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제조시 사용되는 천일염이 김치의 장기저장에 미치는 영향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 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the starter culture. The prepared kimchi was fermented (up to 0.5-0.6% of acidity) and stored for 5 months at $-1^{\circ}C$. During the stor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46; no. 4; pp. 456 - 464
Main Authors 장지윤(Ji Yoon Chang), 김인철(In Cheol Kim), 장해춘(Hae Choo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 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the starter culture. The prepared kimchi was fermented (up to 0.5-0.6% of acidity) and stored for 5 months at $-1^{\circ}C$.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acidity of FS kimchi increased gradually, whereas that of PS kimchi increased sharply. The yellowness (b) color value of PS kimchi (63.4)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kimchis with solar salts (55.6-60.3). Hardness of FS kimchi (1,912.6 gf)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kimchis (1,554.4-1,650.2 gf) during the storage period. Moreover,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scores for FS kimchi than for other kimch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S is more suitable salt than PS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발효조건(김치 원 부재료, 발효미생물, 발효온도 및 기간 등)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L.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를 통한 원 부재료내의 토착미생물의 변수를 최소화한 환경하에서 사용된 소금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소금의 성분분석결과 NaCl 함량은 1년 숙성 천일염보다 4년 숙성 천일염에서 더 높았고, 수분과 $SO_4$ 및 무기양이온(Mg, K, Ca)은 4년 숙성 천일염보다 1년 숙성 천일염이 더 높게 나타나, 소금의 숙성에 따라 간수가 제거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천일염 2종(4년 숙성염, 1년 숙성염) 및 정제염을 사용하여 제조된 김치는 발효하여 산도가 0.5-0.6%에 이르렀을 때 $-1^{\circ}C$에 보관하면서 5개월 동안 김치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 담근 김치에서 알맞게 김치가 익는데(산도 0.5-0.6%) 소요되는 시간은 정제염김치가 천일염김치보다 더 오래 걸리지만, 알맞게 익은 김치를 장기저장시(5개월)에는 정제염김치가 가장 빨리 그리고 제일 많이 시어지고, 4년 숙성염김치가 같은 기간내에 가장 덜 시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년 숙성염김치 그리고 정제염김치순으로 나타났다. 김치 저장 5개월에 사용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의 점유율은 4년 숙성염김치가 77.2%, 1년 숙성염김치는 65.6%, 정제염김치는 53.1%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김치연부를 일으키는 효모는 4년 숙성염김치에서 가장 낮게(1.3 log CFU/mL), 정제염김치에서 (5.1 log 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김치의 품질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 균총의 검출율과 그렇지 못한 동종발효유산균과 효모의 검출률 비율이 김치의 저장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사용소금간 김치에서 확연이 차이가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치의 색도변화에서는 황색도(b값)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제염김치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변화에 있어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견고하였으며 정제염김치의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개월, 5개월 동안 저장한 김치의 관능검사결과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제염김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소금에 따른 김치품질특성 차이는 1개월 이내의 단기저장에서보다 5개월 이상의 장기저장에 따라 점점 더 확연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4년 숙성염이 발효 김치의 장기저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List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 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the starter culture. The prepared kimchi was fermented (up to 0.5-0.6% of acidity) and stored for 5 months at $-1^{\circ}C$.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acidity of FS kimchi increased gradually, whereas that of PS kimchi increased sharply. The yellowness (b) color value of PS kimchi (63.4)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kimchis with solar salts (55.6-60.3). Hardness of FS kimchi (1,912.6 gf)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kimchis (1,554.4-1,650.2 gf) during the storage period. Moreover,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scores for FS kimchi than for other kimch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S is more suitable salt than PS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발효조건(김치 원 부재료, 발효미생물, 발효온도 및 기간 등)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L.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를 통한 원 부재료내의 토착미생물의 변수를 최소화한 환경하에서 사용된 소금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소금의 성분분석결과 NaCl 함량은 1년 숙성 천일염보다 4년 숙성 천일염에서 더 높았고, 수분과 $SO_4$ 및 무기양이온(Mg, K, Ca)은 4년 숙성 천일염보다 1년 숙성 천일염이 더 높게 나타나, 소금의 숙성에 따라 간수가 제거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천일염 2종(4년 숙성염, 1년 숙성염) 및 정제염을 사용하여 제조된 김치는 발효하여 산도가 0.5-0.6%에 이르렀을 때 $-1^{\circ}C$에 보관하면서 5개월 동안 김치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 담근 김치에서 알맞게 김치가 익는데(산도 0.5-0.6%) 소요되는 시간은 정제염김치가 천일염김치보다 더 오래 걸리지만, 알맞게 익은 김치를 장기저장시(5개월)에는 정제염김치가 가장 빨리 그리고 제일 많이 시어지고, 4년 숙성염김치가 같은 기간내에 가장 덜 시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년 숙성염김치 그리고 정제염김치순으로 나타났다. 