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고 있는 품종과 숙기가 다른 14종 찰벼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을 구명하여 찰벼의 이용 확대 및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찰벼 품종별 숙기에 따라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백색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조생종 품종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아밀로펙틴의 구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중합도 분석 결과, 중만생종 품종이 짧은 사슬의 DP 6‒12분포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낸 반면, 중간 사슬인 DP 13‒24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7; no. 3; pp. 199 - 208
Main Authors 윤미라(Mi-Ra Yoon), 이점식(Jeom-Sig Lee), 곽지은(Jieun Kwak), 이정희(Jeong-Heui Lee), 전재범(Jae-Buhm Chun), 양창인(Chang-Ihn Yang), 조준현(Jun-Hyun Cho), 김미정(Mi-Jung Kim), 이춘기(Choon-Ki Lee), 김보경(Bo-Kyeong Kim), 김욱한(Wook-H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육종학회 30.09.2015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0-3360
2287-5174
DOI10.9787/KJBS.2015.47.3.199

Cov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고 있는 품종과 숙기가 다른 14종 찰벼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을 구명하여 찰벼의 이용 확대 및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찰벼 품종별 숙기에 따라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백색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조생종 품종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아밀로펙틴의 구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중합도 분석 결과, 중만생종 품종이 짧은 사슬의 DP 6‒12분포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낸 반면, 중간 사슬인 DP 13‒24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속점도계를 통한 쌀가루와 전분의 호화 점도 분석 결과, 찰벼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 변이를 나타냈으며, 찰벼 호화 시 최고점에 이르는 피크시간은 아밀로펙틴의 짧은 사슬인 DP 6‒12분포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아밀로펙틴의 중쇄사슬인 DP 13‒24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과 최저, 최종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찰벼 품종별 찰떡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초기 경도 비교 결과, 중만생종 품종들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찰떡을 1, 2일 저장함에 따라 중만생종 품종이 저장에 따른 찰떡의 경도가 낮았고, 경도 변화가 완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찰벼 품종별 찰떡의 경도 변화와 전분 이화학 특성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아밀로펙틴 단쇄사슬인 DP 6‒12의 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peak time)이 짧을수록 찰떡의 경도 변화는 낮은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찰기는 지속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rch and pasting properties of fourteen glutinous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maturity, and we compar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 difference in relation to stickiness of glutinous rice cake. The whiteness values of grain appearanc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order of early ˂ medium <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arly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xhibited a little high tendency for crude protein content than that of other varieties. Mid-late glutinous rice varieties showed higher of short chain ratio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whereas, medium length chains of 13 to 24 were significantly low. According to Rapid Visco-Analyzer measurement glutinous rice flours and starches, peak time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The hardness of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cake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lutinous rice varieties. Furthermore,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Baegseolchal, Dongjinchal and Baekogchal tend to show lower and slower in hardness changes of rice cake during storage. The hardness changes of glutinous rice cak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ylose content and peak tim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respectively.
AbstractList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고 있는 품종과 숙기가 다른 14종 찰벼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을 구명하여 찰벼의 이용 확대 및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찰벼 품종별 숙기에 따라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백색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조생종 품종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아밀로펙틴의 구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중합도 분석 결과, 중만생종 품종이짧은 사슬의 DP 6‒12분포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낸 반면, 중간 사슬인 DP 13‒24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속점도계를 통한 쌀가루와 전분의 호화 점도 분석 결과, 찰벼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 변이를 나타냈으며, 찰벼 호화 시 최고점에이르는 피크시간은 아밀로펙틴의 짧은 사슬인 DP 6‒12분포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아밀로펙틴의 중쇄사슬인 DP 13‒24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과 최저, 최종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찰벼 품종별찰떡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초기 경도 비교 결과, 중만생종 품종들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찰떡을 1, 2일 저장함에 따라 중만생종 품종이 저장에 따른 찰떡의 경도가 낮았고, 경도 변화가 완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찰벼 품종별 찰떡의 경도 변화와 전분 이화학 특성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아밀로펙틴 단쇄사슬인 DP 6‒12 의 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peak time)이 짧을수록찰떡의 경도 변화는 낮은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찰기는 지속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rch and pasting properties of fourteen glutinous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maturity, and we compar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 difference in relation to stickiness of glutinous rice cake. The whiteness values of grain appearanc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order of early ˂ medium <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arly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xhibited a little high tendency for crude protein content than that of other varieties. Mid-late glutinous rice varieties showed higher of short chain ratio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whereas, medium length chains of 13 to 24 were significantly low. According to Rapid Visco-Analyzer measurement glutinous rice flours and starches, peak time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The hardness of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cake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lutinous rice