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한 공유가치창출형 지역재생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쇠퇴 및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원인은 도시재생의 공공성과 수익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7; no. 4; pp. 362 - 378
Main Authors 이승철, Sung-cheol Lee, 우정석, Jungsuk 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4.362

Cover

Abstract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쇠퇴 및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원인은 도시재생의 공공성과 수익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반의 지역재생을 제시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사회에서 영리 기업과 지역이 공유가치를 창출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지역 이익 기반의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에 이해관계를 둔 기업의 참여와 지역기업-지역의 전략적 조응으로 지역과 기업이 공유하는 가치를 도출하여 상생할 수 있는 공공성과 수익성에 기반을 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해준다. 특히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 소멸위기에 대응하여 자생성이 떨어진 지역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지역성에 기초한 가치를 발굴하고 사회-경제적 자생능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Local regeneration i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ssues of regional extinction by improving deteriorated local spaces and creating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by forming virtuous cycle of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ocal regeneration project in declining region are sustainability based on both publicity and profitability. Nevertheless, despite the government’s significant efforts to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rough local regeneration projects, the tangible outcomes have been limited. This lack of success can be attributed to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profitability and sustainability within local regeneration project.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conceptualiz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ocal regeneration based on Creating Shared Value(CSV), which can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in South Korea.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involves creating shared value between profit-driv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fostering a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By strategic coupling betwe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it seeks to generate shared value that enables both communities and businesses to thrive within the local area. Rooted in the principles of publicity and profitability, this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offers a sustainable local regeneration strategy. Notably, it responds to the challenges of regional extinction crisis by not only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declining areas but also uncovering value rooted in local and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community’s socio-economic capacity for self-reliance.
AbstractList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쇠퇴 및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원인은 도시재생의 공공성과 수익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반의 지역재생을 제시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사회에서 영리 기업과 지역이 공유가치를 창출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지역 이익 기반의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에 이해관계를 둔 기업의 참여와 지역기업-지역의 전략적 조응으로 지역과 기업이 공유하는 가치를 도출하여 상생할 수 있는 공공성과 수익성에 기반을 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해준다. 특히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 소멸위기에 대응하여 자생성이 떨어진 지역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지역성에 기초한 가치를 발굴하고 사회-경제적 자생능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Local regeneration i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ssues of regional extinction by improving deteriorated local spaces and creating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by forming virtuous cycle of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ocal regeneration project in declining region are sustainability based on both publicity and profitability. Nevertheless, despite the government’s significant efforts to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rough local regeneration projects, the tangible outcomes have been limited. This lack of success can be attributed to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profitability and sustainability within local regeneration project.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conceptualiz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ocal regeneration based on Creating Shared Value(CSV), which can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in South Korea.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involves creating shared value between profit-driv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fostering a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By strategic coupling betwe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it seeks to generate shared value that enables both communities and businesses to thrive within the local area. Rooted in the principles of publicity and profitability, this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offers a sustainable local regeneration strategy. Notably, it responds to the challenges of regional extinction crisis by not only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declining areas but also uncovering value rooted in local and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community’s socio-economic capacity for self-reliance.