김치 저장 5개월에 사용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의 점유율은 4년 숙성염김치가 77.2%, 1년 숙성염김치는 65.6%, 정제염김치는 53.1%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김치연부를 일으키는 효모는 4년 숙성염김치에서 가장 낮게(1.3 log CFU/mL), 정제염김치에서 (5.1 log 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김치의 품질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 균총의 검출율과 그렇지 못한 동종발효유산균과 효모의 검출률 비율이 김치의 저장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사용소금간 김치에서 확연이 차이가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치의 색도변화에서는 황색도(b값)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제염김치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변화에 있어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견고하였으며 정제염김치의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개월, 5개월 동안 저장한 김치의 관능검사결과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제염김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소금에 따른 김치품질특성 차이는 1개월 이내의 단기저장에서보다 5개월 이상의 장기저장에 따라 점점 더 확연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4년 숙성염이 발효 김치의 장기저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the starter culture. The prepared kimchi was fermented (up to 0.5-0.6% of acidity) and stored for 5 months at -1oC.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acidity of FS kimchi increased gradually,whereas that of PS kimchi increased sharply. The yellowness (b) color value of PS kimchi (63.4) was higher than that ofother kimchis with solar salts (55.6-60.3). Hardness of FS kimchi (1,912.6 gf)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kimchis(1,554.4-1,650.2 gf) during the storage period. Moreover,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scores for FS kimchi than forother kimch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S is more suitable salt than PS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KCI Citation Count: 11
Author 김인철(In Cheol Kim)
장해춘(Hae Choon Chang)
장지윤(Ji Yoon Cha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장지윤(Ji Yoon Chang)
– sequence: 2
  fullname: 김인철(In Cheol Kim)
– sequence: 3
  fullname: 장해춘(Hae Choon Cha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870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kE1LAlEUhi9RkJm_oM1sgjZj93vmLsW0_CChZn-5jTMxaGM4tWhnLWvjIlJCwxYugiCJFgr-Ir39h8YPaHPel3Oe83I4O2AzbIQeAHsIpoWF0WGpmD930hgimqY8HRfGN0ACE5uYghO2CRKQcMvkWJBtkIqi4AJChBjiQiSAM5u09KSrBz39PtJPPUM_fOrXj3m7O398NvR3T_enujPV_R9jTfa7hn4bzsYjPWjFRnfaxvxrHE-WC93735fhLtjyVT3yUmtNAiefc7InZrlyXMhmymZNEG4SF_k2tX1EbMEp9BRlPmWs6iMVd7DnuwQrQaCyKatayuUMIxcSKyaEcgUjSXCwig2bvqy5gWyoYKmXDVlrysyZU5AIM0EW6P4KrQXRTSDDalSXxUypsvgatgnFUHBL2P9ceNsMrrxqoOR1bFTzTp5WjnIQUys-mZM_TxqIB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JDI
ACYCR
DEWEY 664
DOI 10.9721/KJFST.2014.46.4.456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DBpia 人文社会系パッケージ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 of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DocumentTitle_FL Effect of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EISSN 2383-9635
EndPage 46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5935
JAKO201428342096798
NODE02478486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936-3c1f848f1389640ea45f455df1a3892efc32a930a845d7ac6521c0375df9ac953
ISSN 0367-6293
IngestDate Fri Nov 17 19:25:06 EST 2023
Fri Dec 22 12:00:30 EST 2023
Thu Feb 06 13:26:20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fermentation
long-term storage
solar salt
kimchi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36-3c1f848f1389640ea45f455df1a3892efc32a930a845d7ac6521c0375df9ac953
Notes KISTI1.1003/JNL.JAKO201428342096798
G704-000138.2014.46.4.01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2834209679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5935
kisti_ndsl_JAKO201428342096798
nurimedia_primary_NODE0247848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
PublicationDateYYYYMMDD 2014-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14
  text: 201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한국식품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식품과학회
SSID ssib001151699
ssib036279093
ssib005438561
ssib044738284
ssib053377317
Score 1.8956045
Snippet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 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Kimchi was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salt (4-year-aged solar salt, FS; 1-year-aged solar salt, OS; andpurified salt, PS), using Leuconostoc citreum GJ7 as...
