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놀이행태에 따른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연구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 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형식적인 조성으로 인해 놀이행태 지원이 어려운 환경이다. 2009년도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연구된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는 놀이시설의 이용 빈도, 이용 및 관리 실태, 만족도 설문조사, 해외사례 분석, 종류...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0; no. 4; pp. 567 - 58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0.4.41 |
Cover
Abstract |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 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형식적인 조성으로 인해 놀이행태 지원이 어려운 환경이다. 2009년도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연구된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는 놀이시설의 이용 빈도, 이용 및 관리 실태, 만족도 설문조사, 해외사례 분석, 종류 및 개수 파악 등의 정량적 측면으로 치우쳐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놀이시설이 실제로 놀이행태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성적 측면의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밝힌 뒤 아동의 신체, 사회, 인지발달영역을 바탕으로 각 6개의 놀이형태를 분석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서울시 강북과 강남에 위치하며, 2015년 이후 준공된 5개소의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놀이시설의 면적 및 배치에 대한 문제점과, 아동 놀이행태와의 관계를 조사한 뒤 정량, 정성 분석 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1)놀이터 면적과 놀이기구 배치에 따른 놀이공간의 전체 레이아웃은 아동의 다양한 놀이형태를 유발하지 못하였다. 2)대부분의 놀이터와 놀이기구는 신체발달 위주의 구조와 형태로 편중되어 있었다. 3)놀이시설 디자인의 대부분은 창조적이고 변형된 놀이의 특징을 갖는 아동의 놀이형태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놀이 이용의 주체가 되는 놀이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Outdoor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is created pursuant to Article 55.2 of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and its functions and roles are becoming significant as the importance of child development and outdoor play is on the rise. However, rather than supporting such functions, the current amusement facilities make difficult to aid the play activities due to the formal composition of uniform and ready-made products of visual aspect. As of 2009,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satisfaction surveys, overseas case analysis, type and number breakdow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observation survey to find out whether the amusement facilities actually support the play behavior. For the method of study, after revealing the distinction from existing research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based on the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reas of children, each of the six types of play were established for the standard of analysis. Also, the observ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outdoor play facilities in five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Gangbuk and Gangnam, which were completed since 2015. After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area and arran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the following problems were derived afte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1)The overall layout of play space according to the playground area and arrangement of play equipments did not cause various types of children’s play. 2)Most of the playgrounds and rides were concentrated on the structure and form of physical development. 3)Most of the design of play facilities was not suitable for children's play pattern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nd modified play.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for amusement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es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amusement facilities that are the main subjects of play, and seeking directions to move forward. |
---|---|
AbstractList |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 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형식적인 조성으로 인해 놀이행태 지원이 어려운 환경이다. 2009년도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연구된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는 놀이시설의 이용 빈도, 이용 및 관리 실태, 만족도 설문조사, 해외사례 분석, 종류 및 개수 파악 등의 정량적 측면으로 치우쳐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놀이시설이 실제로 놀이행태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성적 측면의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밝힌 뒤 아동의 신체, 사회, 인지발달영역을 바탕으로 각 6개의 놀이형태를 분석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서울시 강북과 강남에 위치하며, 2015년 이후 준공된 5개소의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놀이시설의 면적 및 배치에 대한 문제점과, 아동 놀이행태와의 관계를 조사한 뒤 정량, 정성 분석 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1)놀이터 면적과 놀이기구 배치에 따른 놀이공간의 전체 레이아웃은 아동의 다양한 놀이형태를 유발하지 못하였다. 2)대부분의 놀이터와 놀이기구는 신체발달 위주의 구조와 형태로 편중되어 있었다. 3)놀이시설 디자인의 대부분은 창조적이고 변형된 놀이의 특징을 갖는 아동의 놀이형태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놀이 