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적 맥락화를 통한 진화경제지리학의 재접근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는 이론적 프레임웍이며, 경로의존, 경로창출, 적응, (비)연관 다양성 등의 개념들로 지역 산업의 등장과 발전의 역사적 과정, 그리고 지역 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진화경제지리학적 접근은 결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8; no. 2; pp. 145 - 160
Main Authors 우정석, Jungsuk 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5.28.2.145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는 이론적 프레임웍이며, 경로의존, 경로창출, 적응, (비)연관 다양성 등의 개념들로 지역 산업의 등장과 발전의 역사적 과정, 그리고 지역 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진화경제지리학적 접근은 결정론적 관점, 장소에 대한 탈맥락적 접근,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상호작용 간과라는 한계점을 드러내며, 경제 공간의 진화를 만들어내는 중범위, 거시적 수준에서의 제도적 영향력이나 국가의 역할을 주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사례적 확장을 위해 경제지리학의 진화론적 접근의 이론적 발전이 요구된다.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역할을 통한 지역적, 장소적 맥락화와 다양한 스케일적 과정을 통한 경제 공간 진화 분석의 스케일적 재조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지역 경제 구조 진화의 동인을 더욱 장소 및 스케일에 민감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설명과 사례적 실재가 조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for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EEG) by elucidating the role of multi-scalar institutional contexts in regional evolutionary processes. The EEG i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ores the processes by whic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conomic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transforms internally over time. Concepts, such as path dependence, path creation, adaptation and (un)related variety, offer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historical processes of regional industry emergence and develop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Nevertheless, existing EEG approaches have revealed challenges, including a deterministic perspective, decontextualization of place and oversight of interactions across various geographic scales, which tends to marginalize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meso- and macro- levels. To compensate for these challenges and for empirical expansion, a theoretical advancement of the EEG is required. This paper argues that both contexualization of place through the roles of institutions at both meso- and macro-levels, and rescaling of economic evolution through multi-level processes would be necessitated for the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EG. In so doing, it will enable a more place- and scale-sensitive understandings of the drivers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al evolution, allowing for theoretical accounts and empirical realities in the EEG to align.
AbstractList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는이론적 프레임웍이며, 경로의존, 경로창출, 적응, (비)연관 다양성 등의 개념들로 지역 산업의 등장과 발전의 역사적 과정, 그리고 지역 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진화경제지리학적접근은 결정론적 관점, 장소에 대한 탈맥락적 접근,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상호작용 간과라는 한계점을 드러내며, 경제 공간의 진화를 만들어내는 중범위, 거시적 수준에서의 제도적 영향력이나 국가의 역할을 주변화하는경향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사례적 확장을 위해 경제지리학의 진화론적 접근의 이론적 발전이 요구된다.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역할을 통한 지역적, 장소적맥락화와 다양한 스케일적 과정을 통한 경제 공간 진화 분석의 스케일적 재조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지역 경제 구조 진화의 동인을 더욱 장소 및 스케일에 민감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설명과 사례적 실재가 조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for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EEG) by elucidating the role of multi-scalar institutional contexts in regional evolutionary processes. The EEG i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ores the processes by whic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conomic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transforms internally over time. Concepts, such as path dependence, path creation, adaptation and (un)related variety, offer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historical processes of regional industry emergence and develop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Nevertheless, existing EEG approaches have revealed challenges, including a deterministic perspective, decontextualization of place and oversight of interactions across various geographic scales, which tends to marginalize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meso- and macro- levels. To compensate for these challenges and for empirical expansion, a theoretical advancement of the EEG is required. This paper argues that both contexualization of place through the roles of institutions at both meso- and macro-levels, and rescaling of economic evolution through multi-level processes would be necessitated for the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EG. In so doing, it will enable a more place- and scale-sensitive understandings of the drivers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al evolution, allowing for theoretical accounts and empirical realities in the EEG to align.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는 이론적 프레임웍이며, 경로의존, 경로창출, 적응, (비)연관 다양성 등의 개념들로 지역 산업의 등장과 발전의 역사적 과정, 그리고 지역 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진화경제지리학적 접근은 결정론적 관점, 장소에 대한 탈맥락적 접근,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상호작용 간과라는 한계점을 드러내며, 경제 공간의 진화를 만들어내는 중범위, 거시적 수준에서의 제도적 영향력이나 국가의 역할을 주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사례적 확장을 위해 경제지리학의 진화론적 접근의 이론적 발전이 요구된다.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역할을 통한 지역적, 장소적 맥락화와 다양한 스케일적 과정을 통한 경제 공간 진화 분석의 스케일적 재조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지역 경제 구조 진화의 동인을 더욱 장소 및 스케일에 민감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설명과 사례적 실재가 조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for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EEG) by elucidating the role of multi-scalar institutional contexts in regional evolutionary processes. The EEG i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ores the processes by whic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conomic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transforms internally over time. Concepts, such as path dependence, path creation, adaptation and (un)related variety, offer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historical processes of regional industry emergence and develop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Nevertheless, existing EEG approaches have revealed challenges, including a deterministic perspective, decontextualization of place and oversight of interactions across various geographic scales, which tends to marginalize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meso- and macro- levels. To compensate for these challenges and for empirical expansion, a theoretical advancement of the EEG is required. This paper argues that both contexualization of place through the roles of institutions at both meso- and macro-levels, and rescaling of economic evolution through multi-level processes would be necessitated for the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EG. In so doing, it will enable a more place- and scale-sensitive understandings of the drivers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al evolution, allowing for theoretical accounts and empirical realities in the EEG to align.
