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시 농민공 시민화의 다원성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8; no. 2; pp. 181 - 196
Main Authors 왕정정, Ting Ting Wang, 남기범, Keebom Nah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5.28.2.181

Cover

Abstract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의 다양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시민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베이징의 차오양구(朝阳区), 팡산구(房山区), 하이뎬구(海淀区), 펑타이구(丰台区)의 농민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농민공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커우 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 농민공의 사회적 관계와 공공 서비스에의 접근을 제한한다. 둘째, 교육 수준, 소득, 직업 유형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민공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보장의 범위와 고용의 공정성을 포함한 제도·정책적 요인은 농민공의 도시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농민공은 계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 정도에 따라 시민화 정도에 다원적인 특성을 보이며, 도시에 대한 소속감은 낮지만, 도시의 생활 여건과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강한 거주 의지를 나타내는 양가적 정체성을 보인다.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key challenge is the dual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hukou), which restricts migrant workers’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social security, an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acerbating issues of identity and equ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obstacles and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the urban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Specifically, it identifies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g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grant workers in Beijing, focusing on their identity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include, 1) The hukou system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barrier, restricting social mobility and access to essential public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2)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particularly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employment equity are pivotal in influencing the urban integration and citizenization. 3) Migrant workers demonstrate an ambivalent sense of identity: despite having a low sense of belonging to the city, while they exhibit a strong desire to stay due to the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migrant workers’ integration, offering insights for policymakers: inclusive urban policies and equitable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AbstractList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key challenge is the dual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hukou), which restricts migrant workers'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social security, an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acerbating issues of identity and equ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obstacles and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the urban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Specifically, it identifies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g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grant workers in Beijing, focusing on their identity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include, 1) The hukou system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barrier, restricting social mobility and access to essential public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2)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particularly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employment equity are pivotal in influencing the urban integration and citizenization. 3) Migrant workers demonstrate an ambivalent sense of identity: despite having a low sense of belonging to the city, while they exhibit a strong desire to stay due to the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migrant workers' integration, offering insights for policymakers: inclusive urban policies and equitable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의 다양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시민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베이징의 차오양구(朝阳区), 팡산구(房山区), 하이뎬구(海淀区), 펑타이구(丰台区)의 농민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농민공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커우 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 농민공의 사회적 관계와 공공 서비스에의 접근을 제한한다. 둘째, 교육 수준, 소득, 직업 유형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민공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보장의 범위와 고용의 공정성을 포함한 제도·정책적 요인은 농민공의 도시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농민공은 계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 정도에 따라 시민화 정도에 다원적인 특성을 보이며, 도시에 대한 소속감은 낮지만, 도시의 생활 여건과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강한 거주 의지를 나타내는 양가적 정체성을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의 다양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시민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베이징의 차오양구(朝阳区), 팡산구(房山区), 하이뎬구(海淀区), 펑타이구(丰台区)의 농민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농민공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커우 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 농민공의 사회적 관계와 공공 서비스에의 접근을 제한한다. 둘째, 교육 수준, 소득, 직업 유형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민공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보장의 범위와 고용의 공정성을 포함한 제도·정책적 요인은 농민공의 도시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농민공은 계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 정도에 따라 시민화 정도에 다원적인 특성을 보이며, 도시에 대한 소속감은 낮지만, 도시의 생활 여건과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강한 거주 의지를 나타내는 양가적 정체성을 보인다.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key challenge is the dual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hukou), which restricts migrant workers’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social security, an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acerbating issues of identity and equ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obstacles and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the urban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Specifically, it identifies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g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grant workers in Beijing, focusing on their identity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include, 1) The hukou system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barrier, restricting social mobility and access to essential public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2)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particularly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employment equity are pivotal in influencing the urban integration and citizenization. 3) Migrant workers demonstrate an ambivalent sense of identity: despite having a low sense of belonging to the city, while they exhibit a strong desire to stay due to the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migrant workers’ integration, offering insights for policymakers: inclusive urban policies and equitable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제한하여 정체성 형성과 형평성 문제를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베이징시 농민공의 다양한 시민화과정의 문제점과 과제를 농민공의 유형별로 파악한다. 