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시공·관리에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 확보 대책 - EN131-Part 7 규정을 적용한 국내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52; no. 3; pp. 76 - 88
Main Authors 이강현, Lee Kang-hyeon, 이기열, Lee Gi-yeo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24.52.3.076

Cover

Abstract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사다리의 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방향별 전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8단 이상에서 전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가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무게, 깊이 또는 폭과 같은 제원의 변경과 전도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저항모멘트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책 중 제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증가되는 크기가 과도하여 적용성이 부족한 반면에 아웃트리거는 최소한의 펼침길이만으로도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portable ladders. Portable ladders are classified as A-type or triangular support ladd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ing leg and support conditions. The tripod mobile ladder, which supports itself with only three supporting legs, is unstable and more prone to overturning compared to the A type ladders. Therefore, us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tripod mobile ladder and the stability regulations of EN131-Part 7, overturning and resistance moment calculation formulas were derived for all directions in which overturning could occur. The moments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and the overturning stability in each directio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most are unstable for overturning at 8 or more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moment of resistance by changing the weight, depth, and width, and using outriggers to ensure stability against the overturning of ladder. However, whe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se measures, the size increases are excessive and the applicability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outriggers are an applicable measure as they can ens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ith only a minimum expansion length.
AbstractList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사다리의 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방향별 전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8단 이상에서 전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가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무게, 깊이 또는 폭과 같은 제원의 변경과 전도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저항모멘트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책 중 제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증가되는 크기가 과도하여 적용성이 부족한 반면에 아웃트리거는 최소한의 펼침길이만으로도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portable ladders. Portable ladders are classified as A-type or triangular support ladd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ing leg and support conditions. The tripod mobile ladder, which supports itself with only three supporting legs, is unstable and more prone to overturning compared to the A type ladders. Therefore, us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tripod mobile ladder and the stability regulations of EN131-Part 7, overturning and resistance moment calculation formulas were derived for all directions in which overturning could occur. The moments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and the overturning stability in each directio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most are unstable for overturning at 8 or more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moment of resistance by changing the weight, depth, and width, and using outriggers to ensure stability against the overturning of ladder. However, whe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se measures, the size increases are excessive and the applicability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outriggers are an applicable measure as they can ens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ith only a minimum expansion length.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portable ladders. Portable ladders are classified as A-type or triangular support ladd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ing leg and support conditions. The tripod mobile ladder, which supports itself with only three supporting legs, is unstable and more prone to overturning compared to the A type ladders. Therefore, us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tripod mobile ladder and the stability regulations of EN131-Part 7, overturning and resistance moment calculation formulas were derived for all directions in which overturning could occur. The moments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and the overturning stability in each directio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most are unstable for overturning at 8 or more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moment of resistance by changing the weight, depth, and width, and using outriggers to ensure stability against the overturning of ladder. However, whe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se measures, the size increases are excessive and the applicability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outriggers are an applicable measure as they can ens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ith only a minimum expansion length.