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working and operating environments of school foodservice, status and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needs, and informa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3; no. 10; pp. 1594 - 1606
Main Authors 조현아(Hyun A Cho), 이영은(Young Eun Lee), 박은혜(Eun Hy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working and operating environments of school foodservice, status and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needs, and informa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4 cooks in charge of cook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ungbu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30 to August 8, 2012, and among 202 questionnaires gathered, 19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utilizing the SPSS version 19.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44.3% of workers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The most frequent safety accident was 'once' (60.5%), and most safety accidents took place between June and August (31.4%). The time at which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was between 8 and 11 am.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during cooking (52.3%) and while using a soup pot or frying pot (52.4%). The most common accidents were 'burns', 'wrist and arm pain', and 'slips and falls'. Respondents who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replied that 57.6% of employees dealt with injuries at their own expense, and only 35.3% utilize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 terms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score for 'offer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was highest (3.76 points), whereas that for 'security of budget' was lowest (1.77 points). As for accident education, employees received safety education approximately 3.45 times and 5.10 hours per yea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 foodservice cooks requir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urthermore, educational materials and guidelines based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accid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cooks are required in order to minimize potential risk factors and control safety accidents in school foodservice. 본 연구는 충북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작업환경 및 운영환경의 실태 및 인식,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교급식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및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학교급식에 근무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2012년 7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포된 설문지 총 234부 중 202부(86.3%) 회수하여 응답이 누락된 8부를 제외한 194부(82.9%)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충북지역 조사대상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는 기능직이 72.7%,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평균 49.68세, 학교급식에서의 총 경력 평균은 13.73년이며 현재 근무학교의 경력 평균은 4.51년으로 나타났다. 근무학교의 일반사항으로 급식운영형태는 단독관리가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평균 제공 식수는 평균 497.05명, 급식 인력 수는 영양(교)사를 제외한 평균 5.07명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조사 결과, 현재 학교에서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조리종사원은 44.3%이며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 사고횟수가 1회인 경우가 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8월, 8~11시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응답되었다.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공정은 조리 52.3%, 청소 37.2%이며, 안전사고가 발생한 설비 및 기기는 국솥, 튀김솥이 52.4%로 가장 많았다. 안전사고 유형은 화상 데임 64.7%, 손목과 팔의 통증 41.2%, 미끄러짐 떨어짐 35.3% 순이며, 안전사고 후의 사고 처리 방법으로는 종사자 개인부담 57.6%, 산업재해 처리 35.3% 순이었다. 안전사고 후 산업재해 처리 치료기간은 4~14일 45.3%, 4일 미만 28.3%, 15~28일 17.0%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조리종사원의 과도한 업무량 41.2%, 안전한 급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충분한 근무인원이 71.1%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다. 현재 근무 학교에서 안전사고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조리인원의 부족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물리적 작업환경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환기시설 28.4%, 기계 및 기구의 현대화 22.7%, 조리기기의 효율적 배치 13.9% 순으로 나타났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안전교육의 체계화, 정기화 46.4%, 안전사고의 빈도와 원인 분석 21.6%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하는 학교의 시설 설비 등의 물리적인 작업환경이 얼마나 안전한가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평균이 2.88로 낮은 인식 점수로 나타났으며, 근무하는 학교의 급식생산운영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3.11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환경 평가 조사 결과, 예산확보 항목을 제외한 안전사고 예방 조치 및 처리 항목, 정보제공 및 활용 항목, 작업의 효율성 항목의 평균이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예산확보 항목의 평균은 1.77점으로 매우 낮은 평가 결과를 보였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실태 조사 결과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94.8%, 교육 횟수는 연 3.45회, 교육 시간은 평균 5.10시간이며, 교육 주관 기관은 현재 근무학교가 64.1%, 교육 방법으로는 강의식이 7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안전보건 교육 이해 정도는 3.72점, 산업안전보건 교육 내용의 적합성은 3.88점,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실제 적용 정도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working and operating environments of school foodservice, status and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needs, and informa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4 cooks in charge of cook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ungbu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30 to August 8, 2012, and among 202 questionnaires gathered, 19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utilizing the SPSS version 19.