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문화매개자적 특성 연구 : 뮤지컬 〈마리 퀴리〉 라이브 TALK 채팅을 중심으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at Korean musical enthusiasts take on as cultural intermediaries of musical content by analyzing the real-time conversations they have while watching musicals performed in online spaces. To this end, the 'Live TALK' chat during...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2) Vol. 21; no. 12; pp. 384 - 399
Main Author 강주영(Joo-Young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12.38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at Korean musical enthusiasts take on as cultural intermediaries of musical content by analyzing the real-time conversations they have while watching musicals performed in online spaces. To this end, the 'Live TALK' chat during the 'ontact' (online contact) performance of the musical Marie Curie was observed in real-time and subsequently analyz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their owned capital, their mediating languag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usical enthusiasts were found to possess a wealth of cultural capital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and inquiry, and to be utilizing specific identifying expressions in their language use. In addition, they appeared to be interactive i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audience, which could be seen in the flow of spontaneous conversations as well as questions and answers occurring in the live cha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at musical enthusiasts are positioning themselves as new cultural intermediaries through their cultural practices: taking on the role of guides and mediators in the online space 'Live TALK.' 본 연구는 한국의 뮤지컬 마니아 관객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상연되는 공연을 보며 실시간으로 나누는 대화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이들이 뮤지컬 콘텐츠의 문화매개자로서 가지는 특성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 <마리 퀴리>의 온택트 공연 라이브 TALK 채팅에 참여하여 이들의 대화를 관찰하고 온라인 문화매개자적 특성 중 소유 자본의 특성, 매개언어의 특성, 수용자와의 관계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뮤지컬 마니아 관객들은 실제적인 경험과 탐색을 통해 풍부한 문화 자본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언어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 수용자와 소통에서는 상호교류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즉각적인 대화나 문답의 흐름으로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라이브 TALK 채팅이라는 온라인 공간에서 안내자이자 중개자 역할을 하는 마니아 관객들의 문화실천을 통해 이들이 새로운 문화매개자로서 위치하게 됨을 확인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02539864574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12.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