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에서의 유리천장 지각과 이직의도
The glass ceiling is defined as a barrier so subtle that it is transparent, that it prevents women and minorities from moving up in the management hierarchy. Individuals in the minority may perceive the presence of a glass ceiling within their social context, a barrier put in to place by those in th...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3) Vol. 9; no. 3; pp. 345 - 35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The glass ceiling is defined as a barrier so subtle that it is transparent, that it prevents women and minorities from moving up in the management hierarchy. Individuals in the minority may perceive the presence of a glass ceiling within their social context, a barrier put in to place by those in the advantaged majority. This study has testified pragmatically the influence of glass ceiling perceived by the female employees of travel agency on their work attitudes(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202 full time female employees. The results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is revealed that glass ceiling has no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glass ceiling is perceived by the female employees of travel agency, the more they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commitmen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however, it is revealed that glass ceiling has no influence on continuance commitment. That is, glass ceil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ffective commitment whereas the effects are not significant for continuance commitment. Third, affective commit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it is revealed that continuance commitment has no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유리천장은 여성들이나 소수민들이 조직 내에서 보다 상위직급으로 승진하는 것을 막는 투명한 장벽이다. 유리천장의 추세는 최근 '우먼파워'와 '양성평등'의 여성정책 등으로 많이 감소되었으나 아직도 많은 기업에서 만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며, 많은 연구에서 뿌리 깊은 유리천장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명의 여행사에 재직 중인 여성종사원을 대상으로 유리천장에 대한 지각,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리천장에 대한 지각은 정서적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몰입을 다차원으로 구분해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여행사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종사원들은 비록 유리천장을 지각하더라도 이직의도가 없을 수 있지만, 정서적 몰입을 낮게 지각한다면 이직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행사 내에서 개인이 감정적으로 애착을 가지고 조직과 혼연일체감을 느끼게 할 경우, 즉 정서적 몰입을 높일 경우 유리천장이 존재하더라도 이직의도를 줄여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911850423848 G704-001475.2009.9.3.020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