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수산물에서 분리한 Vibrio vulnificus의 항생제 내성 및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유전적 특성 분석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굴, 전복 등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 승으로 V. vulnificus의 분포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 고 있다. 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g sigpum wi'saeng anjeonseong haghoeji Vol. 40; no. 1; pp. 27 - 38
Main Authors 최은지, 이미루, 박건택, Eunji Choi, Miru Lee, Kun Taek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8.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153
2465-9223

Cover

Abstract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굴, 전복 등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 승으로 V. vulnificus의 분포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에서 V. vulnificus 분리, 항 생제 감수성 검사, MLST 분석,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병원성 유전자 확인, MIC를 통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 석, 더 나아가 bv-brc에 등록된 아시아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들과 함께 cgMLST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3 년4월-7월까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지역의 대형마트에 서 유통되는 수산물 시료 총 84건에서 V. vulnificus가 바 지락에서 총2주(2.4%) 분리되었으며, 2균주 모두 colistin 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V. vulnificus의 치료에 사용되 는 ciprofloxa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내 성을 보이지 않았다.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 결 과, 유전자 상 두 균주는 동일한 클론으로 확인되었으며,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결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sequence type으로 확인되었다. Virulence gene 분 석 결과, 총123개의 병원성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중요한 병원성 유전자 rtxA, vvhA, viuB, ompU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결과 분리된 두 균주 에서 모두 tet(34), tet(35), varG, norM 내성 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cgMLST 분석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 된 두 균주는 동일 cluster로 확인되었고, 기타 국내 및 아 시아 지역에서 분리된 V. vulnificus를 포함한 분석에서 균 주 간 역학적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V. vulnificus 가 해수의 흐름을 타고 이동하여 분포 범위가 넓고 특정 지역에 일정한 특징을 가진 균이 밀집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V. vulnificus로 인해 매년 사망자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은 V. vulnificus가 가지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고,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발생 시 V. vulnificus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으로 V. vulnificus 검출 연구,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감염 위험성 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수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전파 위험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수산물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V. vulnificus 의 모니터링 및 위험도 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proliferates in seawater that has a temperature >18oC and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It is found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nd it frequently contaminates seafood, such as oysters and abalone, particularly from May to October in Korea. Global warming is a risk factor for V. vulnificus infections, such as Vibrio septicemia from raw or undercooked seafood and necrotizing disease caused by contact of contaminated seawater with skin wounds. In this study, V. vulnificus was isolated from 84 seafood samples collected from supermarket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etween April and July 2023. V. vulnificus was identified in 2.4% of the samples (n=2).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the isolates revealed strong resistance to colistin.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identified both isolates as novel sequence types. Whole-genome sequencing revealed 123 virulence genes, including rtxA,vvhA,viuB, and ompU. Additionally,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tet(34), tet(35), varG, and norM were detected in both isolates. Comparative core-genome MLST analysis with global V. vulnificus strains indicated no clonal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for robust monitoring and tracking of V. vulnificus in sea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ins to mitigate the potential public health risks. The detection of novel sequence types and virulence-associated genes highlights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is pathogen for seafood safety.
AbstractList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proliferates in seawater that has a temperature >18℃ and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It is found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nd it frequently contaminates seafood, such as oysters and abalone, particularly from May to October in Korea. Global warming is a risk factor for V. vulnificus infections, such as Vibrio septicemia from raw or undercooked seafood and necrotizing disease caused by contact of contaminated seawater with skin wounds. In this study, V. vulnificus was isolated from 84 seafood samples collected from supermarket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etween April and July 2023. V. vulnificus was identified in 2.4% of the samples (n=2).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the isolates revealed strong resistance to colistin.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identified both isolates as novel sequence types. Whole-genome sequencing revealed 123 virulence genes, including rtxA,vvhA,viuB, and ompU. Additionally,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tet(34), tet(35), varG, and norM were detected in both isolates. Comparative core-genome MLST analysis with global V. vulnificus strains indicated no clonal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for robust monitoring and tracking of V. vulnificus in sea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ins to mitigate the potential public health risks. The detection of novel sequence types and virulence-associated genes highlights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is pathogen for seafood safety.