Local regeneration i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ssues of regional extinction by improving deteriorated local spaces and creating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by forming virtuous cycle of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ocal regeneration project in declining region are sustainability based on both publicity and profitability. Nevertheless, despite the government's significant efforts to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rough local regeneration projects, the tangible outcomes have been limited. This lack of success can be attributed to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profitability and sustainability within local regeneration project.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conceptualiz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ocal regeneration based on Creating Shared Value(CSV), which can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in South Korea.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involves creating shared value between profit-driv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fostering a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By strategic coupling betwe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it seeks to generate shared value that enables both communities and businesses to thrive within the local area. Rooted in the principles of publicity and profitability, this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offers a sustainable local regeneration strategy. Notably, it responds to the challenges of regional extinction crisis by not only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declining areas but also uncovering value rooted in local and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community's socio-economic capacity for self-reliance.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쇠퇴 및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원인은 도시재생의 공공성과 수익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반의 지역 재생을 제시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사회에서 영리 기업과 지역이 공유가치를 창출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지역 이익 기반의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에 이해관계를 둔 기업의 참여와 지역기업-지역의 전략적 조응으로 지역과 기업이 공유하는 가치를 도출하여 상생할 수 있는 공공성과 수익성에 기반을 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해준다. 특히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여 자생성이 떨어진 지역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지역성에 기초한 가치를 발굴하고 사회-경제적 자생능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쇠퇴 및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원인은 도시재생의 공공성과 수익성,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반의 지역재생을 제시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사회에서 영리 기업과 지역이 공유가치를 창출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지역 이익 기반의 도시재생을 위해 지역에 이해관계를 둔기업의 참여와 지역기업-지역의 전략적 조응으로 지역과 기업이 공유하는 가치를 도출하여 상생할 수 있는 공공성과 수익성에 기반을 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해준다. 특히 CSV 기반 지역재생은 지역 소멸위기에 대응하여 자생성이 떨어진 지역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지역성에 기초한 가치를 발굴하고 사회-경제적 자생능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Local regeneration i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ssues of regional extinction by improving deteriorated local spaces and creating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by forming virtuous cycle of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ocal regeneration project in declining region are sustainability based on both publicity and profitability. Nevertheless, despite the government’s significant efforts to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rough local regeneration projects, the tangible outcomes have been limited. This lack of success can be attributed to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profitability and sustainability within local regeneration project.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d conceptualiz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ocal regeneration based on Creating Shared Value(CSV), which can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in South Korea.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involves creating shared value between profit-driv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fostering a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By strategic coupling between local firms and local communities, it seeks to generate shared value that enables both communities and businesses to thrive within the local area. Rooted in the principles of publicity and profitability, this CSV-oriented local regeneration offers a sustainable local regeneration strategy. Notably, it responds to the challenges of regional extinction crisis by not only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declining areas but also uncovering value rooted in local and regional identity and enhancing community’s socio-economic capacity for self-relianc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Jungsuk Woo
Sung-cheol Lee
우정석
이승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승철
– sequence: 2
  fullname: Sung-cheol Lee
– sequence: 3
  fullname: 우정석
– sequence: 4
  fullname: Jungsuk Wo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620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LtKw1AAhg-iYK19gi5ZXITEcz_JWOqtWihI90NykpSQmkri4lZQnDroUNohFTcRFAqi1MEXak_fwWjF6V--_8K_BdaTXhIAUEXQwsSmaC_oZLGFIaYWFha1CMdroIQFIqaDEFsHJYQxN22H25ugkmWRBykVxMaUlMC-furr0auhbweL55mh85v5bKpHd8Zi0NeT--UwN-Zv7zp_nE_7-nOsp1_6I1-Oh8bKpx9e9PVkG2yEbjcLKn9aBu3Dg3b92Gy2jhr1WtOMbYZMXxGPCh9xSDl3oOCwGA89ARGmLBDCd1ylkBciQlUQcKV46FMiPNtnnkIOIWWwu4pN0lDGKpI9N_rVTk_GqaydtRsSQS6IoKiAd1ZwHGWXkUz8rCtPaqetn5-KYgYpZITAgqv-c5m8SKNzN72SFDEoCCXfVKV6A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8.9
DOI 10.23841/egsk.2024.27.4.362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DocumentTitleAlternate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한 공유가치창출형 지역재생
Creating Shared Value Oriented Local Regeneration against Local Extinction Crisis
EISSN 2713-9115
EndPage 37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73741
JAKO202408450405330
4150734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JDI
ACYCR
ID FETCH-LOGICAL-k851-dc3b47d160466907608410b701245e77d9acc1bf134cee6cc6fd437b8d5bc1933
ISSN 1226-8968
IngestDate Wed Sep 10 03:52:02 EDT 2025
Thu Jul 03 03:53:33 EDT 2025
Wed Feb 05 02:16:16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1-dc3b47d160466907608410b701245e77d9acc1bf134cee6cc6fd437b8d5bc1933
Notes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0845040533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45040533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73741
kisti_ndsl_JAKO202408450405330
kiss_primary_415073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24
  text: 2024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SSID ssib044738243
ssib009283360
ssib001151505
ssib053377165
Score 1.8547126
Snippet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Local regeneration is an approach to address the issues of regional extinction by improving deteriorated local spaces and creating local employment...