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44.3% of workers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The most frequent safety accident was 'once' (60.5%), and most safety accidents took place between June and August (31.4%). The time at which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was between 8 and 11 am.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during cooking (52.3%) and while using a soup pot or frying pot (52.4%). The most common accidents were 'burns', 'wrist and arm pain', and 'slips and falls'. Respondents who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replied that 57.6% of employees dealt with injuries at their own expense, and only 35.3% utilize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 terms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score for 'offer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was highest (3.76 points), whereas that for 'security of budget' was lowest (1.77 points). As for accident education, employees received safety education approximately 3.45 times and 5.10 hours per yea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 foodservice cooks requir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urthermore, educational materials and guidelines based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accid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cooks are required in order to minimize potential risk factors and control safety accidents in school foodservice. 본 연구는 충북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작업환경 및 운영환경의 실태 및 인식,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교급식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및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학교급식에 근무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2012년 7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포된 설문지 총 234부 중 202부(86.3%) 회수하여 응답이 누락된 8부를 제외한 194부(82.9%)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충북지역 조사대상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는 기능직이 72.7%,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평균 49.68세, 학교급식에서의 총 경력 평균은 13.73년이며 현재 근무학교의 경력 평균은 4.51년으로 나타났다. 근무학교의 일반사항으로 급식운영형태는 단독관리가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평균 제공 식수는 평균 497.05명, 급식 인력 수는 영양(교)사를 제외한 평균 5.07명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조사 결과, 현재 학교에서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조리종사원은 44.3%이며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 사고횟수가 1회인 경우가 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8월, 8~11시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응답되었다.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공정은 조리 52.3%, 청소 37.2%이며, 안전사고가 발생한 설비 및 기기는 국솥, 튀김솥이 52.4%로 가장 많았다. 안전사고 유형은 화상 데임 64.7%, 손목과 팔의 통증 41.2%, 미끄러짐 떨어짐 35.3% 순이며, 안전사고 후의 사고 처리 방법으로는 종사자 개인부담 57.6%, 산업재해 처리 35.3% 순이었다. 안전사고 후 산업재해 처리 치료기간은 4~14일 45.3%, 4일 미만 28.3%, 15~28일 17.0%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조리종사원의 과도한 업무량 41.2%, 안전한 급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충분한 근무인원이 71.1%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다. 현재 근무 학교에서 안전사고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조리인원의 부족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물리적 작업환경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환기시설 28.4%, 기계 및 기구의 현대화 22.7%, 조리기기의 효율적 배치 13.9% 순으로 나타났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안전교육의 체계화, 정기화 46.4%, 안전사고의 빈도와 원인 분석 21.6%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하는 학교의 시설 설비 등의 물리적인 작업환경이 얼마나 안전한가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평균이 2.88로 낮은 인식 점수로 나타났으며, 근무하는 학교의 급식생산운영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3.11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환경 평가 조사 결과, 예산확보 항목을 제외한 안전사고 예방 조치 및 처리 항목, 정보제공 및 활용 항목, 작업의 효율성 항목의 평균이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예산확보 항목의 평균은 1.77점으로 매우 낮은 평가 결과를 보였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실태 조사 결과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94.8%, 교육 횟수는 연 3.45회, 교육 시간은 평균 5.10시간이며, 교육 주관 기관은 현재 근무학교가 64.1%, 교육 방법으로는 강의식이 7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안전보건 교육 이해 정도는 3.72점, 산업안전보건 교육 내용의 적합성은 3.88점,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실제 적용 정도
본 연구는 충북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작업환경 및 운영환경의 실태 및 인식,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교급식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및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학교급식에 근무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2012년 7월 30일부터 8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포된 설문지 총 234부 중 202부(86.3%) 회수하여 응답이 누락된 8부를 제외한 194부(82.9%)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충북지역 조사대상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는 기능직이 72.7%,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평균 49.68세, 학교급식에서의 총 경력 평균은 13.73년이며 현재 근무학교의 경력 평균은 4.51년으로 나타났다. 근무학교의 일반사항으로 급식운영형태는 단독관리가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평균 제공 식수는 평균 497.05명, 급식 인력 수는 영양(교)사를 제외한 평균 5.07명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조사 결과, 현재 학교에서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조리종사원은 44.3%이며 안전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 사고횟수가 1회인 경우가 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8월, 8∼11시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응답되었다.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공정은 조리 52.3%, 청소 37.2%이며, 안전사고가 발생한 설비 및 기기는 국솥, 튀김솥이 52.4%로 가장 많았다. 안전사고 유형은 화상・데임 64.7%, 손목과 팔의 통증 41.2%, 미끄러짐・떨어짐 35.3% 순이며, 안전사고 후의 사고 처리 방법으로는 종사자 개인부담 57.6%, 산업재해 처리 35.3% 순이었다. 안전사고 후 산업재해 처리 치료기간은 4∼14일 45.3%, 4일 미만 28.3%, 15∼28일 17.0%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조리종사원의 과도한 업무량 41.2%, 안전한 급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충분한 근무인원이 71.1%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다. 