varieties. Furthermore,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Baegseolchal, Dongjinchal and Baekogchal tend to show lower and slower in hardness changes of rice cake during storage. The hardness changes of glutinous rice cak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ylose content and peak tim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1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고 있는 품종과 숙기가 다른 14종 찰벼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을 구명하여 찰벼의 이용 확대 및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찰벼 품종별 숙기에 따라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백색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조생종 품종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아밀로펙틴의 구조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중합도 분석 결과, 중만생종 품종이 짧은 사슬의 DP 6‒12분포 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낸 반면, 중간 사슬인 DP 13‒24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속점도계를 통한 쌀가루와 전분의 호화 점도 분석 결과, 찰벼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 변이를 나타냈으며, 찰벼 호화 시 최고점에 이르는 피크시간은 아밀로펙틴의 짧은 사슬인 DP 6‒12분포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아밀로펙틴의 중쇄사슬인 DP 13‒24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과 최저, 최종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찰벼 품종별 찰떡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초기 경도 비교 결과, 중만생종 품종들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찰떡을 1, 2일 저장함에 따라 중만생종 품종이 저장에 따른 찰떡의 경도가 낮았고, 경도 변화가 완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찰벼 품종별 찰떡의 경도 변화와 전분 이화학 특성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아밀로펙틴 단쇄사슬인 DP 6‒12의 분포 비율이 높을수록, 피크시간(peak time)이 짧을수록 찰떡의 경도 변화는 낮은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찰기는 지속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rch and pasting properties of fourteen glutinous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maturity, and we compar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 difference in relation to stickiness of glutinous rice cake. The whiteness values of grain appearanc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order of early ˂ medium <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arly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xhibited a little high tendency for crude protein content than that of other varieties. Mid-late glutinous rice varieties showed higher of short chain ratio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whereas, medium length chains of 13 to 24 were significantly low. According to Rapid Visco-Analyzer measurement glutinous rice flours and starches, peak time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The hardness of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cake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lutinous rice varieties. Furthermore, mid-late maturing glutinous rice varieties, Baegseolchal, Dongjinchal and Baekogchal tend to show lower and slower in hardness changes of rice cake during storage. The hardness changes of glutinous rice cak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ylose content and peak tim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rt chains of 6 to 12 in DP of amylopectin, respectively.
Author 곽지은(Jieun Kwak)
전재범(Jae-Buhm Chun)
이점식(Jeom-Sig Lee)
이정희(Jeong-Heui Lee)
김보경(Bo-Kyeong Kim)
양창인(Chang-Ihn Yang)
김욱한(Wook-Han Kim)
윤미라(Mi-Ra Yoon)
조준현(Jun-Hyun Cho)
김미정(Mi-Jung Kim)
이춘기(Choon-Ki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미라(Mi-Ra Yoon)
– sequence: 2
  fullname: 이점식(Jeom-Sig Lee)
– sequence: 3
  fullname: 곽지은(Jieun Kwak)
– sequence: 4
  fullname: 이정희(Jeong-Heui Lee)
– sequence: 5
  fullname: 전재범(Jae-Buhm Chun)
– sequence: 6
  fullname: 양창인(Chang-Ihn Yang)
– sequence: 7
  fullname: 조준현(Jun-Hyun Cho)
– sequence: 8
  fullname: 김미정(Mi-Jung Kim)
– sequence: 9
  fullname: 이춘기(Choon-Ki Lee)
– sequence: 10
  fullname: 김보경(Bo-Kyeong Kim)
– sequence: 11
  fullname: 김욱한(Wook-Han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121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stKw0AARQepYK39AVcBEdwkziuZybIWH9WCoN0PyXSiNSUDiS7cuYggbgQRqQuhunIZH0gFv6hJ_sHWdnUul8PlLoNKpCMFwCqClss42zzY3zq2MES2RZlFLOS6C6CKMWemjRitgCrENjQJceASqCdJz4cIQ44wtaugUWRZ_vFrlPc3xet1_pka0-LxpXgeTNN4lBnjr6t8-GYUwzT_To08uzPKwah8ejDK258ifV8Bi4HXT1R9zhro7Gx3mntm-3C31Wy0zdBF3OxKWyES8C6RFNseCiT0KaGIdxmnyu0qhDwMJeXI8RhzfFfJADqUcpsyLt2A1MDGbDaKAxHKntBe758nWoSxaBx1WoI5BCE-Uddmaqhj5SXyVPe9WJzpiziaHBQEMmiTibU-ty61r4WvdShVdK5iQSGCEDvQcajLyR87l3oF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KROLR
ACYCR
DOI 10.9787/KJBS.2015.47.3.199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griculture
DocumentTitleAlternate Starch and Pasting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tickiness of Rice Cake Using Glutinous Rice Varieties
EISSN 2287-5174
EndPage 20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63118
307053
4010026066498
GroupedDBID 9ZL
ABDBF
ACUHS
ALMA_UNASSIGNED_HOLDINGS
ECGQY
ESX
OZF
P5Y
SSSTE
TUS
ABPTK
C~G
KROLR
WN4
ACYCR
ID FETCH-LOGICAL-k918-dc5e13f8d3c425a1fc0b43418d784e9de11a20c4816a776b9ecf064485478c9f3
ISSN 0250-3360
IngestDate Wed Apr 02 03:25:28 EDT 2025
Fri Jun 30 09:50:59 EDT 2023
Tue Feb 18 15:20:10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Stickiness
Starch properties
Glutinous rice variety
Glutinous rice cak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918-dc5e13f8d3c425a1fc0b43418d784e9de11a20c4816a776b9ecf064485478c9f3
Notes http://dx.doi.org/10.9787/KJBS.2015.47.3.199
G704-000329.2015.47.3.01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1217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63118
koreascholar_journals_307053
kyobo_bookcenter_40100260664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5
  text: 2015-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Korean journal of breeding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Publisher_xml – name: 한국육종학회
– name: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SID ssib012081245
ssib001151797
ssj0045708
ssib051117203
ssib034517933
Score 1.572409
Snippet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되고 있는 품종과 숙기가 다른 14종 찰벼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을 구명하여 찰벼의 이용 확대 및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찰벼 품종별 숙기에 따라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순으로 유백색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조단백질...
