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통 및 뇌졸중 증상 환자에 대한 전화 중증도분류 지침의 유용성
Delayed treatment of acute cardiovascular and cereb-directrovascular diseases is related to poor prognosis and sequelae. For rapid and adequate treatment, role of prehospital emergency dispatchers for adequate triage and selection of hospital is important. In several advanced countries, emergency d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12) Vol. 12; no. 12; pp. 345 - 35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12.345 |
Cover
Summary: | Delayed treatment of acute cardiovascular and cereb-directrovascular diseases is related to poor prognosis and sequelae. For rapid and adequate treatment, role of prehospital emergency dispatchers for adequate triage and selection of hospital is important. In several advanced countries, emergency dispatchers use standardized protocols for decision of rescuer resources or distribution of patients at each hospital. ut, there has not been developed standardized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ers in Korea. We developed standardized protocol based on NHS-direct and CTAS system for triage of symptoms of chest pain and Stroke. Groups with standardized protocol and without protocol was compared to triage result at emergency department which patient visited. The accuracy of triage on chest pain was 70.0% in group A, 94.0% in group B(p<0.01). The accuracy of triage in stroke symptoms was 64.2% in group A, 84.6% in group B(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elephone triage with the protocol was more accurate than without the protocol. But, more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 protocol in South korea. 심뇌혈관 질환의 초기 처치가 지연되면 예후가 불량하고, 치료 후 심각한 후유증이 남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위해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전화상담원에 의한 적절한 환자 분류와 병원 선정이 중요하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현장에 출동시킬 구급대 자원의 결정이나 각 병원에의 환자분산을 위해 응급의료전화상 담원이 표준화된 환자분류 지침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의료전화상담원의 심뇌혈관 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표준화된 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영국의 NHS direct와 캐나다의 CTAS 체계에 기반하여, 뇌졸중 증상과 흉통 환자 분류를 위한 표준화 지침을 개발하였다. 환자가 내원한 응급실에서 시행된 중증도 분류를 기준으로 표준화된 지침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다. 흉통환자에서 표준화된 지침을 사용한 군의 정확도가 높았다.(70.0% VS 94.0% p<0.01). 뇌졸중 환자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64.2% VS 84.6% p<0.01).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응급의료전화상담원에 의한 뇌졸중 증상과 흉통 항목의 중증도 판단에 있어, 응급의료전화상담원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표준화된 지침을 이용한 판단이 병원에서 시행한 중증도 분류와 보다 일치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05061578338 G704-001475.2012.12.12.05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12.3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