먼저 자아존중감과 지역정체성을 농민공 시민화의 핵심 차원으로 정의하고, 도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들이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의 다양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시민화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한다. 설문조사는 베이징의 차오양구(朝阳区), 팡산구(房山区), 하이뎬구(海淀区), 펑타이구(丰台区)의농민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농민공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커우 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 농민공의 사회적 관계와 공공 서비스에의 접근을 제한한다. 둘째, 교육 수준, 소득, 직업 유형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민공의 지역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보장의 범위와 고용의 공정성을 포함한 제도·정책적 요인은 농민공의 도시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농민공은 계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 정도에 따라 시민화 정도에 다원적인 특성을 보이며, 도시에 대한 소속감은 낮지만, 도시의 생활 여건과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강한 거주 의지를 나타내는 양가적 정체성을 보인다.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key challenge is the dual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hukou), which restricts migrant workers’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social security, and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acerbating issues of identity and equ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obstacles and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rocesses involved in the urban integration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Specifically, it identifies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gr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grant workers in Beijing, focusing on their identity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ey findings include, 1) The hukou system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barrier, restricting social mobility and access to essential public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2)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particularly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employment equity are pivotal in influencing the urban integration and citizenization. 3) Migrant workers demonstrate an ambivalent sense of identity: despite having a low sense of belonging to the city, while they exhibit a strong desire to stay due to the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provide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migrant workers’ integration, offering insights for policymakers: inclusive urban policies and equitable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ie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남기범
Keebom Nahm
왕정정
Ting Ting Wa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왕정정
– sequence: 2
  fullname: Ting Ting Wang
– sequence: 3
  fullname: 남기범
– sequence: 4
  fullname: Keebom Nah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359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tLw1AcxS9SwVr7CbpkcRES773_-xxL8VEtFKT7Jc2jhNRUEhd3cSlCBQVFCw4FJxEf3fxETfwORisOh3MO_DjDWUeVZJQECDUIdigoRraDQRY7FFPuUOVQhyiygqpUErA1IbyCqoRSYSst1BqqZ1nUx4xJUJRBFbFidrWYP1v522Mx_Sieborxg5VfXOYvn4v3uVW2Mn3dXRfTWysfz4r7SXH-uoFWQ3eYBfU_r6He7k6vtW93unvtVrNjx4prW0quAxYoXwH1pdDa5SF1MfYDrCQXGkLal4R7oBUGwn3qeUwzLrEvpRCKQg1tLWeTNDSxF5mRG_36YGTi1DSPem1DsATQWpfw5hKOo-w0MomfDc1B87D780spEBgDEFFyjX8uMydpdOymZ4YRhblW8A1b1m5R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8.9
DOI 10.23841/egsk.2025.28.2.181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DocumentTitleAlternate 중국 베이징시 농민공 시민화의 다원성
The Plurality of Citizenship of Migrant Workers in Beijing
EISSN 2713-9115
EndPage 19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33999
JAKO202520236003316
4180598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ACYCR
ID FETCH-LOGICAL-k859-7759e4e8d832d7699a5f2a00de0875693f2b715c3980315d2cc494570d7766823
ISSN 1226-8968
IngestDate Thu Jul 10 08:43:19 EDT 2025
Wed Jul 30 02:10:52 EDT 2025
Fri Jul 18 02:16:21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9-7759e4e8d832d7699a5f2a00de0875693f2b715c3980315d2cc494570d7766823
Notes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20236003316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2023600331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33999
kisti_ndsl_JAKO202520236003316
kiss_primary_41805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5
  text: 2025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SSID ssib044738243
ssib009283360
ssib001151505
ssib053377165
Score 1.9128071
Snippet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 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Recently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s, particularly through huge scale migration from...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급속한 도시화는 대규모 농촌-도시 간 이주를 동반하여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농민공(农民工)이 도시 사회에 통합되는 데 있어 상당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후커우(户口)는농민공에 대한 공공 서비스, 사회보장, 평등한 고용 기회 접근 등을...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81
SubjectTerms citizenization
community identity
hukou system
migrant workers
self-esteem
농민공
시민화
자아존중감
지리학
지역정체성
후커우 제도
Title 중국 베이징시 농민공 시민화의 다원성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8059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2023600331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3598
Volume 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5, 28(2), , pp.181-19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a9RAFB_aevEiShXXjxLQOZXEZD6SmWOyu6VWqpcVegv52lK27Mru9uLBk3gpgoKCogUPBU8ifvTmX9SN_4NvJtndsYpU8RJeJm_evJk3mfm9MHkPoZucJlSFRbc9nnKb5TS1Uwm3NEi8LCfdtJDq5-TNu_76fbaxxbcWFh3j1NLeOHWyh7_9r-RfrAplYFf1l-xfWHYmFAqABvvCFSwM11PZGLebOGRYergd4ojjsLWK2xGOCA5d9Uy2cMQ0U4AlV4SIsGxqJuFj0VJEuIajphZAQcbqjMt41sJSYslqkVJUAiLVtioCbt2cYDjyTLSra3Itq9ZPEwRHLa2Vqx9p9YSr2_Nx2JzWkpoIsTB4YEIQAaCYGF8wtA6y7qCSOSfmLKAvjIrQ7QscufU4VamPp589CJ-e0asn6v_qgLH0AxC1hayS_DiFLiPgwqvtgBtLvFelmKnRglfl4z25EQEQYmonKrZHPUep7xDhEGdW1wz7fWI7_inwdy_bibcHcW8Yg3tzO_ZUik2A9IvoDAkCfSxh81F7Dn8VOjXWbwnY0QgHx1hABZmHXwOkr4SoU76zzleBubT6t35VHnALuDUjcOSUd7MDeKw_7Bp4rHMenasdKSus3ooLaKE3WEasPHx-fPTBmnx-Vx58Ld-_LPffWpMnTycfvx1_ObLgDqjvr1-UB6-syf5h-eZZ-fjTRdRZa3ea63adF8TuCS7BH-SyYIXIYTPKA1_KhHdJ4rp5obIz-JJ2SRp4PKNSqBQmOckyJhkP3DwIfF8Qegkt9Qf94jKysoLRlNDEzUnCfOamWZC6FCC_KPwMwHoDLav-xg-qyC8x8wS4I6KBVnT_434-2o03wjv31CgRlYxB5Ub0_Aa6AQOjrfcHK145FddVdHY-_6-hpfFwr7gOQHicrmjr_wAJVIV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4%91%EA%B5%AD+%EB%B2%A0%EC%9D%B4%EC%A7%95%EC%8B%9C+%EB%86%8D%EB%AF%BC%EA%B3%B5+%EC%8B%9C%EB%AF%BC%ED%99%94%EC%9D%98+%EB%8B%A4%EC%9B%90%EC%84%B1&rft.jtitle=%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EC%A7%80%2C+28%282%29&rft.au=%EC%99%95%EC%A0%95%EC%A0%95&rft.au=%EB%82%A8%EA%B8%B0%EB%B2%94&rft.date=2025-06-30&rft.pub=%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rft.issn=1226-8968&rft.eissn=2713-9115&rft.spage=181&rft.epage=196&rft_id=info:doi/10.23841%2Fegsk.2025.28.2.18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3399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896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