도시재생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낙후된 도시 공간의 물리적 개선 및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사업이다. 쇠퇴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시키기위한 기본 전제 조건은 공공성과 수익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62
SubjectTerms Creating Shared Value(CSV)
Local Regeneration
Publicity
Regional Extinction
공공성
공유가치창출
지리학
지역 소멸
지역재생
Title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한 공유가치창출형 지역재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5073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45040533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6207
Volume 2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4, 27(4), , pp.362-37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a9RAFB9qvXgRpYr1owR0TkvWfEwyM8dkN1Ir1csqvYVkkpSyZVd2txcPsqB46kEPpT1sxZsICgui1IP_0Db9H3wzSXfTVqSKl_D28ebNm3nJvt8bZt4gdC8xMgowOdINKjKdWEmqc4dHOqGxAHQfJbY6FLb62F1-SlbWnLW5C88qu5a2BnFdvPjtuZJ_8SrwwK_ylOxfeHaqFBhAg3_hCR6G57l8jIMG9qjcrAAEp9hr1iTFXMwaOPCxx7HPFIsDl-DAg9_YPxbnRk1KgWypoYm5iQN4OtCgpsRt7DulAs9QHKOU9jnmTBEG9puKcKWYbM9ARe2sdYoIsNdQVtrQYRUbT3tW3ThKHgir1A7d80ZFJwzPVaqKVlwRnhr5sQy8PhYFCE0q6x3lQH2ibPDkMKTpFug_IeKV8yS7VTMAWkp7y0USa7Y8-r9Mr4QIAKw648VlQPVU8SxI9WXYcCqhwC6jTIEq7OKiotMBCwATkRErXe-369LwukXrpD5tWy0PfipsnygQ3hYb4Xo3bPdCSIMehqa6fkjWc7hoUWrKra6rL4MZTJYotvI_zwFjVsrGEUJtZs3KtEFGAErUrazTwRcFvJT5988aD_gG0p8-JHwyC9oA3NbpZRXc1rqCLpcJl-YVX89VNNfuLqBm_nGY737R8jfbh58OtHz0enIwznffaofbw3z_3dHOSJt8_ZaPPkzGw_zHXj7-mX8fHe3taEW7_P3n_NX-NdR6ELQay3p5n4jehrxCT4QdE5qYrkFcuSbkGmC8EVOAaMRJKU14JIQZZ6ZNADm6QrhZQmwas8SJBeQ59nU03-l20htI4w7A-EhYacRS4mQsEhkzMjNyeczk_C2iBTn-8HlRMSYkMu2ygb2k5iPsJP3NcMV79MRSJQaJA6FUbvNeRHdhopQ3_-DVm-eSuoUuSe3FcuFtND_obaV3AEAP4iX1NvwCg4qaB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C%97%AD+%EC%86%8C%EB%A9%B8+%EC%9C%84%EA%B8%B0%EC%97%90+%EB%8C%80%EC%9D%91%ED%95%9C+%EA%B3%B5%EC%9C%A0%EA%B0%80%EC%B9%98%EC%B0%BD%EC%B6%9C%ED%98%95+%EC%A7%80%EC%97%AD%EC%9E%AC%EC%83%9D&rft.jtitle=%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EC%A7%80%2C+27%284%29&rft.au=%EC%9D%B4%EC%8A%B9%EC%B2%A0&rft.au=%EC%9A%B0%EC%A0%95%EC%84%9D&rft.date=2024&rft.pub=%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rft.issn=1226-8968&rft.eissn=2713-9115&rft.spage=362&rft.epage=378&rft_id=info:doi/10.23841%2Fegsk.2024.27.4.36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67374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896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