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 이상이고 염도가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굴, 전복 등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V. vulnificus의 분포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에서 V. vulnificus 분리, 항생제 감수성 검사, MLST 분석,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병원성 유전자 확인, MIC를 통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더 나아가 bv-brc에 등록된 아시아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들과 함께 cgMLST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3년4월-7월까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지역의 대형마트에서 유통되는 수산물 시료 총 84건에서 V. vulnificus가 바지락에서 총2주(2.4%) 분리되었으며, 2균주 모두 colistin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V. vulnificus의 치료에 사용되는 ciprofloxa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 결과, 유전자 상 두 균주는 동일한 클론으로 확인되었으며,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결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sequence type으로 확인되었다. Virulence gene 분석 결과, 총123개의 병원성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중요한 병원성 유전자 rtxA, vvhA, viuB, ompU유전자가 확인되었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결과 분리된 두 균주에서 모두 tet(34), tet(35), varG, norM 내성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cgMLST 분석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된 두 균주는 동일 cluster로 확인되었고, 기타 국내 및 아시아 지역에서 분리된 V. vulnificus를 포함한 분석에서 균주 간 역학적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V. vulnificus가 해수의 흐름을 타고 이동하여 분포 범위가 넓고 특정 지역에 일정한 특징을 가진 균이 밀집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V. vulnificus로 인해 매년 사망자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은 V. vulnificus가 가지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고,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발생 시 V. vulnificus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으로 V. vulnificus 검출 연구,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감염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수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전파 위험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수산물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V. vulnificus의 모니터링 및 위험도 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굴, 전복 등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 승으로 V. vulnificus의 분포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에서 V. vulnificus 분리, 항 생제 감수성 검사, MLST 분석,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병원성 유전자 확인, MIC를 통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 석, 더 나아가 bv-brc에 등록된 아시아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들과 함께 cgMLST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3 년4월-7월까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지역의 대형마트에 서 유통되는 수산물 시료 총 84건에서 V. vulnificus가 바 지락에서 총2주(2.4%) 분리되었으며, 2균주 모두 colistin 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V. vulnificus의 치료에 사용되 는 ciprofloxa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내 성을 보이지 않았다.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 결 과, 유전자 상 두 균주는 동일한 클론으로 확인되었으며,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결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sequence type으로 확인되었다. Virulence gene 분 석 결과, 총123개의 병원성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중요한 병원성 유전자 rtxA, vvhA, viuB, ompU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결과 분리된 두 균주 에서 모두 tet(34), tet(35), varG, norM 내성 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cgMLST 분석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 된 두 균주는 동일 cluster로 확인되었고, 기타 국내 및 아 시아 지역에서 분리된 V. vulnificus를 포함한 분석에서 균 주 간 역학적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V. vulnificus 가 해수의 흐름을 타고 이동하여 분포 범위가 넓고 특정 지역에 일정한 특징을 가진 균이 밀집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V. vulnificus로 인해 매년 사망자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은 V. vulnificus가 가지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고,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발생 시 V. vulnificus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으로 V. vulnificus 검출 연구,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감염 위험성 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수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전파 위험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수산물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V. vulnificus 의 모니터링 및 위험도 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proliferates in seawater that has a temperature >18oC and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It is found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nd it frequently contaminates seafood, such as oysters and abalone, particularly from May to October in Korea. Global warming is a risk factor for V. vulnificus infections, such as Vibrio septicemia from raw or undercooked seafood and necrotizing disease caused by contact of contaminated seawater with skin wounds. In this study, V. vulnificus was isolated from 84 seafood samples collected from supermarket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etween April and July 2023. V. vulnificus was identified in 2.4% of the samples (n=2).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the isolates revealed strong resistance to colistin.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identified both isolates as novel sequence types. Whole-genome sequencing revealed 123 virulence genes, including rtxA,vvhA,viuB, and ompU. Additionally,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tet(34), tet(35), varG, and norM were detected in both isolates. Comparative core-genome MLST analysis with global V. vulnificus strains indicated no clonal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for robust monitoring and tracking of V. vulnificus in sea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ins to mitigate the potential public health risks. The detection of novel sequence types and virulence-associated genes highlights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is pathogen for seafood safety.