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사다리의 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방향별 전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8단 이상에서 전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가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무게, 깊이 또는 폭과 같은 제원의 변경과 전도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저항모멘트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책 중 제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증가되는 크기가 과도하여 적용성이 부족한 반면에 아웃트리거는 최소한의 펼침길이만으로도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한 불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제원과 EN131-Part 7의 전도 안정성 평가 규정을 이용하여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전도 및 저항모멘트 계산식을 유도하여 대상 사다리의 모멘트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방향별 전도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8단 이상에서 전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가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무게, 깊이 또는 폭과 같은 제원의 변경과 전도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저항모멘트를 확대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책 중 제원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증가되는 크기가 과도하여 적용성이 부족한 반면에 아웃트리거는 최소한의 펼침길이만으로도 전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가능한 현실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portable ladders. Portable ladders are classified as A-type or triangular support ladd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ing leg and support conditions. The tripod mobile ladder, which supports itself with only three supporting legs, is unstable and more prone to overturning compared to the A type ladders. Therefore, us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tripod mobile ladder and the stability regulations of EN131-Part 7, overturning and resistance moment calculation formulas were derived for all directions in which overturning could occur. The moments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and the overturning stability in each directio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most are unstable for overturning at 8 or more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moment of resistance by changing the weight, depth, and width, and using outriggers to ensure stability against the overturning of ladder. However, whe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se measures, the size increases are excessive and the applicability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outriggers are an applicable measure as they can ensur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ith only a minimum expansion length.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강현
이기열
Lee Kang-hyeon
Lee Gi-yeol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강현
– sequence: 2
  fullname: Lee Kang-hyeon
– sequence: 3
  fullname: 이기열
– sequence: 4
  fullname: Lee Gi-yeol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103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qFkU9LG0EYxgdRMFW_gL3MpZfCbmfe2ZndPQZRmxpUJPdh_yRliU3KrpfeEk2hNAU9NPiHDURQS8GC1oiXePHj7Izfobtaei288PDy_p7nObwv0HSr3aojtEiJ6dqUv1mrVMsmELBMDiYziS2mUAnAcQyXCzGNShSAG9TmfBYtJEnkE-JYnNpUlNCDPr3Kft_rfprd3D7cZeOOurjUhwdY717qk5_q4Eh9_Z4vk-yqq3908sF6OFb7x7o_LBjVPysMwyOsRz2138N68EWPBrp3jR-PB-pmjNW3jr7-jA28vE4ZNTa9eAfbOLtLC2yYG0bdvOhxkOLs9pfaHf-3TJ1PnkL3ujqdqNN0Hs00vO2kvvBX51BtZbm29NaobqxWlspVo-lwYQSEWhaAzxkjIuB24EJIGwwCP_ABQpuBV3dAMCvM75QJ12eck9BnPrgkpJzNodfPsa24IZtBJNte9KTv27IZy_JWrSIpyeOBihx-9Qw3o2Qnkq0w2ZbvymsbxZcAKLeFoJZTcC__cYn8GEcfvPiTtIjrkLzyD0TIxU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712
DOI 10.9715/KILA.2024.52.3.076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rchitecture
DocumentTitleAlternate 조경시공·관리에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 확보 대책 - EN131-Part 7 규정을 적용한 국내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Measures to Ensure Overturning Stability of Tripod Mobile Ladders Used in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On Tripod Mobile Ladders Used in Korea Subject to EN131-Part 7
EISSN 2288-9566
EndPage 8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33216
JAKO202422157661486
4098015
GroupedDBID .UV
HZB
Q5X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ID FETCH-LOGICAL-k856-c014422b53306c57c92d1f32cbcb22d732ae82634d3061369b3550db3b290d153
ISSN 1225-1755
IngestDate Wed Jul 02 03:26:01 EDT 2025
Wed Aug 21 03:12:43 EDT 2024
Sat Sep 06 06:24:27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6-c014422b53306c57c92d1f32cbcb22d732ae82634d3061369b3550db3b290d153
Notes 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422157661486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215766148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33216
kisti_ndsl_JAKO202422157661486
kiss_primary_409801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조경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조경학회지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조경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조경학회
SSID ssib008451716
ssib044738266
ssib053376761
ssib001151868
ssib009283268
ssib053377460
Score 2.256904
Snippet 이동식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은 조경을 포함한 건설업에서 떨어짐 또는 전도 사고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식 사다리는 버팀대의 수와 지지 조건에 따라 A형과 삼각지지로 구분되며, A형과 비교하여 3개의 버팀대로만 바닥을 지지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는 상대적으로 전도에...
