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시 농민공 시민화의 다원성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8; no. 2; pp. 181 - 19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968 2713-9115 |
DOI | 10.23841/egsk.2025.28.2.181 |
Cover
Summary: |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의 다양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시민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베이징의 차오양구(朝阳区), 팡산구(房山区), 하이뎬구(海淀区), 펑타이구(丰台区)의 농민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농민공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커우 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 농민공의 사회적 관계와 공공 서비스에의 접근을 제한한다. 둘째, 교육 수준, 소득, 직업 유형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민공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보장의 범위와 고용의 공정성을 포함한 제도·정책적 요인은 농민공의 도시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농민공은 계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 정도에 따라 시민화 정도에 다원적인 특성을 보이며, 도시에 대한 소속감은 낮지만, 도시의 생활 여건과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강한 거주 의지를 나타내는 양가적 정체성을 보인다.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key challenge is the dual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hukou), which restricts migrant workers’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social security, an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acerbating issues of identity and equ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obstacles and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the urban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Specifically, it identifies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g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grant workers in Beijing, focusing on their identity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include, 1) The hukou system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barrier, restricting social mobility and access to essential public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2)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particularly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employment equity are pivotal in influencing the urban integration and citizenization. 3) Migrant workers demonstrate an ambivalent sense of identity: despite having a low sense of belonging to the city, while they exhibit a strong desire to stay due to the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migrant workers’ integration, offering insights for policymakers: inclusive urban policies and equitable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
---|---|
Bibliography: |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20236003316 |
ISSN: | 1226-8968 2713-9115 |
DOI: | 10.23841/egsk.2025.28.2.1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