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center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cultivate their teaching ability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2) Vol. 21; no. 12; pp. 119 - 13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12.119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center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cultivate their teaching ability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ubjects centered on design thinking, the "plan" stage recognizes the problem of interest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language areas. In the "action" step, they created a interesting stationery for plays that can be actively expressed for young children who are hard to write. In the "re-action after reflection" steps, they have developed creative writing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who have been working on a kindergarten field practice,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for the major class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is listening to young children than given practice, and self-reflection and growth through sympath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eded to change the various major classes and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is that it is also helpful for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을 구성 및 적용함으로써 전공수업의 개선을 도모하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실천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언어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4학년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행연구의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중 '계획' 단계에서는 현장의 문제점인 언어교육에서의 유아 흥미 부족과 언어영역의 고정화 문제를 인식하고 1차 실행을 함께 계획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말하기가 활발하게 표출될 수 있는 놀이와 쓰기가 즐거운 재미있는 편지지를 창안하고, 현장교사 연계로 피드백을 받았다. '반성 후 재실행' 단계에서는 현장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쓰기 개발, 디자인씽킹을 반영한 놀이 사후실행안을 작성하였다. 사후실행안으로 모의수업으로 발표하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의 의미'는 '관행보다 소중한 유아에게 귀 기울이기'와 '공감과 협력을 통한 자기성찰과 성장'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변화는 필요하며, 유아에게 공감하며 각기 다른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02539849570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12.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