A significant cause of fall or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work at heights using...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76
SubjectTerms Outrigger
Overturning Accident
Overturning Moment
Resistance Moment
Safety Factor
아웃트리거
안전율
저항모멘트
전도모멘트
전도사고
조경학
Title 조경시공·관리에 사용되는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 확보 대책 - EN131-Part 7 규정을 적용한 국내 삼각지지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9801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215766148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1035
Volume 5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조경학회지, 2024, 52(3), 223, pp.76-8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tR1La9RAONR68SKKis8S0DktWZPJJJM5Jtn10fpCKngLyWa3lpat1HrQg7S1glhBDxZb2UIFHwgK1rZ4qRd_zib-B79vkuymKvgAYcnOfPme800y3xfmoSinWNQSYRQLLbTtSINOYWphrFuaHYUwQEEEb7ZwvfPFS_a5a2z4unV9YHCsNGvp9kxUbdz95bqSf_EqwMCvuEr2LzzbYwoAKIN_4Qoehusf-ZjUfeIaxNNJ3SUeJV4NIY5HhC8hJvEs4gOcyyrDaQ11j7g2cX3EFJwIvSJpaAFyiSsQSehEOFhwXCJYgeRljHUIQKVwLlnmBYkkaigI6c4QIQp9amUpHoJctlOVGoiTSC4wLxg4mWBhEcfJ70EZOTHiGXCvhjIQ5ElrER0I_VwrzyCOVdEq9UuGaWhXoAUrvCIN4LKJSgxBfi7MLYzLm6KGGMLP6Czi1qQImgn7n40CBQt47zTJMQvtfCnXww4g_HKO0VO5pPHP_STDyexzkX-hcPEIlvSWxmE7oZOI01svdaHZrIyE7THtxp1mfzrHTkJHipV9zdtBeHZcA6rJ8mcnyoo5kvmL4t9MKQ20MI5oELpa5ZHYoqU3jlkaVrMjgn4c7QWXG6OMnL_gVlHFqkWrZlXnP2ytLoM1pguIxaxdym7KuZzPcfFevZ83QNxbPjbCYRZuI9WrCzzQq3-fMW5CWt67DykTt3l_gTjWOct2KCjszBbsocqnf1YY4kFIF29BgoxZ4zjEue3pVinOHd2n7M0TVNXN3jb7lYGJqQPK1_Tlx-6nL-lip7ux9fVzd3M2efM-ff5UTeffpy_eJU-Xk0fPoLLd_TiXvp2Fn5qubiZPVtLFVcRJFl8hweqymq4tJE8W1HTpYbq2lC6sq99WlpKNTTV5PJuuP1A1tf-sqlztfu4g2ioQrM2BoG9LHbW79SGZ3_ytsOT1tmR6fy7tbCcvOweV0TP1Uf-clp_-ok04lq018FMPpRHOfrcbFm8IGhstkzaiRkRpzE0aNsEHJotNTElsEUHmpMeRGVGhxxDHHVIG21Pt5mFFdfS4aRqMszAyWMjtCJffO5S1RGyGdsM-ohzA1g9uZvv7BHlfOaIMSW8E7fjWZDDsjlxGn1HIkTgmNQ7QnQQ3BRON8QA36cf_salgYjpwr46eDwzsBtSwj_6a-zFlT_-xOq4Mzkzfbp6A_GYmGpJ98zuUSR-X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1%B0%EA%B2%BD%EC%8B%9C%EA%B3%B5%C2%B7%EA%B4%80%EB%A6%AC%EC%97%90+%EC%82%AC%EC%9A%A9%EB%90%98%EB%8A%94+%EC%82%BC%EA%B0%81%EC%A7%80%EC%A7%80+%EC%9D%B4%EB%8F%99%EC%8B%9D+%EC%82%AC%EB%8B%A4%EB%A6%AC%EC%9D%98+%EC%A0%84%EB%8F%84+%EC%95%88%EC%A0%95%EC%84%B1+%ED%99%95%EB%B3%B4+%EB%8C%80%EC%B1%85+-+EN131-Part+7+%EA%B7%9C%EC%A0%95%EC%9D%84+%EC%A0%81%EC%9A%A9%ED%95%9C+%EA%B5%AD%EB%82%B4+%EC%82%BC%EA%B0%81%EC%A7%80%EC%A7%80+%EC%9D%B4%EB%8F%99%EC%8B%9D+%EC%82%AC%EB%8B%A4%EB%A6%AC%EB%A5%BC+%EB%8C%80%EC%83%81%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EC%A7%80&rft.au=%EC%9D%B4%EA%B0%95%ED%98%84&rft.au=Lee+Kang-hyeon&rft.au=%EC%9D%B4%EA%B8%B0%EC%97%B4&rft.au=Lee+Gi-yeol&rft.date=2024-06-30&rft.pub=%ED%95%9C%EA%B5%AD%EC%A1%B0%EA%B2%BD%ED%95%99%ED%9A%8C&rft.issn=1225-1755&rft.volume=52&rft.issue=3&rft.spage=76&rft_id=info:doi/10.9715%2FKILA.2024.52.3.076&rft.externalDocID=409801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175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175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175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