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 이상 성인의 수면시간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time and suicidal ideation in adults with mental problems and without.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softwa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5) Vol. 16; no. 5; pp. 420 - 427
Main Authors 황은희(Eun Hee Hwang), 박민희(Min He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5.4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time and suicidal ideation in adults with mental problems and without.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software package considering complex samples analysis. The subjects were 6,199 adults.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was 13.7% (880 people). 13.3% (846 people)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d depression and out of whom 43.1% (329 people) have had suicidal ideation. 2.7% (164 people) of the subject had received the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out of whom 40.2% (63 people) have had suicidal ideation. Comparing to group having sleep over 6 hours of more, the group of short sleep had 1.33 times high risk of suicidal ideation among general adults, 1.92 times high risk of suicidal ideation among group who had experienced depression and, 7.10 times high risk of suicidal ideation among group who had received the mental health counseling.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eneral adults with short sleep time as well as adults with depression or mental health problems have to be managed to prevent suicid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 성인과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의 수면시간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199명으로 이중 880명(13.7%)이 자살 생각을 하고 있었다. 우울을 경험한 적이 있는 성인은 846명(13.3%)이었으며 이중 329명(43.1%)이 자살생각을 하고 있었으며, 정신건강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성인은 164명(2.7%)으로 이 중 63명(40.2%)이 자살 생각을 하고 있었다. 6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1~5시간의 짧은 수면을 취할 때, 일반성인 그룹에서는 자살생각을 할 위험이 1.33배 높았으며, 우울을 겪은 그룹에서는 자살생각의 위험이 1.92배, 정신건강 상담을 받은 적 있는 그룹에서는 자살생각을 할 위험이 7.10배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짧은 수면시간이 우울 경험이나 정신건강 문제를 매개하지 않아도 자살의 위험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뿐 만 아니라 일반 성인의 수면장애도 자살예방 차원에서 중재되어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16853628452
G704-001475.2016.16.5.063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5.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