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 발효물의 Lignan 함량과 항산화 활성 변화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ermented sesame by cultiv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gnan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5; no. 1; pp. 143 - 14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ermented sesame by cultiv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gnan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ranged from 2.35~6.58 mg/g and 2.17 to 6.58 mg/g,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were 51.90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and 25.94 mg GA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RAC value ranged from 37.95 to 82.57% and from 172.34 to $1,067.80{\mu}M$ TE/g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respectively. Fermented sesame had higher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of non-fermented sesame. Fermented sesame subjected to bioconversion showed increased lignan content and high antioxidant activity.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의 lignan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ORAC 지수)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ignan 함량은 생물전환에 의한 발효 참깨 S-3가 6.58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발효 참깨 S-4가 2.17 m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생물전환을 통한 발효 시 5가지 품종별 참깨 모두 lignan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은 발효 참깨 S-2, S-3가 51.90 51.65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비발효 참깨 S-5가 16.70 mg GAE/g으로 가장 낮았으나 발효 시 46.70 mg GAE/g으로 나타나 약 3배 이상의 증가된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발효 참깨 S-3에서 82.57%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참깨 S-5에서 37.95%의 가장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ORAC 지수의 경우는 발효 참깨 S-2에서 $1,067.80{\mu}M$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다음 발효 참깨 S-3, S-4가 각각 997.19, $1,020.03{\mu}M$ TE/g으로 나타났다. 비발효 참깨 S-5에서 $172.34{\mu}M$ TE/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발효 시 $1,020.03{\mu}M$ TE/g으로 확연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물전환에 의한 참깨 발효 시 lignan 함량의 증가와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06050646736 G704-000433.2016.45.1.005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