271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Geology
DocumentTitleAlternate Implications of European Union’s Groundwater Nitrate Management Policies for Korea’s Sustainable Groundwater Management
EISSN 2288-7962
EndPage 28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427860
JAKO202413837858255
4010069220574
GroupedDBID P5Y
SSSTE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950-363b1d66e58ea5d22d7d1f585d36d7addc5918b82d85abcac7dfac9afa6d85ad3
ISSN 1225-7281
IngestDate Sun Aug 03 03:10:45 EDT 2025
Wed Jun 05 02:19:21 EDT 2024
Tue Feb 18 15:03:39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2
Keywords 지속가능한 관리
sustainable management
질산염관리지침과 지하수지침
지하수 질산염
2019 그린딜
2019 Green Deal
Nitrate Directive and Groundwater Directive
groundwater nitrate
유럽연합의 정책
EU policies
2019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50-363b1d66e58ea5d22d7d1f585d36d7addc5918b82d85abcac7dfac9afa6d85ad3
Notes KISTI1.1003/JNL.JAKO202413837858255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383785825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27860
kisti_ndsl_JAKO202413837858255
kyobo_bookcenter_401006922057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4
  text: 2024-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자원환경지질
PublicationTitleAlternat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Korea Society Of Economic&Environmental Geology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Publisher_xml – name: Korea Society Of Economic&Environmental Geology
– nam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SSID ssib008451539
ssib001195850
ssib051116406
ssib036278822
Score 2.2507794
Snippet T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Union (EU)'s policies on managing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groundwater...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관리를 위한 유럽연합(EU)의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관리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은 1991년 질산염 지침 도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지침에서는 농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SourceID nrf
kisti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71
SubjectTerms 지질학
TableOfContents 1. 서 론 2. EU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 정책 3. EU의 지하수 질산염 오염 현황과 현안 과제 4. 한국의 지하수 질산염 오염 및 관련 정책 현황과 EU 정책의 시사점 5. 요약 및 결론 사 사 References
Title 유럽연합의 지하수 질산염 관리정책의 우리나라 지속가능한 지하수관리에의 시사점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922057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383785825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4051
Volume 5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자원환경지질, 2024, 57(2), 285, pp.271-28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BrjwgWB-BofUyXwCbUkqR3bxyTNGEODy5B2i_LRoqmoRWU7wAFNk0ATCGmXahPaxC6AkDgUieP4Q2v2H3jPSZtsTNPYJXWf35ef7fo913km5J6ox1HLjHhVwPpVxQxzVRjKshoqA2oE-OQ6pdD8E3v2GZtb5IsTk9dLp5ZWlqNa_ObY90rO0qsAg37Ft2T_o2fHTAEAZehfeEIPw_NUfUx9jyqPOgb1XapmqNvQEEFdgDSo4tRRGgJleR9LjsCjDVmdkgiRslyXgSzNIOPkQZ1DXabpXOrY1PE0toE8oOCaVPLDUpSjGYyxXWSJ4lxE0izHqoA4m8qGFmLkQqRDHT7S0jtJ8eN1A72VcVgl6aKlssYVDTDKvrkm8EeUri4AvRqJsXL7jhXPDAZjFO8wBr7FpormIKnDNBobNZTRIvulNh3PlQKxqFQDxUpZRgEaldVILI_aXaCAYmpkGkldmRsiv7E838-xWOmvKZyB2speyaTeGVufkytdcIBnaZWz9B3G2V05taaGWRZMLqHypTFfzYRZcoys7Mqto2uuEiamrPX9hzVsTo2LmlUbU5bzmx_xOw5lOG_HS8HzbtDuBRDHPQpMfQWMbZwj5y0h9PmL-bd-4edjiqTS3_GSgVtepLcFp0zIUl5KCCpMm-l7dsdNz044oPIP_lEdAlWM3pbw83U36oLf2em1Sn7nwiVyMQ8YK042-y-TiXb3CnmZbu8Ov_xJNwcH_R_pzlYl_b560N9K17G0nq4N0s29yv7v1eG3n-luP_31TuN8HsD34drWcGcPCdL3n_YHq8MPXw_62wWDnGpzQ5N83E7XgMXGVbIw4y94s9X87pRqW3HwrOx6ZCa23eSyGfLEshKRmC2wWVK3EwE-TcyVKSNpJZKHURzGImmFsQpboY2QpH6NTHa6neYNUmF1xkNb1XkIsReD33EjTiBsakFoIMLYVFNkWhsr6CSvXgRzzuOnaEsTd74klxbniIBWDHDbAI-cN3sBM0zMkY5v-Qs2Re6CefUQOGEo3DwV1i1yoZhUt8nkcm-leQfChuVoWg-hv9gn4mY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A0%EB%9F%BD%EC%97%B0%ED%95%A9%EC%9D%98+%EC%A7%80%ED%95%98%EC%88%98+%EC%A7%88%EC%82%B0%EC%97%BC+%EA%B4%80%EB%A6%AC%EC%A0%95%EC%B1%85%EC%9D%98+%EC%9A%B0%EB%A6%AC%EB%82%98%EB%9D%BC+%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C%A7%80%ED%95%98%EC%88%98%EA%B4%80%EB%A6%AC%EC%97%90%EC%9D%98+%EC%8B%9C%EC%82%AC%EC%A0%90&rft.jtitle=%EC%9E%90%EC%9B%90%ED%99%98%EA%B2%BD%EC%A7%80%EC%A7%88%2C+57%282%29&rft.au=%EC%98%A4%EC%A4%80%EC%84%AD&rft.au=%EC%B5%9C%EC%9E%AC%ED%9B%88&rft.au=%EC%84%9C%ED%98%84%EC%88%98&rft.au=%EA%B9%80%ED%98%B8%EB%A6%BC&rft.date=2024-04-30&rft.pub=%EB%8C%80%ED%95%9C%EC%9E%90%EC%9B%90%ED%99%98%EA%B2%BD%EC%A7%80%EC%A7%88%ED%95%99%ED%9A%8C&rft.issn=1225-7281&rft.eissn=2288-7962&rft.spage=271&rft.epage=280&rft_id=info:doi/10.9719%2FEEG.2024.57.2.27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2786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728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728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728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