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notations incorpora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we point out the problems related to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dir...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4) Vol. 18; no. 4; pp. 268 - 27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4.268 |
Cover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notations incorpora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we point out the problems related to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presentatio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honological systems sections of each textbook was different. We recommend that a standard for consonant and vowel presentation order should be prepared, but that this standard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textbook; the learning strategies and goal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similar to phonemic systems, the presentation order of phonological rule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o create a standard order for phonological rules, we have to standardize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rules and determine which rules should be presented. Furthermore, when describing phonological rules, the content should be described in common and essential terms as much as possible without the use of jargon. Third, in other matters of pronunciatio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lack of exercises. Regarding this, we propose to provide sentences or dialogues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to link these to various activities and other language functions for pronunciation practice.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
---|---|
AbstractLi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notations incorpora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we point out the problems related to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presentatio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honological systems sections of each textbook was different. We recommend that a standard for consonant and vowel presentation order should be prepared, but that this standard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textbook; the learning strategies and goal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similar to phonemic systems, the presentation order of phonological rule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o create a standard order for phonological rules, we have to standardize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rules and determine which rules should be presented. Furthermore, when describing phonological rules, the content should be described in common and essential terms as much as possible without the use of jargon. Third, in other matters of pronunciatio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lack of exercises. Regarding this, we propose to provide sentences or dialogues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to link these to various activities and other language functions for pronunciation practice.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 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 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notations incorporated in the textbooks.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we point out the problems related to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presentatio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honological systems sections of each textbook was different. We recommend that a standard for consonant and vowel presentation order should be prepared, but that this standard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textbook; the learning strategies and goal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similar to phonemic systems, the presentation order of phonological rule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o create a standard order for phonological rules, we have to standardize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rules and determine which rules should be presented. Furthermore, when describing phonological rules, the content should be described in common and essential terms as much as possible without the use of jargon. Third, in other matters of pronunciatio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lack of exercises. Regarding this, we propose to provide sentences or dialogues as examples for pronunciation, and to link these to various activities and other language functions for pronunciation practice. KCI Citation Count: 2 |
