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 탄소계정을 위한 목재기본밀도 개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 3 , 왕대는 0.81 g/cm 3 , 맹종죽은 0.72 g/cm 3 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2; pp. 188 - 194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18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 3 , 왕대는 0.81 g/cm 3 , 맹종죽은 0.72 g/cm 3 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일정 지역에 국한되어 생육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기본밀도는 하나로 통합하여 0.79 g/cm 3 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목재기본밀도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 1.61%로 낮은 불확도 값을 가져, 본 분석에서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목재기본밀도와 기존의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 표준목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계산하고, 이를 확장시켜 ha단위까지 계산해 보았다. 이번 연구로 대나무의 재적을 이용하여 목재기본밀도 등 탄소배출계수 적용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결과가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 및 산림관리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basic wood density, one of several carbon emission factors, for carbon accounting of bamboo forests in Korea. Bamboo is mainly distributed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and 101 sample trees were selected for each of the three species (Phyllostachys nigra var . henonis, P. bambusoides, and P. pubescens). The basic wood density derivation used the KS F 2098 method. The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basic wood density was 0.83 g/cm 3 for P. nigra var. henonis, 0.81 g/cm 3 for P. bambusoides, and 0.72 g/cm 3 for P. pubescens. However, the bamboo distribution area in Korea is not very large, and P. pubescens grows in one area only. Therefore, the basic wood density that can be applied to bamboo was 0.79 g/cm3. Evaluation of the uncertainty of the extracted basic wood density showed a very low value of 1.61%, which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basic wood density derived from this analysis. The basic wood density, biomass expansion factor, and root-to-shoot ratio were used to calculate the carbon storage capacity of one bamboo plant and expanded to calculate the capacity for a hectare of bamboo. Carbon storage and absorption of bamboo were calculated by applying a carbon-emission factor, such as the basic wood density. Thes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arbon-neutral policy and forest management direction in Korea.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19164571703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2-188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1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