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 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환경에 서식하며, 굴, 전복 등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의 상 승으로 V. vulnificus의 분포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비브리오 패혈증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에서 V. vulnificus 분리, 항 생제 감수성 검사, MLST 분석,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병원성 유전자 확인, MIC를 통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 석, 더 나아가 bv-brc에 등록된 아시아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주들과 함께 cgMLST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3 년4월-7월까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지역의 대형마트에 서 유통되는 수산물 시료 총 84건에서 V. vulnificus가 바 지락에서 총2주(2.4%) 분리되었으며, 2균주 모두 colistin 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V. vulnificus의 치료에 사용되 는 ciprofloxa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내 성을 보이지 않았다.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 결 과, 유전자 상 두 균주는 동일한 클론으로 확인되었으며,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결과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sequence type으로 확인되었다. Virulence gene 분 석 결과, 총123개의 병원성 유전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중요한 병원성 유전자 rtxA, vvhA, viuB, ompU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결과 분리된 두 균주 에서 모두 tet(34), tet(35), varG, norM 내성 유전자가 확 인되었다. cgMLST 분석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 된 두 균주는 동일 cluster로 확인되었고, 기타 국내 및 아 시아 지역에서 분리된 V. vulnificus를 포함한 분석에서 균 주 간 역학적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V. vulnificus 가 해수의 흐름을 타고 이동하여 분포 범위가 넓고 특정 지역에 일정한 특징을 가진 균이 밀집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V. vulnificus로 인해 매년 사망자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은 V. vulnificus가 가지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고,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발생 시 V. vulnificus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으로 V. vulnificus 검출 연구,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감염 위험성 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수산물을 통한 V. vulnificus 전파 위험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수산물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V. vulnificus 의 모니터링 및 위험도 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proliferates in seawater that has a temperature >18o C and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It is found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nd it frequently contaminates seafood, such as oysters and abalone, particularly from May to October in Korea. Global warming is a risk factor for V. vulnificus infections, such as Vibrio septicemia from raw or undercooked seafood and necrotizing disease caused by contact of contaminated seawater with skin wounds. In this study, V. vulnificus was isolated from 84 seafood samples collected from supermarket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between April and July 2023. V. vulnificus was identified in 2.4% of the samples (n=2).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the isolates revealed strong resistance to colistin.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identified both isolates as novel sequence types. Whole-genome sequencing revealed 123 virulence genes, including rtxA,vvhA,viuB, and ompU. Additionally,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tet(34), tet(35), varG, and norM were detected in both isolates. Comparative core-genome MLST analysis with global V. vulnificus strains indicated no clonal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for robust monitoring and tracking of V. vulnificus in sea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ins to mitigate the potential public health risks. The detection of novel sequence types and virulence-associated genes highlights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is pathogen for seafood safety.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미루
박건택
Miru Lee
Kun Taek Park
Eunji Choi
최은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은지
– sequence: 2
  fullname: 이미루
– sequence: 3
  fullname: 박건택
– sequence: 4
  fullname: Eunji Choi
– sequence: 5
  fullname: Miru Lee
– sequence: 6
  fullname: Kun Taek Par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97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81Kw0AURoNUsNa-w4C4EQKZmUwmsyzFn2qhIMXtkEwaHVMSSKx7axBxo5tiF410o6sKVaog-EadvoNJ29V34Z7vXO62VgqjsLOhlZFpEZ0hhEtaGSLEdAgJ3tKqSSJdAxPGkEVZWUvVaLy4_wbqYaj60_nkT708q3QE5j_p_H2yGIzAuXRjGYGbXjeUvhS9RGVDsBh8qLtMjXOwP1PpJ5hPn4Aap-r1DeTGYvqaFRKVZipLQX6icK1X41uwePxd1pbEjrbpO92kU11nRWsfHrTrx3qzddSo15p6wDDUMXE9JIiDmYeZ63guotQVmArfRMzE1LaJi4VjUWRDz7KZ4VjCsik2XGH6lmC4ou2vtGHs80BIHjlymRcRD2JeO2s3ODTyCmEwh_dWcCCTa8lDL-nyk9ppCxmIQIMS0zAYpAW3u-aiuOMk4jLqOjG_inpxmL_CTcywbeJ_DyWax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JDI
ACYCR
DEWEY 613
641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Public Health
Diet & Clinical Nutrition
DocumentTitleAlternat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Whole Genome Sequencing Base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Seafood in Korea
EISSN 2465-9223
EndPage 3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87591
JAKO202510754009171
439384
GroupedDBID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KROLR
ACYCR
ID FETCH-LOGICAL-k931-35bd2c5a39d39badb277bc37cf429437885b3ca67281d6890a6c68730bc4f6c93
ISSN 1229-1153
IngestDate Thu Mar 06 04:56:40 EST 2025
Wed Apr 30 02:10:59 EDT 2025
Sun Mar 16 04:10:32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V. vulnifiicus
Antimicrobial resistance
Whole genome sequencing
Virulence gene
Multi-locus sequence typing
vulnifiicus
V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31-35bd2c5a39d39badb277bc37cf429437885b3ca67281d6890a6c68730bc4f6c93
Notes KISTI1.1003/JNL.JAKO202510754009171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075400917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87591
kisti_ndsl_JAKO202510754009171
koreascholar_journals_43938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5
  text: 2025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Han'gug sigpum wi'saeng anjeonseong haghoeji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SSID ssib035992679
ssib001151703
ssib044738285
ssj0001722923
Score 2.2825253
Snippet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terium that proliferates in seawater that has a temperature >18℃ and 15-25 practical salinity units. It is...
Vibrio vulnificus는 그람 음성 세균의 호염성 세균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 해수 온도가 18o C 이상이고 염도가 15- 25 practical salinity units (psu)일 때 가장 활발하게 증식 한다. 전 세계적으로 해수, 강 하구, 갯벌 등 다양한 해양...
