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디바이스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제안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판단 시스템에 대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 개선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6; pp. 953 - 958
Main Authors 정우진, Woo-jin Jung, 김예찬, Ye-chan Kim, 최원혁, Won-hyuck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2288-842X

Cover

Abstract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판단 시스템에 대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 개선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나리오와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NN-LSTM 모델을 통해 차량탑승자의 상황을 판단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 훈련 후 Perplexity, Loss 결과를 분석한다. 훈련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적절한 상황인지 캡셔닝 데이터가 생성되는지 분석한다.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operate on its ow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and the standard of SAE (Society of Automatic Engineers) is used internationally for the level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urrently, the system and development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re underway, centering on foreign it companies such as Google, Nvidia, and Tesla. For self-driving cars at level-3 or highe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must play the role of the driver, so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judgment system to implement high-level autonomous driving. In order to construct a deep learning-based autonomous driving system, sufficient scenarios and datasets are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n image captioning algorithm that creates a scenario by judging the situa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rough the CNN-LSTM model, and analyzes whether appropriate data are generated for learning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simulation.
AbstractList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판단 시스템에 대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 개선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나리오와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NN-LSTM 모델을 통해 차량탑승자의 상황을 판단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 훈련 후 Perplexity, Loss 결과를 분석한다. 훈련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적절한 상황인지 캡셔닝 데이터가 생성되는지 분석한다.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operate on its ow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and the standard of SAE (Society of Automatic Engineers) is used internationally for the level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urrently, the system and development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re underway, centering on foreign it companies such as Google, Nvidia, and Tesla. For self-driving cars at level-3 or highe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must play the role of the driver, so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judgment system to implement high-level autonomous driving. In order to construct a deep learning-based autonomous driving system, sufficient scenarios and datasets are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n image captioning algorithm that creates a scenario by judging the situa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rough the CNN-LSTM model, and analyzes whether appropriate data are generated for learning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simulation.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operate on its ow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and the standard of SAE (Society of Automatic Engineers) is used internationally for the level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urrently, the system and development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re underway, centering on foreign it companies such as Google, Nvidia, and Tesla. For self-driving cars at level-3 or highe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must play the role of the driver, so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judgment system to implement high-level autonomous driving. In order to construct a deep learning-based autonomous driving system, sufficient scenarios and datasets are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n image captioning algorithm that creates a scenario by judging the situa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rough the CNN-LSTM model, and analyzes whether appropriate data are generated for learning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simulation.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판단 시스템에 대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 개선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나리오와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NN-LSTM 모델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상황을 판단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 훈련 후 Perplexity, Loss 결과를 분석한다. 훈련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적절한 상황인지 캡셔닝 데이터가 생성되는지 분석한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운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판단 시스템에 대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성능 개선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나리오와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NN-LSTM 모델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상황을 판단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 훈련 후 Perplexity, Loss 결과를 분석한다. 훈련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적절한 상황인지 캡셔닝 데이터가 생성되는지 분석한다.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operate on its ow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and the standard of SAE (Society of Automatic Engineers) is used internationally for the level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urrently, the system and development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re underway, centering on foreign it companies such as Google, Nvidia, and Tesla. For self-driving cars at level-3 or higher,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must play the role of the driver, so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judgment system to implement high-level autonomous driving. In order to construct a deep learning-based autonomous driving system, sufficient scenarios and datasets are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n image captioning algorithm that creates a scenario by judging the situation of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through the CNN-LSTM model, and analyzes whether appropriate data are generated for learning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simula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Won-hyuck Choi
