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브랜드에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의 관계를 포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 고찰과 실증조사 및 분석이다. 조사대상은 20~3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 456부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해 IBM SPSS Statistics 25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1; no. 6; pp. 591 - 605
Main Authors 정인희, Chung¸ Ihn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1.6.43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 고찰과 실증조사 및 분석이다. 조사대상은 20~3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 456부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해 IBM SPSS Statistics 25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제품 선호에서 가장 크고 점포 선호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 요인은 깔끔한 이미지였으며,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선호 모두에서 깔끔한 이미지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점포 선호는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품 선호가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긍정적 관계를 동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동일 소비자 집단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패션 브랜드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선호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한 점이다. 또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 제품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점포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통해 대상에 따른 차이의 비교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자기 이미지 일치성을 요인별로 측정하고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with brand, product and store images on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ference for product and store and self-image congr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vers theoretical review and an empirical survey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56 responses from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of IBM SPSS Statistics 2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positiv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product, store, and brand were confirmed, the most stronges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roduct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in the store preference was observed relatively low. Among 5 image factors-neat, feminine, unique, cute, and plain images-, neat image was the most desired ideal self-image and this one affected on the product, store, and brand preference definitely. A hypothesized path model explaining brand preference was tested, and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and the store preference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theory on self-image congruence and preference by determining the positiv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brand, product, and store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group. Some future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 of self-image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multiple objects and the use of image factors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배경 고찰과 실증조사 및 분석이다. 조사대상은 20~3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 456부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해 IBM SPSS Statistics 25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제품 선호에서 가장 크고 점포 선호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 요인은 깔끔한 이미지였으며,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선호 모두에서 깔끔한 이미지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점포 선호는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품 선호가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긍정적 관계를 동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동일 소비자 집단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패션 브랜드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선호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한 점이다. 또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 제품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점포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통해 대상에 따른 차이의 비교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자기 이미지 일치성을 요인별로 측정하고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with brand, product and store images on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ference for product and store and self-image congr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vers theoretical review and an empirical survey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56 responses from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of IBM SPSS Statistics 2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positiv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product, store, and brand were confirmed, the most stronges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roduct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in the store preference was observed relatively low. Among 5 image factors-neat, feminine, unique, cute, and plain images-, neat image was the most desired ideal self-image and this one affected on the product, store, and brand preference definitely. A hypothesized path model explaining brand preference was tested, and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and the store preference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theory on self-image congruence and preference by determining the positiv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brand, product, and store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group. Some future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 of self-image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multiple objects and the use of image factors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이론적 배경 고찰과 실증조사 및 분석이다. 조사대상은 20~3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456부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해 IBM SPSS Statistics 25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와 제품 및점포의 선호 각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제품 선호에서 가장 크고 점포 선호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 요인은 깔끔한 이미지였으며,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선호 모두에서 깔끔한 이미지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가장 큰 영향을미쳤다.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점포 선호는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품 선호가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긍정적 관계를 동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동일 소비자 집단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패션 브랜드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선호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한 점이다. 