SourceID nrf
kisti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27
SubjectTerms 식품과학
TableOfContents ABSTRACT Materials & Methods Sample collec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 vulnificu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Whole genome sequencing analysis Core genome MLST (cgMLST)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Isolation of V. vulnificus from seafoo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Whole genome sequencing analysis cgMLST analysis Acknowledgement 국문 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Supplementary Table 1
Title 유통 수산물에서 분리한 Vibrio vulnificus의 항생제 내성 및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유전적 특성 분석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38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1075400917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9746
Volume 4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25, 40(1), , pp.27-3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I-2nbggECAGY4oEPkVB-R_7mLSdxtDgMtBuUf616zpatK4gcUBiVAhxgcvEDivqBU5DGmggIfEJ-CpNvwPv2WmTTRMCLqnr9_z8y3t2_J5jO5J0K7E0aoUpNF7LclWrbtTViCZUNc00rddDXQtjnIdcvecsP7BW1u31mdlfpVVLvZ3odvzszH0l_2NVyAO74i7Zf7DsVChkQBrsC1ewMFz_ysakViGsQjyN1KqEOsS3FcyilDDKEwbxgeYTr0L8Cud2CdM4yYKSCtJ8B_8gk4N8IInZSHuImwE6ypPeVhuXE_W6vDxQqZIzeVUuycTcGoeRi8R6rbwWXxe1aIQuKTkb5URWI54AnN9DieajhDI8gbiaY6CWMr3lAvHZojChC3aP-OwUrBPSy576Ms4Mu41eQ-k2G497j5SnTXy3EaZ8U-dmiqvQ8TtNG2Fjo5NuNictl6NHOBOoAo1LqFZmAYovtL5EfMoTJvFowcJVBvdVA9A6560KVU9joF57s6lUNjrN8syNUd4Jj31tqh4uaWo0nysTSAY2F6G4XBMTe0IpQZqqkuttIpDxhEdopTSwGQZTwfsXg0nK8wzLsVVmiP3ek9FQHJ51otfnQ5tbcpLEiTynTioH39ak1qw0a-o44qw-rxWOOTiWbvG-37QZM5zi_TA8J0w8SrGYHXUBL_824xQ4RI8YUjXBQ2x1cMOGmPwBn7C9XS_5hGsXpPN5MCd7omdelGZanUtSPzsYjl99k7PX-9nu0ejwZ_b-XdY_kEff-6NPh-O9A1n0LLnoWdlgXx7vfc5eDrIhMO4eZ_0v8ujorZwN-9mHjzJIxNTXYxSS9QfZoC9DFSgrJw1fyOM3P3gxznFZWluqrVWW1fxbJ2qLmbpq2lFixHZossRkUZhEhutGsenGdfAXLfzmgx2Zcei4BsSXDmVa6MQOhdE5iq26EzPzijTX7rTTq5KsuSyGOAJ5NSsK49B2ktAJQzM1ElzUOC8tcj0G7aS7Fax4d-9j29QhdIDhnOmuPi8tlBUc5A-8biDsOy_dBIUHrbgZ4NH0-NvoBK3tAALwO4GuASyb6df-LOS6dK7oEQvS3M52L70B3v1OtMgbzm9lLtx5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A0%ED%86%B5+%EC%88%98%EC%82%B0%EB%AC%BC%EC%97%90%EC%84%9C+%EB%B6%84%EB%A6%AC%ED%95%9C+Vibrio+vulnificus%EC%9D%98+%ED%95%AD%EC%83%9D%EC%A0%9C+%EB%82%B4%EC%84%B1+%EB%B0%8F+%EC%A0%84%EC%9E%A5+%EC%9C%A0%EC%A0%84%EC%B2%B4+%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C%9C%A0%EC%A0%84%EC%A0%81+%ED%8A%B9%EC%84%B1+%EB%B6%84%EC%84%9D&rft.jtitle=Han%27gug+sigpum+wi%27saeng+anjeonseong+haghoeji&rft.au=%EC%B5%9C%EC%9D%80%EC%A7%80&rft.au=%EC%9D%B4%EB%AF%B8%EB%A3%A8&rft.au=%EB%B0%95%EA%B1%B4%ED%83%9D&rft.au=Eunji+Choi&rft.date=2025-02-28&rft.pub=%ED%95%9C%EA%B5%AD%EC%8B%9D%ED%92%88%EC%9C%84%EC%83%9D%EC%95%88%EC%A0%84%EC%84%B1%ED%95%99%ED%9A%8C&rft.issn=1229-1153&rft.eissn=2465-9223&rft.volume=40&rft.issue=1&rft.spage=27&rft.epage=38&rft.externalDocID=43938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115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115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115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