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8; no. 2; pp. 153 - 15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04.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4.18.2.153 |
Cover
Loading…
Abstract |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ice method using visual, spatial, and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were evaluated. When X-ray images were taken based on learning, the rotational spacing, which indicates image distortion, was 7.85 ± 1.45 mm and the tiliting spacing was 4.84 ± 0.5 mm. When practicing using visual aids, the rotational spacing is 4.4 ± 0.76 mm and the inclination spacing is 3.01 ± 0.87 mm. using a spatial compensation device, the rotational spacing is 5.2 ± 0.69 mm and the tiliting spacing is 3.33 ± 0.61 mm. Skull lateral X-ray Image distortion caused by empirical photography practice decreased by 5.4%, but image distortion caused by tilting increased by 1.2%. When practicing using a visual assistive devices, the degree of rotational spacing by 40.1% and the tiliting spacing decreased by 30.7% compared to the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When using spatial assistive devices, the rotation interval was reduced by 41.7% and the tilting interval by 23.7% compared to conventional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Therefore, if an unskilled radiologist practices using visual and spatial aids,the accuracy will be improved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
---|---|
AbstractList |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ice method using visual, spatial, and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were evaluated. When X-ray images were taken based on learning, the rotational spacing, which indicates image distortion, was 7.85 ± 1.45 mm and the tiliting spacing was 4.84 ± 0.5 mm. When practicing using visual aids, the rotational spacing is 4.4 ± 0.76 mm and the inclination spacing is 3.01 ± 0.87 mm. using a spatial compensation device, the rotational spacing is 5.2 ± 0.69 mm and the tiliting spacing is 3.33 ± 0.61 mm. Skull lateral X-ray Image distortion caused by empirical photography practice decreased by 5.4%, but image distortion caused by tilting increased by 1.2%. When practicing using a visual assistive devices, the degree of rotational spacing by 40.1% and the tiliting spacing decreased by 30.7% compared to the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When using spatial assistive devices, the rotation interval was reduced by 41.7% and the tilting interval by 23.7% compared to conventional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Therefore, if an unskilled radiologist practices using visual and spatial aids,the accuracy will be improved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KCI Citation Count: 0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ice method using visual, spatial, and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were evaluated. When X-ray images were taken based on learning, the rotational spacing, which indicates image distortion, was 7.85 ± 1.45 mm and the tiliting spacing was 4.84 ± 0.5 mm. When practicing using visual aids, the rotational spacing is 4.4 ± 0.76 mm and the inclination spacing is 3.01 ± 0.87 mm. using a spatial compensation device, the rotational spacing is 5.2 ± 0.69 mm and the tiliting spacing is 3.33 ± 0.61 mm. Skull lateral X-ray Image distortion caused by empirical photography practice decreased by 5.4%, but image distortion caused by tilting increased by 1.2%. When practicing using a visual assistive devices, the degree of rotational spacing by 40.1% and the tiliting spacing decreased by 30.7% compared to the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When using spatial assistive devices, the rotation interval was reduced by 41.7% and the tilting interval by 23.7% compared to conventional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Therefore, if an unskilled radiologist practices using visual and spatial aids,the accuracy will be improved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ice method using visual, spatial, and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were evaluated. When X-ray images were taken based on learning, the rotational spacing, which indicates image distortion, was 7.85 ± 1.45 mm and the tiliting spacing was 4.84 ± 0.5 mm. When practicing using visual aids, the rotational spacing is 4.4 ± 0.76 mm and the inclination spacing is 3.01 ± 0.87 mm. using a spatial compensation device, the rotational spacing is 5.2 ± 0.69 mm and the tiliting spacing is 3.33 ± 0.61 mm. Skull lateral X-ray Image distortion caused by empirical photography practice decreased by 5.4%, but image distortion caused by tilting increased by 1.2%. When practicing using a visual assistive devices, the degree of rotational spacing by 40.1% and the tiliting spacing decreased by 30.7% compared to the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When using spatial assistive devices, the rotation interval was reduced by 41.7% and the tilting interval by 23.7% compared to conventional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Therefore, if an unskilled radiologist practices using visual and spatial aids,the accuracy will be improved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
