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적정 노임단가 추정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2; pp. 217 - 229
Main Authors 박혜인, Hye-in Park, 김참, Cham Kim, 최성민, Sung-mi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23.112.2.217

Cover

Loading…
Abstract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및 제거, 산출방법은 직종별 임금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2022년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은 보통인부 163,376원, 특별인부 221,407원, 작업반장 250,045원, 벌목부 239,863원으로 산출되었으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대비 평균 16.27% 높게 나타났다. 산림작업자 적정임금,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임업기능인 기준임금과 각각 상대 비교·분석하여 산림사업에 적합한 조사체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통해 산정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임업기능인 기준임금이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에 비해 4.5% 더 유사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산림사업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산림사업의 현실적인 직접노무비 산정과 적용, 산림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기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산정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를 제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년간 장기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실지급임금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operations, resulting in workplac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st operations' characteristics and wage survey methods in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rveying the wages of forest workers. The developed framework was tested through direct surveys conducted with all forest operation companies. Survey items included actual wages by occupation,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outliers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occupation-based wage calc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wages for 2022 were as follows: KRW 163,376 for general workers, KRW 221,407 for special workers, KRW 250,045 for work leaders, and KRW 239,863 for wood cutters. These figures were 16.27% higher than those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The developed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ppropriate wages with both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and the forestry workers' w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ges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were 4.5% more similar to the forestry workers' wag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Consequently,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was deemed unsuitable for forest projects. To ensure efficient forest operation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wage surveys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over multiple years to accumulate sufficient data.
AbstractList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및 제거, 산출방법은 직종별 임금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2022년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은 보통인부 163,376원, 특별인부 221,407원, 작업반장 250,045원, 벌목부 239,863원으로 산출되었으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대비 평균 16.27% 높게 나타났다. 산림작업자적정임금,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임업기능인 기준임금과 각각 상대 비교·분석하여 산림사업에 적합한 조사체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통해 산정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임업기능인 기준임금이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에 비해 4.5% 더 유사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산림사업에적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산림사업의 현실적인 직접노무비 산정과 적용, 산림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기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산정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를 제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년간 장기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실지급임금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operations, resulting in workplac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st operations' characteristics and wage survey methods in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rveying the wages of forest workers. The developed framework was tested through direct surveys conducted with all forest operation companies. Survey items included actual wages by occupation,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outliers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occupation-based wage calc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wages for 2022 were as follows: KRW 163,376 for general workers, KRW 221,407 for special workers, KRW 250,045 for work leaders, and KRW 239,863 for wood cutters. These figures were 16.27% higher than those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The developed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ppropriate wages with both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and the forestry workers' w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ges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were 4.5% more similar to the forestry workers' wag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Consequently,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was deemed unsuitable for forest projects. To ensure efficient forest operation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wage surveys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over