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시료 채취 개수 및 간격 선정을 위한 지구통계학적 기법과 데이터 마이닝 적용 연구

Tidal mudflat is a reservoir for diverse microbial resources.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 can be easily influenc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representative samples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32; no. 12; pp. 1102 - 1110
Main Authors 양지훈(Ji Hoon Yang), 이재진(Jae Jin Lee), 유근제(Keun Je Yoo), 박준홍(Joon Ho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Cover

Abstract Tidal mudflat is a reservoir for diverse microbial resources.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 can be easily influenc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representative samples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tidal mudflat regions in the Kangwha tidal mudflat using geo-statistics and data-mining. According to the geo-statistical analysis, most correlation range values for the vegetation region were smaller than those for the non-vegetation region, which suggested that the shorter number and interval of sampling are required for the vegetation tidal mudflat environment due to its higher degree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mplexity and heterogeneity. The data-mining analysis suggested that the organic content and nitrate were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microbial diversity in the vegetation region while pH and sulfate we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the non-vegetation reg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d data-mining integration approach, we proposed a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sampling interval and number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갯벌 퇴적토는 미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다. 지속적인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대표성을 지닌 시료의 채취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여차리 갯벌을 대상으로 식생이 있는 지역과 식생이 없는 지역의 미생물 다양성과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 통계학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갯벌 시료에서 측정된 미생물 다양성과 다양한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의 상관거리가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 비하여 대체로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의 높은 생태학적 및 이화학적 복잡성과 이질성으로 인해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보다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영향 인자를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질산염이온,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pH와 황산염이온이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구통계학 및 데이터 마이닝 분석 결과들을 활용해서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 간격 및 개수 선정 지침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List Tidal mudflat is a reservoir for diverse microbial resources.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 can be easily influenc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representative samples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tidal mudflat regions in the Kangwha tidal mudflat using geo-statistics and data-mining. According to the geo-statistical analysis, most correlation range values for the vegetation region were smaller than those for the non-vegetation region, which suggested that the shorter number and interval of sampling are required for the vegetation tidal mudflat environment due to its higher degree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mplexity and heterogeneity. The data-mining analysis suggested that the organic content and nitrate were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microbial diversity in the vegetation region while pH and sulfate we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the non-vegetation reg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d data-mining integration approach, we proposed a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sampling interval and number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갯벌 퇴적토는 미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다. 지속적인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대표성을 지닌 시료의 채취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여차리 갯벌을 대상으로 식생이 있는 지역과 식생이 없는 지역의 미생물 다양성과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 통계학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갯벌 시료에서 측정된 미생물 다양성과 다양한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의 상관거리가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 비하여 대체로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의 높은 생태학적 및 이화학적 복잡성과 이질성으로 인해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보다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영향 인자를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질산염이온,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pH와 황산염이온이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구통계학 및 데이터 마이닝 분석 결과들을 활용해서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 간격 및 개수 선정 지침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갯벌 퇴적토는 미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다. 