This study aims for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EEG) by elucidating the role of multi-scalar institutional contexts in regional evolutionary processes. The EEG i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ores the processes by which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conomic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transforms internally over time. Concepts, such as path dependence, path creation, adaptation and (un)related variety, offer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historical processes of regional industry emergence and develop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Nevertheless, existing EEG approaches have revealed challenges, including a deterministic perspective, decontextualization of place and oversight of interactions across various geographic scales, which tends to marginalize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meso- and macro- levels. To compensate for these challenges and for empirical expansion, a theoretical advancement of the EEG is required. This paper argues that both contexualization of place through the roles of institutions at both meso- and macro-levels, and rescaling of economic evolution through multi-level processes would be necessitated for the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EG. In so doing, it will enable a more place- and scale-sensitive understandings of the drivers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al evolution, allowing for theoretical accounts and empirical realities in the EEG to align.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탐구하는 이론적 프레임웍이며, 경로의존, 경로창출, 적응, (비)연관 다양성 등의 개념들로 지역 산업의 등장과 발전의 역사적 과정, 그리고 지역 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진화경제지리학적 접근은 결정론적 관점, 장소에 대한 탈맥락적 접근,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상호작용 간과라는 한계점을 드러내며, 경제 공간의 진화를 만들어내는 중범위, 거시적 수준에서의 제도적 영향력이나 국가의 역할을 주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사례적 확장을 위해 경제지리학의 진화론적 접근의 이론적 발전이 요구된다.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역할을 통한 지역적, 장소적 맥락화와 다양한 스케일적 과정을 통한 경제 공간 진화 분석의 스케일적 재조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지역 경제 구조 진화의 동인을 더욱 장소 및 스케일에 민감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진화경제지리학의 이론적 설명과 사례적 실재가 조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Author Jungsuk Woo
우정석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우정석
– sequence: 2
  fullname: Jungsuk Wo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359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0L1Kw1AYBuCDVLDWXkGXLC5C4vlNTjZL8adaKEj3w8lJUkJqKomLm0JxFcGChVa61C6dBHFpb6hJ7sHUisPHCy8P7_Dtg1LUjzwAaggamHCKjr1uEhoYYmZgbmADUbYDythCRLcRYiVQRhibOrdNvgeqSRI4kFKLcExJGZxk03H6PMimj1o6n6WTVT56TWdLLX_6yodjLZsPimL9uSpYNn9IPxb5cJRN3rTsfZFNX9bfywOw68te4lX_sgI6Z6edxoXeap83G_WWHnKGdcshjNkSmhhTBTH2kctc5hDOKKKe6UClfEqlpST3uKeYTYkjiakUI66ktiIVcLSdjWJfhCoQfRn8ZrcvwljUrztNgaBFKIS4wIdbHAbJXSAiN-mJy_pVe_Oj4ogJIcF842r_LhG3cXAj43tBEYfMNskP7mN4R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8.9
DOI 10.23841/egsk.2025.28.2.145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DocumentTitleAlternate 제도적 맥락화를 통한 진화경제지리학의 재접근
Revisiting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with Institutional Contextualization
EISSN 2713-9115
EndPage 16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34002
JAKO202520236003282
4180596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ACYCR
ID FETCH-LOGICAL-k852-7b3559a06224c022f1d5d5b385414e6b0ccf44a7ca8e8ec5943ba36cc53da49c3
ISSN 1226-8968
IngestDate Thu Jul 10 08:43:19 EDT 2025
Wed Jul 30 02:10:51 EDT 2025
Sat Jul 19 02:10:14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2-7b3559a06224c022f1d5d5b385414e6b0ccf44a7ca8e8ec5943ba36cc53da49c3
Notes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20236003282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2023600328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34002
kisti_ndsl_JAKO202520236003282
kiss_primary_418059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5
  text: 2025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SSID ssib044738243
ssib009283360
ssib001151505
ssib053377165
Score 1.91211
Snippet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의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스케일적 제도의 역할을 강조하며 진화경제지리학의 개념적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진화경제지리학은 경제적 생산, 유통, 교환, 분배 및 소비의 공간적 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떻게...
