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의 장소 애착에 따른 지역 축제 입장료 지불 의사 평가 - 대구 치맥페스티벌을 중심으로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domestic market was inevitable to face the crisis of tourism industry. Accordingly, most of local festivals decided to cancel or postpone, and have been in difficult situation. In addition, people also have experienced the thrist of cultural activities and tours. H...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7) Vol. 21; no. 7; pp. 181 - 19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7.181 |
Cover
Summary: |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domestic market was inevitable to face the crisis of tourism industry. Accordingly, most of local festivals decided to cancel or postpone, and have been in difficult situation. In addition, people also have experienced the thrist of cultural activities and tours. However, this situation can also be opportunity to find the clues for activating local festivals in the post-COVID-19 era with estimating the preservation value and deriving the determinants for it. Therefore, this study economically assessed the value of the local festival, Chimac Festival in Daegu, under the hypothetical financial crisis situation for COVID-19. Consequently, monthly income, age and place dependence was found to be influential for Daegu and nearby area citizens to have willingness to pay for the Chimac Festival in Daegu. The result shows that respondents are willing to pay 16,909 on truncated average. Thus, total value of Chimac Festival was estimated as 9.376 billion won.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전세계적인 관광의 피해를 국내 시장도 피해갈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국내의 지역 축제도 대부분이 취소 및 연기를 결정하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없는 소비자들 또한 마찬가지로 여행과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갈증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본 상황은 지역 축제의 보존 가치 평가와 그에 대한 영향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축제에 대한 단서를 확보하는 기회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축제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COVID-19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의 가상 상황을 제시하여 지역 축제 보존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평가했다. 대구 치맥페스티벌을 대상으로 대구, 경북 지역민들의 가상상황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에 월수입에 대한 집단의 차이와 연령 및 지역의존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로지스틱 모형을 통해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절단 평균값이 16,909원으로 나타났으며, 총 편익은 93.76억원으로 추정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3261885173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7.1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