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해양도시 성인여성의 우울영향요인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depressive relief by grasping the degree of depression of adult women and grasping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249 adult women in the one marine city and analy...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 Vol. 20; no. 1; pp. 684 - 69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1.684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depressive relief by grasping the degree of depression of adult women and grasping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249 adult women in the one marine city and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76.3 percent (190 people) of women in the city were depressed. The subjects who expressed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subjective euphoria and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as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pression have shown that stress is a major influencing factor, and this model has a 21.1% explanatory power. Therefore, the study found stress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depression of adult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can reduce stress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in adult women.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우울완화를 위한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일 해양도시 성인여성 24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 해양도시 성인여성의 우울정도는 76.3%(190명)이었다. 우울을 나타낸 대상자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21.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 성인여성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는 스트레스가 나타났으므로 성인여성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07658765999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1.6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