SourceID nrf
koreascholar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Publisher
StartPage 199
SubjectTerms 농학
TableOfContents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Title 찰벼 품종별 찰떡의 찰기 관련 전분 및 호화 특성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6066498
http://db.koreascholar.com/Article?code=30705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1217
Volume 4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육종학회지, 2015, 47(3), , pp.199-20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etGD-ImrtURwTiVrJpkkM96S3S21RS-2UE8hH5MiC7uwbg968rCCeBFEpB6E6snj-oFU8C_q7v4PvjdJd1NroQpLeEzee_Mybzbv95LJG0Juc8Fj6aS56ao0gQSFJ2aSxxnkPHYqPCeBII6J4v0H3uomX9tyt-bm71ZWLe30k3r67K_flfyPV6EN_Ipfyf6DZ6dKoQFo8C8cwcNwPJWPaatBQwt_rZCGNg0by7TVpNKmQuC5AAhXn3Oo4MtH2KVHA4YtEgRE9VxAQwHEsqY4LoUA9sCiQcEFlOBaqVcoDVFKrBRdCxRGQlLJdZMALRIFQSpkVTC83u0dvgcoMTHk57NgCtNA2wdd6v6CFa07RIvDxhGWJhpa2CYt3RdyzVgCHIGwqVl8fUVaSFgnanH1RTRpWZqyfC7C3MNFHOVM1lwu2oh9uDRoHprMKg4oeKQmAioalbsvYEPTcYrNDupKt9mQXppY2rtyx2fF_k4leLB1kYpjcQlSdXwzvr4WPsTVhG6d-3WnPhWtFgH_IzgfKQPeTh9H292o3Ysg2bkXQWiA9HCenLF9v1ii8GhzBoUZFl-bQksGlgGUm6aG3PX1bo3Tyyw-KEND7xw3E1BZG6dE-cAFErn2027SBTzW6eUVPLZxgZwvEykjKP4VF8lcu3uJnAu2e2UxGXWZBOPhcPT1lzF583L86cXo28DAhncfxx92kTrYHxoH35-P9j4b473B6MfAGA1fG5Pd_cn7t8bk1c_x4MsVsrHS2mismuWWIWZbMmFmqauYk4vMSSEWxSxPrYQDThOZL7iSmWIstq2UC-bFvu8lUqW5hU8osKpdKnPnKlnodDvqGjGUBOzNHNyNR3HHFrFKsyQRNmOgJfPjGlmsDklU_leeRBhEXadGlvQQRZgr4zpr1Yu4xXQJP8_jUtTILRg77dITXXv9FDw3yNnZ7F8kC_3ejroJOLmfLOkJ8RugmZzC
linkProvider CAB International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0%B0%EB%B2%BC+%ED%92%88%EC%A2%85%EB%B3%84+%EC%B0%B0%EB%96%A1%EC%9D%98+%EC%B0%B0%EA%B8%B0+%EA%B4%80%EB%A0%A8+%EC%A0%84%EB%B6%84+%EB%B0%8F+%ED%98%B8%ED%99%94+%ED%8A%B9%EC%84%B1&rft.jtitle=Korean+journal+of+breeding&rft.au=%EC%9C%A4%EB%AF%B8%EB%9D%BC&rft.au=%EC%9D%B4%EC%A0%90%EC%8B%9D&rft.au=%EA%B3%BD%EC%A7%80%EC%9D%80&rft.au=%EC%9D%B4%EC%A0%95%ED%9D%AC&rft.date=2015-09-30&rft.pub=%ED%95%9C%EA%B5%AD%EC%9C%A1%EC%A2%85%ED%95%99%ED%9A%8C&rft.issn=0250-3360&rft.eissn=2287-5174&rft.spage=199&rft.epage=208&rft_id=info:doi/10.9787%2FKJBS.2015.47.3.19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6311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250-336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250-336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250-336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