Ye-chan Kim
김예찬
Woo-jin Jung
최원혁
정우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우진
– sequence: 2
  fullname: Woo-jin Jung
– sequence: 3
  fullname: 김예찬
– sequence: 4
  fullname: Ye-chan Kim
– sequence: 5
  fullname: 최원혁
– sequence: 6
  fullname: Won-hyuck Choi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153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D1Lw0AAxvFDKlhrP4FLFhchcHe5XHJjKb5UCwXp0O1Ic4mE1FQSF0exQmkdFFLokGoHrUU6FHTxK3mX72Cx4vQfnh_PNihE3cjbAEWMbVu3CW4VQBFhTHUGMd0C5SQJ2hAbBqHQtIugpcZzmaZymarJpxq8aPntoxp8qacHTb7P5bCf95by7UZTw2y15neZmvQ0lfXyUabJ9FU-L-RwoqnR_ffHVM4WajbW1DRTo_4O2PSdTuKV_1oCzcODZvVYrzeOatVKXQ9tE-mu6RFhUYFQ23YsIYhLHGIzX3iuhT3PM33CoEUwFj6mFoO-QRm0TR8JgX2HMKME9te3Uezz0A141wl-e97lYcwrZ80aR5BShhha4b01DoPkKuCRSDr8pHLawBATaGGKMKSMwZXb_XcJv4yDCye-5gQRakJi_ADa14D9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629.045
DatabaseName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SI Packag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온디바이스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제안
Proposal of Deep Learning Algorithm for On-Device Passenger Monitoring Sysytem
EISSN 2288-842X
EndPage 95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69191
JAKO202407261206990
414650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851-c5e4d76d11b8a7dd4c4a489fdec72eee5f4907422df26790f369085f1dd2fa493
ISSN 1226-9026
IngestDate Thu Jan 09 03:21:55 EST 2025
Thu Apr 03 03:20:01 EDT 2025
Fri Apr 25 03:24:18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6
Keywords Deep learning
Self-driving
CNN
LSTM
Passenger monitoring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1-c5e4d76d11b8a7dd4c4a489fdec72eee5f4907422df26790f369085f1dd2fa493
Notes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240726120699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72612069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69191
kisti_ndsl_JAKO202407261206990
kiss_primary_414650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4
  text: 202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항행학회논문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항행학회논문지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항행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항행학회
SSID ssib023346058
ssib044738254
ssib001151964
ssib022231880
ssib053377556
ssib008451602
Score 2.2744186
Snippet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An autonomous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operate on its own without the manipulation of a driver or passenger, and the standard of SAE (Society of Automatic...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SAE의 표준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등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의 시스템 및 개발이 진행 중이다. 레벨 3 이상의...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953
SubjectTerms CNN
Deep learning
LSTM
Passenger monitoring
Self-driving
항공우주공학
Title 온디바이스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제안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4650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72612069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61536
Volume 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항행학회논문지, 2024, 28(6), , pp.953-95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Bo7cUGggRgfUyTwqQpKYiexxclpO41Ng8sQ4xRlTYJKoUX7uHBAQgxp2jiA1Ek7dLADjAntMAku_CWS_geeHTcNaAeYFKUv9vN7jp_t955dvyB0O5JqMYo902U-MWH24yaPCDdJnIDGSEgaRfKA8-J9b-4hnV92lyfO3a38a2ljfeVO6-Wp50rOIlVIA7nKU7L_IdmSKCQADPKFO0gY7v8kY9ysY86wYLgZYE7lBUBgKQCyGjhQABNY0BpuNjAjmNs6KeAKqYm5VZPlhNCUGFxMYVNJTGb5YHHWVDlgVC9pKiRXp3BZQCHBM1N5XObVdO2Eq4BZLOqaC28U6C5mkAQ1IlgU_DyFVJcAZwoJMjQbwGZVm7pkpEi4WDR0igY8zPgIpwCE4hfIqgcKAGYBU1zgRcsNnBFbV7EVqi0KlPLE0KNez3za7tbmN7QFoIqptmWWFg9TlKHwOMzl48SUJ65rC-3n1WUXpwzuqAfK2V6tomjA7DW5VUQLGGkih1VGXFWt8CKg8l-RwSloOVfGwj1HbDnFL75qji1hsOSqG-pMfpB5HOlNWoXVSHwOIX9skFPqE7l2MHoGp8D3XfUt5LLmYMSAj7MGXp10ddpgnHVX04pxtnQRXdBelSGKIXIJTXR6U2g53zvK-v3spJ_v_8i3PxvDNx_y7Z_5x_dG9u0o29kabp5kX18b-c4AcodvB_n-ppEPNoe7AyPrf8k-HWc7-0a---7X94Ps8Dg_3DPyg0G-u3UZLc02l-pzpv6QiNkBh8JsuQmNfS-27RUW-XFMWzSijKdx0vKdJEnclKolIidOHc_nVko8Dp5Iasexk0aUkytostvrJleREaXysHvqcT-hNIKZjFmtKEkjIhdKvDiaRlOyTcIXRaiYUItoGs2oNgq78dqzcF4sPJBdyvJl_D7LA4NwGt2Cxgs7rXYo473L3ye9sLMagld7L7TBL-A2t6-dTv06Oj_uoTfQ5PrqRnITTOX1lRnVKX4DfrCY9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A8%EB%94%94%EB%B0%94%EC%9D%B4%EC%8A%A4+%ED%83%91%EC%8A%B9%EC%9E%90+%EB%AA%A8%EB%8B%88%ED%84%B0%EB%A7%81+%EC%8B%9C%EC%8A%A4%ED%85%9C%EC%9D%84+%EC%9C%84%ED%95%9C+%EB%94%A5%EB%9F%AC%EB%8B%9D+%EC%95%8C%EA%B3%A0%EB%A6%AC%EC%A6%98+%EC%A0%9C%EC%95%88&rft.jtitle=%ED%95%9C%EA%B5%AD%ED%95%AD%ED%96%89%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A0%95%EC%9A%B0%EC%A7%84&rft.au=Woo-jin+Jung&rft.au=%EA%B9%80%EC%98%88%EC%B0%AC&rft.au=Ye-chan+Kim&rft.date=2024-12-31&rft.pub=%ED%95%9C%EA%B5%AD%ED%95%AD%ED%96%89%ED%95%99%ED%9A%8C&rft.issn=1226-9026&rft.volume=28&rft.issue=6&rft.spage=953&rft.externalDocID=414650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902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902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902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