현재 근무 학교에서 안전사고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조리인원의 부족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물리적 작업환경 중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환기시설 28.4%, 기계 및 기구의 현대화 22.7%, 조리기기의 효율적 배치 13.9% 순으로 나타났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안전교육의 체계화, 정기화 46.4%, 안전사고의 빈도와 원인 분석 21.6%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하는 학교의 시설・설비 등의 물리적인 작업환경이 얼마나 안전한가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평균이 2.88로 낮은 인식 점수로 나타났으며, 근무하는 학교의 급식생산운영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3.11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환경 평가 조사 결과, 예산확보 항목을 제외한 안전사고 예방 조치 및 처리 항목, 정보제공 및 활용 항목, 작업의 효율성 항목의 평균이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예산확보 항목의 평균은 1.77점으로 매우 낮은 평가 결과를 보였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실태 조사 결과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94.8%, 교육 횟수는 연 3.45회, 교육 시간은 평균 5.10시간이며, 교육 주관 기관은 현재 근무학교가 64.1%, 교육 방법으로는 강의식이 7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안전보건 교육 이해 정도는 3.72점, 산업안전보건 교육 내용의 적합성은 3.88점,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working and operating environments of school foodservice, status and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educational needs, and informa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4 cooks in charge of cook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ungbu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30 to August 8, 2012, and among 202 questionnaires gathered, 19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utilizing the SPSS version 19.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44.3% of workers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The most frequent safety accident was ‘once’ (60.5%), and most safety accidents took place between June and August (31.4%). The time at which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was between 8 and 11 am. Most safety accidents happened during cooking (52.3%) and while using a soup pot or frying pot (52.4%). The most common accidents were ‘burns’, ‘wrist and arm pain’, and ‘slips and falls’. Respondents who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replied that 57.6% of employees dealt with injuries at their own expense, and only 35.3% utilize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In terms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 score for ‘offer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was highest (3.76 points), whereas that for ‘security of budget’ was lowest (1.77 points). As for accident education, employees received safety education approximately 3.45 times and 5.10 hours per yea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 foodservice cooks requir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urthermore, educational materials and guidelines based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accid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cooks are required in order to minimize potential risk factors and control safety accidents in school foodservice. KCI Citation Count: 9
Author 이영은(Young Eun Lee)
박은혜(Eun Hye Park)
조현아(Hyun A Ch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조현아(Hyun A Cho)
– sequence: 2
  fullname: 이영은(Young Eun Lee)
– sequence: 3
  fullname: 박은혜(Eun Hye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556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kM1Kw0AURoNUsNa-QzaCm8DcmUkmsyy1am2xIN0PaZKRkJpKogt3_oLShd0UFS1UEUWoUBBLn6mdvoPRCq7Od-Hcj8td1jJRK_IXtCzGtm2YnNkZLQsYWwYhAEtaPkmCBkIAiAGjWa2iRu_T0al6O1G3H_qsez_56kzG16rd09XTcPo6UM-X6mygHjqqd6er7pXqX6Tz5LOvq_bL7PxRnw5vdNUbpxsr2qJ0momf_2NOq2-U6sUto1rbLBcLVSPkJL3Dlg1me9h1kGtziqWUXIJHCPU9BhQaLjgAFuZIOhJxbJmS0hSpIU1uAclpa_PaKJYidAPRcoJf7rVEGIvCbr0sGLEJ_lFX52oYJIeBiLykKbYLlRpGQNN_mIiZDDD696KjONj3vcARB2lw4mOxU1svIUw5cLDIN_Gwer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JDI
ACYCR
DEWEY 664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Diet & Clinical Nutrition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Safety Accidents b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DocumentTitle_FL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Safety Accidents b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EISSN 2288-5978
EndPage 160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38321
JAKO201433150757120
NODE02491916
GroupedDBID 5GY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CS3
DBRKI
JDI
TDB
ACYCR
ID FETCH-LOGICAL-k936-38fb78d2ca0c8942fff9f1d334ed7141bc1a116290faf09265f44926d33f59613
ISSN 1226-3311
IngestDate Sun Jun 30 03:40:22 EDT 2024
Fri Dec 22 12:03:25 EST 2023
Thu Feb 06 13:51:01 ES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0
Keywords safety education
school foodservice cooks
operating environment
school foodservice
safety accident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36-38fb78d2ca0c8942fff9f1d334ed7141bc1a116290faf09265f44926d33f59613
Notes KISTI1.1003/JNL.JAKO201433150757120
G704-000433.2014.43.10.01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3315075712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38321
kisti_ndsl_JAKO201433150757120
nurimedia_primary_NODE0249191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
PublicationDateYYYYMMDD 2014-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14
  text: 201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한국식품영양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SSID ssib001107174
ssib053377318
ssib036279094
ssj0064422
ssib044745961
ssib022228958
Score 1.9008571
Snipp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school foodservice, working and operating environments of school foodservice, status and...
