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도로 제조한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ine, produced from 11 different grape varieties.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2, MW55, and Narsha with 0.6-0.8% total acids were good for wine. The total acid content of Wangmeoru wine was too high (1.41%).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2; no. 6; pp. 649 - 654
Main Authors 양미란(Mi-Ran Yang), 배은정(Eun-Jung Bae), 김영미(Young-Mi Kim), 강지은(Ji-Eun Kang), 임보라(Bora Lim), 강희윤(Heui-Yun Kang), 허윤영(Youn-Young Her), 박영식(Young-Sik Park), 정석태(Seok-Tae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ine, produced from 11 different grape varieties.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2, MW55, and Narsha with 0.6-0.8% total acids were good for wine. The total acid content of Wangmeoru wine was too high (1.41%).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2, MW55, MBA, WB, and Wangmeoru showed excellent chromaticity (90dE or higher). Total polyphenols, total anthocyanin and tanni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Gaeryangmeoru, WB, Wangmeoru, and CB and would be advantageous for wine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deemed Gaeryangmeoru and CB to be suitable for red wine preparation. 본 연구는 포도 품종별(블랙썬, 캠벨얼리, CB, 두누리, 개량머루, MW52, MW55, MBA, WB, 나르샤, 왕머루)로 와인을 제조한 후, pH, 총산, 가용성고형분, 색도, 유기산, 총 폴리페놀, 총 안토시아닌, 탄닌을 분석하여 와인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3.00-3.97 범위였으며, WB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산함량은 블랙썬, CB, 개량머루, MW52, MW55, 나르샤에서 0.6-0.8%로 와인에 적합한 함량이었으나, 왕머루의 총 산도는 1.41%로 와인을 제조하기에는 너무 높은 함량이었다. 알코올은 10.93-13.60% 범위였으며, 휘발산은 86.93-183.33% 범위로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은 7.03-9.07°Bx 범위로 개량머루와 왕머루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블랙썬, CB, 개량머루, MW52, MW55, MBA, WB, 왕머루가 90 ΔE 이상의 높은 색도를 보였지만, 캠벨얼리, 두 누리, 나르샤는 60-80 ΔE의 낮은 색도를 보였다. 유기산은 주석산과 사과산이 주로 나타났으며, 왕머루에서 주석산이(55.2%) 가장 많았으며, 개량머루에서 사과산이(59.7%) 가장 많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총 안토시아닌, 탄닌 함량은 개량머루, WB, 왕머루, CB 품종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개량머루와 CB품종이 국내 레드와인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7650437182
ISSN:0367-6293
2383-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