이용의 주체가 되는 놀이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Outdoor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is created pursuant to Article 55.2 of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and its functions and roles are becoming significant as the importance of child development and outdoor play is on the rise. However, rather than supporting such functions, the current amusement facilities make difficult to aid the play activities due to the formal composition of uniform and ready-made products of visual aspect. As of 2009,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satisfaction surveys, overseas case analysis, type and number breakdow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observation survey to find out whether the amusement facilities actually support the play behavior. For the method of study, after revealing the distinction from existing research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based on the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reas of children, each of the six types of play were established for the standard of analysis. Also, the observ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outdoor play facilities in five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Gangbuk and Gangnam, which were completed since 2015. After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area and arran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the following problems were derived afte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1)The overall layout of play space according to the playground area and arrangement of play equipments did not cause various types of children’s play. 2)Most of the playgrounds and rides were concentrated on the structure and form of physical development. 3)Most of the design of play facilities was not suitable for children's play pattern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nd modified play.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for amusement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es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amusement facilities that are the main subjects of play, and seeking directions to move forward.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형식적인 조성으로 인해 놀이행태 지원이 어려운 환경이다. 2009년도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연구된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는 놀이시설의 이용 빈도, 이용 및 관리 실태, 만족도 설문조사, 해외사례 분석, 종류및 개수 파악 등의 정량적 측면으로 치우쳐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놀이시설이 실제로 놀이행태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성적 측면의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밝힌 뒤 아동의 신체, 사회, 인지발달영역을 바탕으로 각 6개의 놀이형태를 분석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서울시 강북과 강남에 위치하며, 2015년 이후 준공된 5개소의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놀이시설의 면적 및 배치에 대한 문제점과, 아동 놀이행태와의 관계를 조사한 뒤 정량, 정성 분석 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1)놀이터 면적과 놀이기구 배치에 따른 놀이공간의 전체레이아웃은 아동의 다양한 놀이형태를 유발하지 못하였다. 2)대부분의 놀이터와 놀이기구는 신체발달 위주의 구조와 형태로 편중되어 있었다. 3)놀이시설 디자인의 대부분은 창조적이고 변형된 놀이의 특징을갖는 아동의 놀이형태에 적합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놀이 이용의 주체가 되는 놀이시설의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Outdoor pla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is created pursuant to Article 55.2 of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and its functions and roles are becoming significant as the importance of child development and outdoor play is on the rise. However, rather than supporting such functions, the current amusement facilities make difficult to aid the play activities due to the formal composition of uniform and ready-made products of visual aspect. As of 2009,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satisfaction surveys, overseas case analysis, type and number breakdow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observation survey to find out whether the amusement facilities actually support the play behavior. For the method of study, after revealing the distinction from existing research through previous research analysis, based on the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reas of children, each of the six types of play were established for the standard of analysis. Also, the observ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outdoor play facilities in five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Gangbuk and Gangnam, which were completed since 2015. After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area and arrangement of amusement fac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the following problems were derived afte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1)The overall layout of play space according to the playground area and arrangement of play equipments did not cause various types of children’s play. 2)Most of the playgrounds and rides were concentrated on the structure and form of physical development. 3)Most of the design of play facilities was not suitable for children's play pattern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nd modified play.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for amusement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es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amusement facilities that are the main subjects of play, and seeking directions to move forward. KCI Citation Count: 1 |