Author | 장보석 Bo-seok Chang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장보석 – sequence: 2 fullname: Bo-seok Chang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828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L1Lw0AAxQ9RsFb_AV1ucRESL3eXu8tYih9VQZAObscl7UlMbSVxcbOYxUkd6hcV2kGw4BBRwb8pvf4Pxg-c3uO9H294c2C63Wk3AVh0kM05xauHURLbGGFqO8LGtuOSKVDCRFALMUKmQcnxOCs8RrNgIUlCHxFGGeOClsDh-Poqz_r52zM0n8NxNprcPMF9y6QDaN5fzF3X3F6ZtA_NoDe5740vU1gA5rxrHlNo-umk1__j4Pjt3QwzmH9m-ceLebwr6oF5GJn0FU4uL_LsbB7MaNVKmgt_Wgb19bV6ddPa2d2oVSs7ViRcbjW0S5lQHglUgJpaYV8TLLjm3GsSX3NHF2HDV0UifKRdpgLGCAuoEoK7DUTKYOV3th1rGQWh7KjwRw86MoplZa9ekw7ihLmcF_DyLxyFyUko242kJbcq27vfbzrUK-5jVHjfo0v_XCKP4_BIxaeSIs_BhJEv-I2SGg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JDI ACYCR |
DEWEY | 610 |
DOI | 10.7742/jksr.2024.18.2.153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Medicine |
DocumentTitleAlternate |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Assertive Devices to Improve the Accuracy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
EISSN | 2384-0633 |
EndPage | 159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736577 JAKO202414963364890 4091236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k857-df5468a93cac0efa2bf3287f779e3bf71fefadba7f78b0f56ac6636c4a8875d03 |
ISSN | 1976-0620 |
IngestDate | Fri Jul 18 03:14:08 EDT 2025 Wed Jun 05 02:21:26 EDT 2024 Wed Feb 19 02:12:45 ES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2 |
Keywords | X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57-df5468a93cac0efa2bf3287f779e3bf71fefadba7f78b0f56ac6636c4a8875d03 |
Notes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414963364890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49633648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36577 kisti_ndsl_JAKO202414963364890 kiss_primary_409123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4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4-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24 text: 202404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PublicationTitleAlternate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한국방사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방사선학회 |
SSID | ssib036466784 ssib010494110 ssib051116959 ssib012146256 ssib036279067 ssib039546180 |
Score | 1.8682272 |
Snippet |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
SourceID | nrf kisti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53 |
SubjectTerms | Assistive Devices Skull X-Ray Projection X-선 촬영 두개골 보정 기구 원자력공학 |
Title |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9123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49633648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8286 |
Volume | 1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2024, 18(2), 106, pp.153-159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3Nb9MwFI-2ceGCQAMxPqZI4FOVEseJYx_TNNMYGlyG1FuUT7R16tA-LhwQE71w2jgMxtRJ2wGJSTsUbUj7m9r0f-DZabpsIDTgEj3Zrz8_Pzvx76Xxs6I85sSkYcJ0LYgsSzMhvNYCagdaEmMrFjslidwePf-czr405xpWY2x8r_TV0sZ6WI3e_HZfyb-MKpTBuIpdsn8xsiNQKAAZxheuMMJwvdIYI6-GOEZcR56DajrirhQIclgFeS6qMeRgoQR1DkdeHXGKHKvS0EQtM5Gj53oguULgDJilFGyJKpW4K5UcwLckBpdCDbEZqK6MYKU6KQDqeZ0rjAIQoWQVUBfbq0gLiSgVzWCwtiL7wYTdQrAKdQBhBagj7eOO7Jlso4alMcIsPvRIfn5Twb5HVhSo9ZJzAMIYtiM9UyjnfnMQc2WfLVSTgiPdKwy2xdciMFMxA7ZulF6tSPs86ZlSB4VH6-WXLYZZ-t9I3B7_aWZpnQEWqOnUyKETWQbkCdqjhJTWE5xnUh5SE5wnT7-86gGDF1l0l5prIsGtYVYxqxrV0U_LKcYvLf0Xkow3o0X_1YrfXPUhlHrqY3j4U8u2x5Vrhm3LTyDm33rFsxqLvEIl6ojFAfHGeV4m4EU2L50MQKhJgReNnv3A8zHl8izDkS_yPW2iN09-7QtQJoio1iCGFIHVIlDB1mpaooILN5UbwxhOdfIb8pYy1lyZVJb6H7d73U7v5JuanR32u0eDT1_Vhpa1D9Ts9Djb3cw-b2ftjpod7Ay-7PS32iooZO83s_22mnXag53OUE_tn5xmh121d9bt_TjO9neh-iDbO8ra39XB1ode991tZWHGW3BnteFBJlpTZFqLU8ukLOAkCiI9SQMjTInB7NS2eULC1MYpFMZhACUs1FOLBhHEATQyA2AAVqyTO8pEa6WV3FXUkLM4BtYOAJFp4JCTGMdAPhMW8zDU4yllUnjJf52nqvFNCAcMQqeUaek1vxWvLftzzrMXwrfYhNUXBoZxfUp5BO6UU-APU-HelbTuK9fPb50HysT66kbyEJj7ejgtp9BPWP3BwQ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1%90%EA%B0%9C%EA%B3%A8+%EC%B8%A1%EB%B0%A9%ED%96%A5+X-%EC%84%A0+%EC%B4%AC%EC%98%81%EC%97%90%EC%84%9C+%EC%A0%95%ED%99%95%EB%8F%84+%ED%96%A5%EC%83%81%EC%9D%84+%EC%9C%84%ED%95%9C+%EC%B4%AC%EC%98%81+%EB%B3%B4%EC%A1%B0+%EA%B8%B0%EA%B5%AC%EC%9D%98+%EC%9C%A0%EC%9A%A9%EC%84%B1+%ED%8F%89%EA%B0%80&rft.jtitle=%ED%95%9C%EA%B5%AD%EB%B0%A9%EC%82%AC%EC%84%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18%282%29&rft.au=%EC%9E%A5%EB%B3%B4%EC%84%9D&rft.date=2024-04-30&rft.pub=%ED%95%9C%EA%B5%AD%EB%B0%A9%EC%82%AC%EC%84%A0%ED%95%99%ED%9A%8C&rft.issn=1976-0620&rft.eissn=2384-0633&rft.spage=153&rft.epage=159&rft_id=info:doi/10.7742%2Fjksr.2024.18.2.15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36577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0620&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0620&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0620&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