multiple years to accumulate sufficient data. KCI Citation Count: 0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operations, resulting in workplac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st operations' characteristics and wage survey methods in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rveying the wages of forest workers. The developed framework was tested through direct surveys conducted with all forest operation companies. Survey items included actual wages by occupation,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outliers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occupation-based wage calc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wages for 2022 were as follows: KRW 163,376 for general workers, KRW 221,407 for special workers, KRW 250,045 for work leaders, and KRW 239,863 for wood cutters. These figures were 16.27% higher than those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The developed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ppropriate wages with both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and the forestry workers' w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ges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were 4.5% more similar to the forestry workers' wag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Consequently,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was deemed unsuitable for forest projects. To ensure efficient forest operation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wage surveys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over multiple years to accumulate sufficient data.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및 제거, 산출방법은 직종별 임금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2022년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은 보통인부 163,376원, 특별인부 221,407원, 작업반장 250,045원, 벌목부 239,863원으로 산출되었으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대비 평균 16.27% 높게 나타났다. 산림작업자 적정임금,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임업기능인 기준임금과 각각 상대 비교·분석하여 산림사업에 적합한 조사체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통해 산정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임업기능인 기준임금이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에 비해 4.5% 더 유사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산림사업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산림사업의 현실적인 직접노무비 산정과 적용, 산림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기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산정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를 제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년간 장기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실지급임금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산림사업시행업체, 조사방법은 전수조사, 조사항목은 직종별 실지급임금, 이상치 처리는 사분위편차를 이용하여 식별 및 제거, 산출방법은 직종별 임금산식으로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2022년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은 보통인부 163,376원, 특별인부 221,407원, 작업반장 250,045원, 벌목부 239,863원으로 산출되었으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 대비 평균 16.27% 높게 나타났다. 산림작업자 적정임금,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임업기능인 기준임금과 각각 상대 비교·분석하여 산림사업에 적합한 조사체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통해 산정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과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임업기능인 기준임금이 건설업 시중노임단가에 비해 4.5% 더 유사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산림사업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산림사업의 현실적인 직접노무비 산정과 적용, 산림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는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기보다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산정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를 제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년간 장기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실지급임금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더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자 적정임금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operations, resulting in workplac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st operations' characteristics and wage survey methods in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rveying the wages of forest workers. The developed framework was tested through direct surveys conducted with all forest operation companies. Survey items included actual wages by occupation,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outliers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occupation-based wage calc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wages for 2022 were as follows: KRW 163,376 for general workers, KRW 221,407 for special workers, KRW 250,045 for work leaders, and KRW 239,863 for wood cutters. These figures were 16.27% higher than those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The developed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ppropriate wages with both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and the forestry workers' w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ges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were 4.5% more similar to the forestry workers' wag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Consequently,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was deemed unsuitable for forest projects. To ensure efficient forest operation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wage surveys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over multiple years to accumulate sufficient data.
