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유튜브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YouTube usag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age group who spends the most time on YouTube is surveyed in the teen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children and young people from being exposed to harmful content, so nurturing the ability to choose and use YouTube content in a healthy way c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3) Vol. 22; no. 3; pp. 273 - 284
Main Authors 김형진(Hyungjin Lukas Kim), 정효정(Hyojung Jung), 권보람(Boram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YouTube usag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age group who spends the most time on YouTube is surveyed in the teen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children and young people from being exposed to harmful content, so nurturing the ability to choose and use YouTube content in a healthy way can be a fundamental sol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what YouTube literacy is for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and to prepare standards to be considered in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ine the definition of YouTube literacy competency and to develop a checklist that can be used when guiding and guid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o use the YouTube platform. To this end, a conceptual definition and checklist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prior research and overseas case analysis, and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expert and educator reviews. The finally developed checklist includes 4 categories, 10 areas, and 23 criteria: media access, critical understanding, media participation, and ethical use. 유튜브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유튜브를 가장 많은 시간 사용하는 연령대는 10대로 조사되고 있다. 어린이·청소년이 유해한 콘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유튜브 콘텐츠를 건강하게 선택하고 활용하는 역량을 키워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유튜브 리터러시란 무엇인지 규명하고,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의 정의를 구체화하고, 어린이·청소년의 유튜브 플랫폼 활용 안내·지도 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해외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개념적 정의 및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및 교육자 검토를 통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체크리스트는 미디어 접근, 비판적 이해, 미디어 참여, 윤리적 활용 4개 범주의 10개 역량, 23문항을 포함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125813866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