This study aims for conceptual advancement of the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EEG) by elucidating the role of multi-scalar institutional contexts in...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45
SubjectTerms (Un)related variety
(비)연관 다양성
EEG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Institutional contextualization
Path creation
Path dependence
경로의존
경로창출
제도적 맥락화
지리학
진화경제지리학
Title 제도적 맥락화를 통한 진화경제지리학의 재접근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8059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2023600328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3594
Volume 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5, 28(2), , pp.145-16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b9MwFLe6ceGCQAMxPqZI4FOVkg87sW-kbaZRBFyK2C1KnHTailrUjwsHBNLEFSExiUkb6mX0shMS4rL9Q2v6P_DspG00dmCIS2o9v_xs57l-vxc5zwg9dK2IC2qGuhvKVzexEemc2bGegGtpcXAxiVC7fJ87Gy9JY5NulpZKhV1Lw0FUEW8v_K7kX6wKMrCr_Er2Epadg4IAymBfuIKF4fpXNsZ-DXsG5jXsVzFbx4zkEmaWpchzsUdlgddxtY79OuYcc6KqKK7WylLEHFylqo4CUlkhuApqru7hqqUA5s1lOoZCcrBXm93PZRW0xpkC4r6qy24zFZCL88O0d2ZjyFtWtRR79Uu2BwUPs4XObAqp9gHJmMFQWYBx8fkm5wasdP1hu_yq2y2-_bDobKtePl__Vx8LHgD4qM54dtbPzEVYrPBXsArrvZnlwjzvh4AHEemIkq1-uyK7XbFYxark2ucSfBOTyTOQltAVy3XVVoNn7_wFpZWMs7Amc-CDhRRvhLg2sxYp1YC9SxC5c3c-kizZlurToz97BFwEQpU-BGcyYtkGjtXptQocq3kdXcuDI83LZvoNVGp3V9DjdHQw-bSbjj5ok_HR5PB0uv9lcnSiTT_-nO4daOl4FwRnP05BLR2_n3w_nu7tp4dftfTbcTr6fPbr5CZqrvvN2oaen_uhtxmFeC8CDsxDwwF2KYBitsyYxjSymTyxPnEiQ4gWIaErQpYwWEo4saPQdoSgdhwSLuxbaLnT7SS3kSYEp4ARkiRyiEtBjbQElTFGK4ZQ311FK3LswZsss0uQm2IVralnEXTi_uug4T19IZ-YJQ9bMGT-SWsVPYCHFLTFdiDTs8vfrW7Q7gUQhD4JTHCb4BqtOxej30VXFzP5Hloe9IbJfWC2g2hNmf43e2x9c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9C%EB%8F%84%EC%A0%81+%EB%A7%A5%EB%9D%BD%ED%99%94%EB%A5%BC+%ED%86%B5%ED%95%9C+%EC%A7%84%ED%99%94%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C%9D%98+%EC%9E%AC%EC%A0%91%EA%B7%BC&rft.jtitle=%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EC%A7%80&rft.au=%EC%9A%B0%EC%A0%95%EC%84%9D&rft.au=Jungsuk+Woo&rft.date=2025-06-30&rft.pub=%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rft.issn=1226-8968&rft.volume=28&rft.issue=2&rft.spage=145&rft_id=info:doi/10.23841%2Fegsk.2025.28.2.145&rft.externalDocID=418059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896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