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국장이 난소적출 마우스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It has been reported that Chungkukjang, one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may improve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immunoenhancing effects of Chungkukjang in ovariectomized mice. For the first period, female SLC ddy mice...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2; no. 12; pp. 1930 - 193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It has been reported that Chungkukjang, one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may improve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immunoenhancing effects of Chungkukjang in ovariectomized mice. For the first period, female SLC ddy mice were either sham-operated (Sham; n=27) or ovariectomized (OVX; n=27). As a basal diet, ovariectomized mice were fed low-calcium diet for faster induction of osteoporosis for six weeks, and those in the Sham group were fed AIN-76 diet. For the second period, half of the OVX group (n=9) and the Sham group (n=9) were fed a Chungkukjang-based diet (CKJ); whereas the other half (OVX; n=9/ Sham; n=9) were fed a casein-based diet (CSI) for 8 weeks. After a second period, we collected the blood via heart puncture and measured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T lymphocyte subsets by flowcytometry, and levels of serum cytokines (IL-2, IL-4, IL-6, IL-10, IFN-${\gamma}$ and TNF-${\alpha}$) by ELISA assay. The OVX+CKJ group showed higher splenocytes proliferation, higher ratio of CD4/CD8, and lower levels of IL-6 and TNF-${\alpha}$ cytokines compared to the OVX+CSI group. The Sham+CKJ group showed cytokine productions, such as higher levels of IL-10 and IFN-${\gamma}$, and lower levels of IL-6 and TNF-${\alpha}$ compared to the Sham+CSI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hungkukjang may lower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 both the OVX and Sham groups. In addition, Chungkukjang could make a balance of T cell subset proliferations and enhance the splenocyte proliferations in the OVX group. 본 연구에서는 천연 식품으로부터 면역증진능을 갖는 식품 소재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골대사 약화 상태의 마우스에게 청국장 배합 사료를 투여했을 때 카제인 배합사료에 비하여 가질 수 있는 세포 매개성 면역능의 증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제 1단계로서 난소적출군은 저칼슘 식이, Sham군은 AIN-76 식이를 6주간 공급한 후, 각 군을 청국장 배합 사료군 혹은 카제인 배합사료군으로 나누어 8주간 제 2단계의 식이를 공급하였다. 면역 지표로는 비장세포 증식능, 혈중 T 림프구 아형수와 혈중 사이토카인(IL-2, IL-4, IL-6, IL-10, IFN-${\gamma}$, TNF-${\alpha}$)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난소적출군에서 청국장배합 사료군의 비장 세포 증식능이 카제인 배합 사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중 T 림프구 아형 비율인 CD4/CD8의 비율도 청국장 배합 사료군에서 더 높았다. 혈중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난소적출군에서 청국장 배합 사료 투여군의 IL-6와 TNF-${\alpha}$ 분비량이 카제인 배합 사료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난소적출 마우스의 면역능에 청국장 배합 사료가 미치는 영향으로 카제인 배합사료에 비하여 비장 세포 증식능 활성화, 골 대사와 연관있는 대표적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 분비 억제 및 조절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청국장 배합 사료는 난소적출 마우스 면역계의 조절 기전에 작용하여 면역세포 활성을 촉진시키고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초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청국장의 면역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을 위한 연구의 뒷받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02334341062 G704-000433.2013.42.12.006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