지속적인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대표성을 지닌 시료의 채취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여차리 갯벌을 대상으로 식생이 있는 지역과 식생이 없는 지역의 미생물 다양성과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통계학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갯벌 시료에서 측정된 미생물 다양성과 다양한 이화학적 특성치를 지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의 상관거리가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 비하여 대체로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의 높은 생태학적 및 이화학적 복잡성과 이질성으로 인해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보다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영향 인자를 분석한 결과,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질산염이온,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pH와 황산염이온이 미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구통계학 및 데이터 마이닝 분석 결과들을 활용해서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 간격 및 개수 선정 지침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Tidal mudflat is a reservoir for diverse microbial resources.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 can be easily influenced by various huma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take representative samples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tidal mudflat regions in the Kangwha tidal mudflat using geo-statistics and data-mining. According to the geo-statistical analysis, most correlation range values for the vegetation region were smaller than those for the non-vegetation region, which suggested that the shorter number and interval of sampling are required for the vegetation tidal mudflat environment due to its higher degree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mplexity and heterogeneity. The data-mining analysis suggested that the organic content and nitrate were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microbial diversity in the vegetation region while pH and sulfate we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in the non-vegetation reg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d data-mining integration approach, we proposed a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sampling interval and number to monitor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재진(Jae Jin Lee)
양지훈(Ji Hoon Yang)
박준홍(Joon Hong Park)
유근제(Keun Je Yo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양지훈(Ji Hoon Yang)
– sequence: 2
  fullname: 이재진(Jae Jin Lee)
– sequence: 3
  fullname: 유근제(Keun Je Yoo)
– sequence: 4
  fullname: 박준홍(Joon Hong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478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jctKw0AYhYMoWLXvMBvBTWAumWSyLF6rYkG6H6ZpIqGaSqMLd4pBClXERb3RQkGhVQRjVXThE2Wm7-Cggqvz_fCd808Z41E98seMHCaMmA5DcNzIIYypSSGmk0Y-jsMKtCyHWJBZOeMqS5_l8BTI50913JVPX0C27tXlhUpegHwcyFZzlKSyfwRUqyPvToF6SdTHAGRpRzWvgUzPNSbZ8AGopKd6bdVNgOoko3YHqP5h9v40OnnPXvV9o3pHIPtM5bCdveonZ6nqvulpIPtNTbLVBdpQt3roKtW9GWMiENuxn__LaaO8tFieXzHXS8vF-cK6WXMJNYXr08BBVSow9rENLZsxEWDh2hRSD1Vcl3jQ8SBF1A1IxcdVbAdMVBAJbORZkEwbc7-zUSPgNS_kdRH-5Fad1xq8sFkucgwJQVSrs79qLYz3Qh5V422-WlgrYYggYg7FjLrMRv9etN8Id_xqKPiuBtE44BulhUVoa9WyKfkGKYKsH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JDI
ACYCR
DEWEY 628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Application of Geo-Statistic and Data-Mining for Determining Sampling Number and Interval for Monitoring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DocumentTitle_FL Application of Geo-Statistic and Data-Mining for Determining Sampling Number and Interval for Monitoring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EISSN 2383-7810
EndPage 111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03315
JAKO201018752859861
NODE06752465
GroupedDBID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GROUPED_DOAJ
GW5
JDI
MZR
TDB
ZZE
.UV
85H
ACYCR
ID FETCH-LOGICAL-k935-a9e5f71d5a22e2604688af2a96505c1b993c07c05159f3be2d26f8ab13f61c403
ISSN 1225-5025
IngestDate Wed Feb 07 01:48:30 EST 2024
Fri Dec 22 12:02:30 EST 2023
Thu Mar 13 19:38:45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2
Keywords Geo-statistic
Microbial Diversity
시료채취개수
갯벌
Data-mining
Number of Sample
지구통계학
미생물 다양성
데이터 마이닝
Tidal Mudfla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35-a9e5f71d5a22e2604688af2a96505c1b993c07c05159f3be2d26f8ab13f61c403
Notes KISTI1.1003/JNL.JAKO201018752859861
G704-000098.2010.32.12.001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01875285986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03315
kisti_ndsl_JAKO201018752859861
nurimedia_primary_NODE0675246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0
PublicationDateYYYYMMDD 2010-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10
  text: 201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PublicationYear 2010
Publisher 대한환경공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환경공학회
SSID ssib044734084
ssib053377094
ssj0002782626
ssib022229522
Score 1.7128029
Snippet Tidal mudflat is a reservoir for diverse microbial resources. Microbial diversity in tidal mudflat sediment can be easily influenced by various human...
갯벌 퇴적토는 미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갯벌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이 달라질 수 있다. 지속적인 퇴적토 내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대표성을 지닌 시료의 채취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여차리 갯벌을 대상으로 식생이 있는...