Author | 박은하(Eunha Park)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은하(Eunha Park)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378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0D1Lw1AUBuCLKFhrf4FLFgeHxPuV3HvHEKv2AwvS_ZKktxJSU0l0cJNanBy6VIu07gUFh1bwLzXJfzBaQTjwHg4PZ3h3wGbUjxQAewgaJhH4sN5wbANDxI1iIDWwxTdACZuQ6xbDZBOUkCm4Tjlj26CSJIEHoUmghSxcAk4-nq6W79nTQssflvl4rq2Wo-z1LXseaelgkt_fpYOpln5Ms9ljcVhkL_NsNtHSr2HhtPRzmA1nu2Cr6_YSVfnLMmgfV9vOqd5sndQcu6mHgiJdUGGZzPOZgCZHDAvmI1Mp5fuQEsg5N4mLKPSUCy3liY7CxFekQ7pCIZ_7jJTBwfptFHdl6Aey7wa_edGXYSzt83ZNEoIwxbyw-2sbBsl1IKNO0pN1u9H6qQlRSjFktCjo30U3cXCpOoErr4rFjW_lWeuoWihMiEDkG8MleoY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JDI ACYCR |
DEWEY | 005.7 |
DOI | 10.5392/JKCA.2018.18.04.268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DocumentTitle_FL |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EISSN | 2508-6723 |
EndPage | 27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3312428 JAKO201814442074508 NODE07423391 |
GroupedDBID | .UV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JDI ACYCR M~E |
ID | FETCH-LOGICAL-k941-949657bc7905817297c15eeecc043088853a140bea06eb9de23ce3d3f9e1c8c73 |
ISSN | 1598-4877 |
IngestDate | Tue Nov 21 21:44:15 EST 2023 Fri Dec 22 11:58:50 EST 2023 Thu Feb 06 13:25:20 ES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4 |
Keywords | Phonological System Pronunciation Description and Notation Phonological Rules Textbook Analysis 한국어 통합 교재 교재 분석 음운 규칙 음운 체계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한국어 발음 교육 Korean Integrated Textbooks 발음 기술 및 표기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941-949657bc7905817297c15eeecc043088853a140bea06eb9de23ce3d3f9e1c8c73 |
Notes | KISTI1.1003/JNL.JAKO201814442074508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444207450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11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3312428 kisti_ndsl_JAKO201814442074508 nurimedia_primary_NODE07423391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8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01-01 |
PublicationDate_xml | – year: 2018 text: 2018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4)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PublicationYear | 2018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콘텐츠학회 |
SSID | ssib005306162 ssib036279156 ssib001107260 ssib053377518 ssib030194663 ssib044738273 |
Score | 1.6417637 |
Snippe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honetic items such as the phonemic system, phonological rules,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s and...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
SourceID | nrf kisti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268 |
SubjectTerms | 학제간연구 |
Title |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2339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81444207450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43788 |
Volume | 1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8, 18(4), , pp.268-278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3Nb9MwFLe2cYALAgFifEwRwidoSWKnto9JGjQ2bbsUabeoSV00dWpRaS8cEBoVJw67DCbUcp8EEocViX9pTf8Hnp00DVORBkiVZT2_-Ou5z79n2e8h9DC2JWy7DbBOmoyVaN2MS1EUgTIkUeRICkaGVA-ct7Yr68_pxq6zu7T8uHBrqd-LyvHrhe9K_kWqQAO5qleyfyHZvFIgQB7kCylIGNILyRgHVSwcLHwcuNhzsFvFgY9FBXv0kSrjFUVNmVyw_lMuYWquALu-zjCgQJmHuY0F198RdQEio_i6zDN1M8AOxf6M3aOa5ELtWZngKbvAnObtpaSKJvkqFdUiKF48DK86682syx7HrjljFjrj5p1xsOerjKv5gNtlahCwgiwOKJoWjjxm43Fm48kr5cVDkExjqwX7nz0san6hTlazmDJS0wAe8lKF2aSo4dMoQBlYsNP4Q-f3IQdQpwqxvem76vYgL8PPpOX826LX73O78W9-v1vxXviiE7a6IVg3z0JCAI3ZfBldshmz1AXWrTfBHPyCJW8XjF0HrEFr7gwSNLmKJZBrY0AuTFhzT0qUMsJtfSUjn4vUTZcazZMFYwF7Thk5ewDL2l1Ac5fbfRWSAvRaAaLVrqGrmW1luOkf5TpaanVuIH96NDwbf0s-nhrT9-Pp0YlxNj5MvnxNPh0ak4Pj6bu3k4OhMfk-TEYfgHCafD5JRsfG5OcA-IzJj0EyGN1EtadBzV8vZZFDSi1BrZJQQRBYFCvncxwQumCx5UgJ2kp5uOMcIGrdomYk62ZFRqIhbRJL0iBNIa2Yx4zcQivtTlveRgbnVDSV18omzF5sx1Fcr5uSU0IZbTai5ipa03MQthuv9sMNd3NHzZFFKbUBnMP6WUUPYHK0JP8sUagln7vwZepmJtzeqQbq5IoQYd25SC130RXVeHpAeA-t9Lp9eR8gcy9a0yvlFyXUlUw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C%EA%B5%AD%EC%96%B4+%ED%86%B5%ED%95%A9+%EA%B5%90%EC%9E%AC%EC%97%90+%EB%82%98%ED%83%80%EB%82%9C+%EB%B0%9C%EC%9D%8C+%EB%82%B4%EC%9A%A9%EC%9D%98+%EB%B9%84%EA%B5%90+%EB%B6%84%EC%84%9D&rft.jtitle=%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18%284%29&rft.au=%EB%B0%95%EC%9D%80%ED%95%98&rft.date=2018&rft.pub=%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rft.issn=1598-4877&rft.eissn=2508-6723&rft.spage=268&rft.epage=278&rft_id=info:doi/10.5392%2FJKCA.2018.18.04.26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312428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4877&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4877&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4877&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