본 연구는 충북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작업환경 및 운영환경의 실태 및 인식,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교급식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및 개선방안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학교급식에 근무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SourceID nrf
kisti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594
SubjectTerms 식품과학
Title 충북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및 인식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9191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43315075712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5561
Volume 4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 43(10), , pp.1594-160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da9RAEA-1L_oifmL9KBFcX8JJvnf3McldOVvaClaoTyGXS65Haq7UO6Q-iJ-g9MG-FBUtVBFFqFAQS_-mNv4Pzuzl7hYR_Hi5m5ub3Z2d2WR_s9mdKMqV2AKMyuO4QpnDK3ZiGRXeMKMKtZO00Yz1WHfxcPLsnFu_ZU8vOotjR5rSrqVet3Etvv_bcyX_41XggV_xlOw_eHZYKTCABv_CJ3gYPv_Kx6QWEN8lHic1HwlmIMejuH0BCE6JV9VIrUq4QzgIecQHQhcEI4yjEPMJRyEoZxBfx5o8qDIQHJMwRwiZJYf7ojwQUCkTxaBuxoS0TpgtSUMjFjC1shXPRk2YRXigCX1BfEor6_LZUBcZLtdxeZa2epl2s52tANm7o90mAbQ4lbfWorylzdyLlqJsqZPgsfTB6JF6g2qWaqGiNgDq-lovx9P4Sx1pGWSgR1-SlaYEDu6NZOKeqNWgnNi4JJUS_eDOSLjfIg-gFMrX1xLthtiPzuUFFmO0tDrwT1D6x6sOTSH-MkvzjpRyCTdK8_qB5F4gPMICaZ4B1FuxrHKeSQTPNGF4Q3zH5Mmpn8NqcBHq0lQDONSWYIvh6r-kFBcgZW6-WsOskBCWY156gKO473H2QW2EmQ0M6Yc3ZROXBKUERABwKJfWAGyb2g4fHYaGcIFSa_ToDvC1eHQ37CFEfRgKtQG85auA-Y7mPXxxBdz9JCC3cEI5XkZgqte_nE4qY1nnlDJRbSdd9apapsldVucGb6k4rcwUe18O9x4Vnx8Wr76qPzbfHHzfONh_UaxvqcX73cNPO8WHZ8XjneLtRrH1Wi02nxfbT-H3wbdttVj_-OPJO_Vw96VabO1DiTPKwlRtIahXyneQVDJuQQdY2qCsacaRHjNum2ma8tRoWpadNKlhG43YiAzDNbmeRqnOTddJbUzBCRIpWsk6q4znnTw5p6hJavLE0pu2yyAqZ1aUmjRuRJFBaYKPOyeUSWGnMG_eXQ6nvZl5HIxgQYjYHGqY-oRyGQwYZnE7xJzw-N3qhNlqCJHv9ZBa-M4xqGRo3nCln68mlMfA-T8JXFCOYbv9VcaLynh3tZdcAtzdbUyKcfMTuYGyg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6%A9%EB%B6%81%EC%A7%80%EC%97%AD+%ED%95%99%EA%B5%90%EA%B8%89%EC%8B%9D+%EC%A1%B0%EB%A6%AC%EC%A2%85%EC%82%AC%EC%9B%90%EC%9D%98+%EC%95%88%EC%A0%84%EC%82%AC%EA%B3%A0+%EC%8B%A4%ED%83%9C+%EB%B0%8F+%EC%9D%B8%EC%8B%9D&rft.jtitle=Han%27guk+Sikp%27um+Y%C5%8Fngyang+Kwahakhoe+chi&rft.au=%EC%A1%B0%ED%98%84%EC%95%84%28Hyun+A+Cho%29&rft.au=%EC%9D%B4%EC%98%81%EC%9D%80%28Young+Eun+Lee%29&rft.au=%EB%B0%95%EC%9D%80%ED%98%9C%28Eun+Hye+Park%29&rft.date=2014&rft.pub=%ED%95%9C%EA%B5%AD%EC%8B%9D%ED%92%88%EC%98%81%EC%96%91%EA%B3%BC%ED%95%99%ED%9A%8C&rft.issn=1226-3311&rft.eissn=2288-5978&rft.volume=43&rft.issue=10&rft.spage=1594&rft.epage=1606&rft.externalDocID=NODE0249191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331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331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331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