SourceID nrf
kisti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102
SubjectTerms 환경공학
Title 갯벌 미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시료 채취 개수 및 간격 선정을 위한 지구통계학적 기법과 데이터 마이닝 적용 연구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75246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01875285986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34783
Volume 3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환경공학회지, 2010, 32(12), , pp.1102-111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da9RAMNS-qA_iJ9aPEsE8HZF8bJLdx9xHqRXalwp9C7lLctee3EntIfpk8ZDCVcSHWpU7KCi0SqHX1mIf_CP-hUv6H5zZJNdUCn687E12JjOzM8nu7NxmVxDuWjopuz5VZU8LTJl4PpWpZ7qy5jIz0IIAt4TD1RbT5uRDMjVnzI2c-ZlZtdRaKt-rPD_1u5L_8SrUgV_xK9l_8OyQKVQADP6FEjwM5V_5WCrZUl6R7AmplJfymkQLOYTgOk-lUkGiusSKvKYg5WMchQuCOGZKTOVERMqr8X22ZNOEiAJQ5DiFoywIOXOcPC-xAq_SY3nAWkVCBCxgkEu0QqoC8mGUc4cqOpEikd5GlW2WS5SwFQSgZAbXD6VzHONo0AYQLJaI6iicg4FtQ01NhLFGz1CzhCXX3UarxM0BwSylTg1T5DguOE-Gjc-lracZHLcQK-aG3DnOThvDLM4q0S4b_hddvwYdau0ppp2t6jMfT3qqQlFzq7la01-YT1-AEy5KmgttQsecIIkVAqDEDRHTkhMkXEfUBtQqpDYuHJNw18RGh0cjEcTAINmMULIqOB6-oHeWDSX-lPyez-sgJtNliyZkyZh3nFNuDdexxyMYhINaJhqCoVA5DhXS5RG_RRDDdZ1T9oMZ1EiFWTDujEh5YgJiYJpJdkBPTwj0EcrxF9Iw57CsNNGwEP8drpn8rMRhk2D2iFOqeQgCG4sQO55ttPAADOhFMwHh7EXhQjKTE-34tbwkjNSbl4Xzmf09rwjrg_5OuLcqhjuH0cteuP1DDDufo3dvo_auGH7dCjsrR-1-uLksRp1u-GlVjHbb0fctcdDvRivvxbD_BsD2YO-LGLU3oo21qNcWo277aK0rRpsvBgfbR68OBvtw_SHaWBYHh_1wb22wD0Je96PeN2AthpsrAIWdnggU0UdgtN6H-64KsxOl2cKknJyEIteZbsgu843AUj3D1TRfMxViUuoG2J3C_KWilmGOUVGsCh7XxAK97GueZgbULat6YKoVoujXhNFGs-FfF0TLJYHpk7JPLI9QF4CK4hHg7rmWppfNMWGcW9lpeE8eOaf4c0y4A-Z36pV5B3emx99q06kvOjD_vu9oiq6rBjAZOsd5HO-a40zPFEuYntCIadz4k5Sbwrl4mQ7mOm8Jo0uLLf82RP9L5XH-IP0C3pfqYA
linkProvider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AF%EB%B2%8C+%EB%AF%B8%EC%83%9D%EB%AC%BC+%EB%8B%A4%EC%96%91%EC%84%B1+%EB%AA%A8%EB%8B%88%ED%84%B0%EB%A7%81+%EC%8B%9C%EB%A3%8C+%EC%B1%84%EC%B7%A8+%EA%B0%9C%EC%88%98+%EB%B0%8F+%EA%B0%84%EA%B2%A9+%EC%84%A0%EC%A0%95%EC%9D%84+%EC%9C%84%ED%95%9C+%EC%A7%80%EA%B5%AC%ED%86%B5%EA%B3%84%ED%95%99%EC%A0%81+%EA%B8%B0%EB%B2%95%EA%B3%BC+%EB%8D%B0%EC%9D%B4%ED%84%B0+%EB%A7%88%EC%9D%B4%EB%8B%9D+%EC%A0%81%EC%9A%A9+%EC%97%B0%EA%B5%AC&rft.jtitle=Daehan+hwan%27gyeong+gonghag+hoeji&rft.au=%EC%96%91%EC%A7%80%ED%9B%88&rft.au=%EC%9D%B4%EC%9E%AC%EC%A7%84&rft.au=%EC%9C%A0%EA%B7%BC%EC%A0%9C&rft.au=%EB%B0%95%EC%A4%80%ED%99%8D&rft.date=2010&rft.issn=1225-5025&rft.eissn=2383-7810&rft.volume=32&rft.issue=12&rft.spage=1102&rft.epage=111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01875285986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02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02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02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