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라 추출물의 세포 수준에서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화 효과
송라(Usnea diffracta Vain.)는 송라속(Usnea)에 속하는 지의류 중 하나이며, 이전 연구에서 항산화, 항균, 항염, 항종양 및 심혈관 보호 등의 약리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피부 및 모발에서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수준에서 송라 추출물(UDE)의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송라 추출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 및 상위기전인 MAPKs (ERK, p38, JNK)와 AP-1 (c-Fos, c-Jun)의...
Saved in:
Published in | 大韓化粧品學會誌 Vol. 50; no. 1; pp. 37 - 4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화장품학회
30.03.2024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587 2288-9507 |
Cover
Summary: | 송라(Usnea diffracta Vain.)는 송라속(Usnea)에 속하는 지의류 중 하나이며, 이전 연구에서 항산화, 항균, 항염, 항종양 및 심혈관 보호 등의 약리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나 피부 및 모발에서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 수준에서 송라 추출물(UDE)의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송라 추출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 및 상위기전인 MAPKs (ERK, p38, JNK)와 AP-1 (c-Fos, c-Jun)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송라 추출물은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모발 성장인자인 VEGF 및 KGF의 mRNA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로 인하여, 모발 증식 및 성장인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ERK/CREB의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송라 추출물의 주성분 확인을 위해 송라 추출물을 농축 후 Prep-LC를 이용하여 main peak로 나타난 분획을 분리 정제하였고, NMR 및 Mess 분석을 통해 diffractaic acid로 동정하였다. Diffractaic acid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인간모유두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송라 추출물은 항노화 및 모유두세포 활성 증가효능을 갖는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Songla (Usnea diffracta Vain.) is one of the lichens belonging to the genus Usnea,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cardiovascular protection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but its efficacy in skin and hair is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Usnea diffracta extract (UDE) on anti-aging and dermal papilla cell proliferation was verified in vitro.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UDE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MMP-1 and the activity of MAPKs (ERK, p38, JNK) and AP-1 (c-Fos, c-Jun), which were increased by UVA in HDFn. In addition, the UD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HFDPC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VEGF and KGF, which are hair growth factors. Accordingly, the phosphorylation of ERK/CREB involved in hair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main component represented by the main peak was separated and purified usingPrep LC by concentrating the UDE, which was confirmed as diffractaic acid through NMR and Mess analysis. Isolated diffracta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MMP-1 increased by UVA in HDFn and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HFDPC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result suggest that UDE proved its usability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with anti-aging and dermal papilla cell activation effects. |
---|---|
Bibliography: |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11757770632 http://dx.doi.org/10.15230/SCSK.2024.50.1.37 |
ISSN: | 1226-2587 2288-9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