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peopl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47 old people participating in the leasure activity program...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10) Vol. 12; no. 10; pp. 291 - 30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10.291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peopl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47 old people participating in the leasure activity programs operated by 10 facilities for the aged in Seoul,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was used as a main data analysis method for hypothesis test. This study found that productive leasure activity had a beneficial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measured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and loneliness, whereas consumptive leasure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life satisfaction; that, with regard to social support, spouse support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friend support and children support, whereas friend support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loneliness, followed by spouse support;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lea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spouse support and friend suppor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leasure activity and loneliness was moderated by friend support.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대학 및 노인문화센터 10곳의 여가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47명의 노인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여가활동은 심리적 복지감의 긍정적 차원인 생활만족도의 증진과 부정적 차원인 고독감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나, 소비적 여가활동은 생활만족도의 증진에만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생활만족도 증진에는 배우자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자녀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고독감 감소에는 친구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배우자지지였으며, 자녀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 유형 중에서 배우자지지와 친구지지의 두 유형이 생산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생산적 여가활동과 고독감 간의관계에 대해서는 친구지지만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33355898523 G704-001475.2012.12.10.033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10.2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