또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제품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점포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통해대상에 따른 차이의 비교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자기 이미지 일치성을 요인별로 측정하고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with brand, product and store images on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ference for product and store and self-image congr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vers theoretical review and an empirical survey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56 responses from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of IBM SPSS Statistics 2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positiv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product, store, and brand were confirmed, the most stronges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roduct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in the store preference was observed relatively low. Among 5 image factors-neat, feminine, unique, cute, and plain images-, neat image was the most desired ideal self-image and this one affected on the product, store, and brand preference definitely. A hypothesized path model explaining brand preference was tested, and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and the store preference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theory on self-image congruence and preference by determining the positiv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brand, product, and store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group. Some future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 of self-image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multiple objects and the use of image factors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Chung¸ Ihn Hee
정인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인희
– sequence: 2
  fullname: Chung¸ Ihn H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831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qNjjtLw1AAhS-iYK2uLi53cRBMzX0kuXestT6wWNDuIY25EqKtJDi4KVQQKbT4aoa2dBEFBRUdIviLmpv_YHygq9M5HL5zOBNgtFavOQBMIzVHDczpwvrW4lI-h1FOz1EyAjLYQETROCejIIM0zhSmE20cTAWBW1UpNYhhUJ4B90nzTp6EMI6acb8bX3Rlpy0bXSj77WH0BGXvNX6M5O1R6t7lWygbz2n0R89DOegm56cwfmqltp20HqBsDJIwSnfgZ_UtjM8uoQyPk-sbqPyn2Avh8PVo-NKIb95hmidXd8lVKDsPk2BMWLuBM_WjWVBZLlYKq0qpvLJWyJcUj1GmCK2KbRWxqm1zjRs626a2I7jFNKwLwTCjGhOIYsIFVW2OLV5FFlFVajFd1QUnWTD3PVvzhenZrlm33C_dqZueb-Y3K2smNxDDhKXs7A974Lt7zrZrmfupsfxDc6O8VESIEYq-uJlvznOD4Bch6SeVEfIBYSS6q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1.6.43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패션 브랜드에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의 관계를 포함하여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in a Fashion Brand -including the relations of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DocumentTitle_FL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in a Fashion Brand -including the relations of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EISSN 2713-5993
EndPage 60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718238
NODE11834138
385208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8-f5b2c018bcc959768d4cef9a8526ff828458f14239f40c92a9b1a3004a8606f9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19:33 EST 2023
Thu Mar 13 19:39:46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점포 선호
제품 선호
self-image congruence
store preference
자기 이미지 일치성
image factors
product preference
이미지 요인
brand preference
브랜드 선호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8-f5b2c018bcc959768d4cef9a8526ff828458f14239f40c92a9b1a3004a8606f9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56&idx=1691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718238
nurimedia_primary_NODE11834138
kiss_primary_38520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0-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0
  text: 2020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7443624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91
SubjectTerms brand preference
image factors
product preference
self-image congruence
store preference
브랜드 선호
예술일반
이미지 요인
자기 이미지 일치성
점포 선호
제품 선호
Title 패션 브랜드에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의 관계를 포함하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85208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413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8312
Volume 2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20, 21(6), 102, pp.591-60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V3Na9RAFA-1HvQiShXrRwninNas-ZrsDJ6STZZWaT1YobeQzSZWF7ZS24sHqbCCSKFFrd3DtvRSLFiwYg9b6F_Uzf4PvplJslsVbT14yb79Zd7HzNvMvLdk3kjSbUOr1QyshkoAsYViWuCLoBaHSmRGQUmLAli12AbnySlr_LF5fwbPDA3fG3hraXGhWgxf_nZfyb94FTDwK9slewrP5kIBABr8C1fwMFxP5GPkuYiUkU2QV0YEI0oKyHOQQxgKBPUQFYTBiTKiJURV3toEpMAhj0M2Y3NUAbnIMRmfXWEoIHYJkf49LsqhoC8V5Wg52x8t0IVKW-Woi6iOSGqzikglv6nynlWQLdqDBptDoFDYw_tROGZiao-DiI2oKWwFMzTOZyEbF5T_Y5or_GCzMSRiZA3WjhmLYfAKuQTOh7n_OEGzvqUFMZ9lbk6dw7sJQoVLNI5wzcCbSqCpBEcoxqhfWzPrAc58JdS6zBCdlGfZtF_WAS5MzLICaHm9rvRPIV3NSk-mj3Gms5ypck9pKRA2eGNwYaREIZYoLVOMOKaXNEPBVJxwma2mYr97OmsMLo1YnMqWRlkW32z_ywJuQq5nwmP34JHj2kVdK1pFUcXrp6LoUw9dD1JjFoKRM9JZHXJEdnzJ5CuvnwtovJhk_p2yXdr9xcc0SwZMT5TXU077Joq6chvuHrMA4jVI515A_NmYh7D1XGORnb0BE_hALDp9UbqQJpGyLWaES9JQfW5E-tJb3knetORuZ7m72e5-aCfrq0mzLSebq0edPTnZ2O9-7SSfl4A6TA5aSfMbQP3Wd-Rkq917_1bu7q0Audpb2ZWT5lav1QE5MmM9aHXffZST1uvep21ZOQnjRks-2l86-t7sbh_KgPfWdnprrWR997I0XfGmy-NKehSLUicmUWJc1UNVI9UwpBgSGFIzwyimAcG6FccEQlxMYo3VEo1NNaR6QKtawGr5BcRSrZgaV6ThxlwjuirJkCZblkkNXLNK7KWDgKVkmhXoIa1ZJKCj0ggbav-5KLbjG6AD0sRR6RYMvV8Pn_qsID77fDLn1-d9SPsnfAoRNuQeo9JY7plcwOBP5drfGlyXzvcfpxvS8ML8YnQTso6F6hj_df0AV9oDd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C%A8%EC%85%98+%EB%B8%8C%EB%9E%9C%EB%93%9C%EC%97%90%EC%84%9C+%EC%9E%90%EA%B8%B0+%EC%9D%B4%EB%AF%B8%EC%A7%80+%EC%9D%BC%EC%B9%98%EC%84%B1%EC%9D%B4+%EB%B8%8C%EB%9E%9C%EB%93%9C%2C+%EC%A0%9C%ED%92%88+%EB%B0%8F+%EC%A0%90%ED%8F%AC+%EC%84%A0%ED%98%B8%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B%B8%8C%EB%9E%9C%EB%93%9C%2C+%EC%A0%9C%ED%92%88+%EB%B0%8F+%EC%A0%90%ED%8F%AC+%EC%84%A0%ED%98%B8%EC%9D%98+%EA%B4%80%EA%B3%84%EB%A5%BC+%ED%8F%AC%ED%95%A8%ED%95%98%EC%97%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A0%95%EC%9D%B8%ED%9D%AC%28Chung%C2%B8+Ihn+Hee%29&rft.date=2020-12-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21&rft.issue=6&rft.spage=591&rft.epage=605&rft_id=info:doi/10.47294%2FKSBDA.21.6.43&rft.externalDocID=NODE1183413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