SourceID nrf
kisti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56
SubjectTerms 식품과학
Title 김치제조시 사용되는 천일염이 김치의 장기저장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7848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2834209679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08705
Volume 4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식품과학회지, 2014, 46(4), , pp.456-46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R1NT9RAdAJ40IvRqBE_SE2cE1nsdmbameOULUEIcHBNuDXdbmvImsUgXDwoetQLByMbAwYPHExMJMYDJvwiGP-D700LW8iaoF6at_Ne37x5rzvz3ny8IeQ-uPUtGHezGs8Ex2VGWWtx6AxzTA7VgvE6s1MDc_P-9GM-sygWh4ZfVXYtra22JtIXA8-V_ItVoQzsiqdk_8KyJ0yhAGCwLzzBwvA8l41ppGmocLNCNImAkghol6pJC9RpaFEyhJJxC3lUW5zSVCsaAcK1r4VUaqq4JQq9koFq0LAAgmMASpBoUL2AU9IyUBHVwhLJUgKQqaAuUZalcsexYj2FdH1OVVHgt6zTCDj78F7Vk7aFwgoK9QiqG8ctbViUR6W0KGZFL4iVBTSVhX4CFAq-McxjLHllUuSUpAUZlgDM-yQVHaBaZKk67Q7gYqsPuSXxaXEj9vFkS70_zfqfjar06gxGJt9TrDJqcOFXHBBepHU_O7ZhmiX4IGdnph41cUsin-D-BDzEgEziZ0b4U7nEO-lS_GQ57qzEEDE9jMHBVUwMkwsexFl4Bcjcy6jvT9dxGbWS340zWTkIDc5PoNx-B895wCCCL1O2Fc0sMn2h8A8GiA4hIcZJS-DZdVfAIbzYXcNbLaBrrHh5zSvkchmeObr4r10lQ53la6R5-HPd_OyZnS3zec-823LMm6_m45ejjd7R2_eO-b5ltg_M5oHZ_uGUlNs9x3zaPdzfMzvrAJjNDefo2z5g7Au9178-7F4nzamoOTldK28jqXUU82ssreeSyxwX9n3uZgkXOReindcTKPGyPGVeopibSC7aQZL64BeneMF0O1dJqgS7QUa6y93sJnFwb6xwWeq2ecrdloAQDZz2IM2z3FMpS0bJmFVK3G0_fxrP6NkF1BnEAdxzFa6ajpJ7oC1ryT9aFJic6DJ-VmSuiecXGhE45QE0xL91Dia3ySWsuphyvENGVlfWsrvghK-2xuyH8huOvrBz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9%80%EC%B9%98%EC%A0%9C%EC%A1%B0%EC%8B%9C+%EC%82%AC%EC%9A%A9%EB%90%98%EB%8A%94+%EC%B2%9C%EC%9D%BC%EC%97%BC%EC%9D%B4+%EA%B9%80%EC%B9%98%EC%9D%98+%EC%9E%A5%EA%B8%B0%EC%A0%80%EC%9E%A5%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D%95%9C%EA%B5%AD%EC%8B%9D%ED%92%88%EA%B3%BC%ED%95%99%ED%9A%8C%EC%A7%80%2C+46%284%29&rft.au=%EC%9E%A5%EC%A7%80%EC%9C%A4&rft.au=%EA%B9%80%EC%9D%B8%EC%B2%A0&rft.au=%EC%9E%A5%ED%95%B4%EC%B6%98&rft.date=2014&rft.pub=%ED%95%9C%EA%B5%AD%EC%8B%9D%ED%92%88%EA%B3%BC%ED%95%99%ED%9A%8C&rft.issn=0367-6293&rft.spage=456&rft.epage=464&rft_id=info:doi/10.9721%2FKJFST.2014.46.4.45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593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367-629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367-629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367-629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