Author Cham Kim
최성민
Hye-in Park
Sung-min Choi
박혜인
김참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혜인
– sequence: 2
  fullname: Hye-in Park
– sequence: 3
  fullname: 김참
– sequence: 4
  fullname: Cham Kim
– sequence: 5
  fullname: 최성민
– sequence: 6
  fullname: Sung-min Choi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269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1LAlEYhS9hkJm_oBazaRNo92Pm3jtLkT4sQQj3l5lmJqYxDadNuzQNwRYFSotMDCJauJhN4aJf5Nz5D90y5F2cwzkP7-Ksg1S9UXcB2EIwj3SD8d3zwAvzGGKSRwjn1SG2AtLY4DRHKUappUdkDWTD0LehrjPCMYdp4Mp2FL9_y_ZUPnU1OX5UIscPynXms57svyW3I_kaqV5LBp140lOFfL5PWlNtHo3iaCRfOlpy95kMR5qctORkqMXdmYLi_sc8utHk10BlG2DVs2qhm_3XDKju71WLh7ly5aBULJRzATdQDrseJDrRLe5C3aSeQR2CHRu5hmMzym3q2MRjhulyYlFGoWkjSInDTMqhw7lNMmBn8bbe9ERw6ouG5f_pWUMETVE4qZYEgpjqkCEFby_gwA-vfFF3wpo4KhxXfpdEJqJqW2ZworjNJReKy6Z_YTWvhQ4JNDgnP7p3jt0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634.9
DOI 10.14578/jkfs.2023.112.2.21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Forestry
DocumentTitleAlternate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적정 노임단가 추정
Estimation of Appropriate Wage by Development of Wage Survey Framework for Forest Workers
EISSN 2586-6621
EndPage 22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264071
JAKO202319164577583
4030588
GroupedDBID HZB
Q5X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851-2ef03434a8e0496f56d32db1e5db768b6db3f759e83a67609b1063d79680d88b3
ISSN 2586-6613
IngestDate Fri Mar 29 03:22:36 EDT 2024
Fri Dec 22 11:59:31 EST 2023
Tue Jun 03 02:16:46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work safety
cost estimating
wages status
forest management
forest worker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1-2ef03434a8e0496f56d32db1e5db768b6db3f759e83a67609b1063d79680d88b3
Notes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19164577583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2-21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916457758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264071
kisti_ndsl_JAKO202319164577583
kiss_primary_403058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3
  text: 2023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산림과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산림과학회지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산림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산림과학회
SSID ssib044738280
ssib058467673
ssib053377269
ssib035521742
Score 1.8360184
Snippet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 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산림사업은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고 있으나 산악지에서의 열악한 작업여건과 높은 노동강도 등의 사업특성에 따라, 같은 직종이라도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시중노임단가조사방법을 분석하여 산림사업 작업자의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를...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17
SubjectTerms cost estimating
forest management
forest worker
wages status
work safety
임학
Title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적정 노임단가 추정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3058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916457758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2693
Volume 11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산림과학회지, 2023, 112(2), 243, pp.217-22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3NT9RAFJ8AXrwYDRrxgzTROZFiOzOdmR7bZQli0Asm3Jp22xqyZDF8XDwYQTAkeNAE4sGVYGKMBw570XDw5n_Ddv8H30zb3aLEoGY3uy_vzfv1vXnbznvdmSlCd3nYCEMZCVOErmWymDtmGKXUVJvFRUkYCqn3KZh7yGces9kFZ2Fo-Edl1tL6WjTZeHbmupJ_iSrwIK5qlexfRLYPCgygIb7wCRGGz3PFGNdrWBLsW7juY49jv1ZwPE24AktnQlN17Np9VsmxSplkuO5hX2IpNQCAAWcKS4pdjeTZ-iAF9oSSuUyrQVOrUCuAgPCxrGl9O2_tKW2F5JcENAIx00gSDHc0pAMybZPCtAvCVS74ymy_ehhfmykLcJn74nNlV6lXTbz7-FrBwd7UWZ0HIqqJvLGrCU97A5hCTQsh6iEmBPJyUrmJUnqWuyEHLvpy0ATAXYWg7LROSWrKolwHXPNtbdE0Lp46XtyTIbScQFicRf_p0mAIII7kJmRQ-RCQVHn5uvL-sCMqGQzJ3f9tcGRwdVajYzNV-9QTqpaPTcKrVK7uRf5LjnBqN_JmYzF4shw0VwKoue4HkKKqf4PtYXSBCKHnSsw9r5cXdchnVdXbz6EZE1RWNgyCcgMKPP3oyb63xRJXZe-9M6yF7AmKq1UoJ1WNtQhZYWslrWSF85fRpaKcM7z83LyChprLoyjJNjvdz9-zzaPs3baRHbyFr-zgDVBbJ8c72e6n3st29rEDcqO3t9U93AFB9v51b-PIOOm0u5129mHL6L362ttvG9nhRna4b3S3j6FRd_fLSeeFkX3bA95VND9dn6_NmMXjTMwmlDUmSVKLMspCmUBVzlOHx5TEkZ04cQQ1f8TjiKbCcRNJQy645UY2lA-xcLm0Yikjeg2NtJZbyXVkcMLc1IJ3Av1ph1YYCdsOCeOskTqxI8fQqOqg4Gm-YU3A1KgugT2uOyxoxatLwaz34JHqVxsKROhp4Ug6hu5AT-r4_iHON87V6ia6ODgzbqGRtZX15Dbk72vRuP59_ARk9cLL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2%B0%EB%A6%BC%EC%82%AC%EC%97%85+%EC%9E%91%EC%97%85%EC%9E%90+%EC%9E%84%EA%B8%88%EC%8B%A4%ED%83%9C%EC%A1%B0%EC%82%AC+%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EA%B0%9C%EB%B0%9C%EC%9D%84+%ED%86%B5%ED%95%9C+%EC%A0%81%EC%A0%95+%EB%85%B8%EC%9E%84%EB%8B%A8%EA%B0%80+%EC%B6%94%EC%A0%95&rft.jtitle=%ED%95%9C%EA%B5%AD%EC%82%B0%EB%A6%BC%EA%B3%BC%ED%95%99%ED%9A%8C%EC%A7%80%2C+112%282%29&rft.au=%EB%B0%95%ED%98%9C%EC%9D%B8&rft.au=%EA%B9%80%EC%B0%B8&rft.au=%EC%B5%9C%EC%84%B1%EB%AF%BC&rft.date=2023-06-30&rft.pub=%ED%95%9C%EA%B5%AD%EC%82%B0%EB%A6%BC%EA%B3%BC%ED%95%99%ED%9A%8C&rft.issn=2586-6613&rft.eissn=2586-6621&rft.spage=217&rft.epage=229&rft_id=info:doi/10.14578%2Fjkfs.2023.112.2.21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26407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586-661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586-661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586-661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