Author | 천지혜 Kim Hyun Joong 김현중 Cheon Ji Hye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천지혜 – sequence: 2 fullname: Cheon Ji Hye – sequence: 3 fullname: 김현중 – sequence: 4 fullname: Kim Hyun Joong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311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jD1Lw1AUhi9SwVq7urhkcXBIvZ-5946xrVosFrR7uEkTCdFWEhzcChZBW9BBLULdFB0cOij0N5mb_2CwxeG8zzm8D2cVFLq9rg_AOoIVyrGk2wfHOzW7gvOzQtESKGKOiMmkJAVQREwKU1iErYBykoQupJQTzqksAls_DtK7ZyO97uuXr-zpJrua6PG9kT5M07eZkbfZaJTdztLhh37vLzQ9nOjBq6HH05_vzzWwHKjTxC8vWALt3Xq7um82W3uNqt00I0G5mY8QjDJPeMjFnZwESytAEioM_Y7HiLR8AZlk1PWVZ0lkIREopTyqqOtJUgJb87fdOHAiL3R6KvzjSc-JYsc-ajccCxLB8yiBzYV7EYdnfidUznm-qPjSOWzV6ggJQgTmubcx96IwSf4VwiHEFJJf5nF3CQ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DBRKI TDB ACYCR |
DOI | 10.47294/KSBDA.20.4.41 |
DatabaseName |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아동 놀이행태에 따른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연구 A Study on the Playground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es according to Children's Play Behavior |
DocumentTitle_FL | A Study on the Playground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es according to Children's Play Behavior |
EISSN | 2713-5993 |
EndPage | 584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6038760 NODE11833827 3700240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
ID | FETCH-LOGICAL-k847-84788545c8c1b2d5c83296f190a20edc5396e805954beac691618faaac4a4bc93 |
ISSN | 1598-8635 |
IngestDate | Tue Nov 21 21:45:24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6 EDT 2024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4 |
Keywords | 아동놀이행태 아동발달 Children''s Play Behavior 아파트놀이터 Development of children Apartment playground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47-84788545c8c1b2d5c83296f190a20edc5396e805954beac691618faaac4a4bc93 |
Notes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8&idx=1364 |
PageCount | 1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38760 nurimedia_primary_NODE11833827 kiss_primary_370024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908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08-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19 text: 201908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기초조형학연구 |
PublicationTitleAlternate | 기초조형학연구 |
PublicationYear | 2019 |
Publisher | 한국기초조형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
SSID |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
Score | 1.6971693 |
Snippet |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 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아파트단지 옥외놀이시설은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의2」에 의거하여 조성된 놀이공간으로, 아동발달및 옥외놀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능 및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 놀이시설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보다는, 시각적 측면의 획일화된 기성품 위주로 이루어진... |
SourceID | nrf nurimedia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567 |
SubjectTerms | Apartment playground Children's Play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아동놀이행태 아동발달 아파트놀이터 예술일반 |
Title | 아동 놀이행태에 따른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연구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70024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82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3114 |
Volume | 20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기초조형학연구, 2019, 20(4), 94, pp.567-584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PehFlCrWj7KI42VJzSaTZOaYzW5ZW1oPVugtJNlE18Vdqd2DHqRgEbQFPahFqDdFDx56UOjf5Gb_B39vkv2wVLDCkrydefPezLyXvPfCzBtNu9FMK24lMkPdEomh8wRPuoytVI-blhGJNDGaIX3vWFl1Gvf40rq9PjV9c2LVUm8zWoifHbuv5H-kijLIlXbJnkCyI6IoAAz54goJ4_pPMmZ1n0mbCc7qVSYWmUSET5BD6xeorsaqqKsxiRJJgLCY9FWVy6ShsCVnVYMAz2ZVUZ6gCXSffgR4qFO0gScIx3PB5Fh2PiHlXEDF4-WCH3EBGZsV6R4fDgehaFcVCbQXOfmKKkHXBXWHABvj-wspaIxqbRZ8VeeGrUco_oMEur7UKjeeJuNmoCPH2EINwONMjnRxufUILXq0zatb2PniMwntzBJD-0KKPeynP-xe7YSjA-BhyidNhRS6cPJkK0NbYhoTzwyfMAx2fujIUYPFEdtwqNny3WrNWzBRsJDnATuSBNxyVTK6ae2U6bpqOcLK8_rY7a2ovImj_5I2JI_fs5y7Frx8qVIHF53O85cq9rf-YA7XBJHLE7hanQ14aKc7PTpmAu-qCbdr7Zx2toiXSl6u_Oe1qXZ3VvOy99v9Nx9L_Zdb2acfgw-vBi_2s723pf67g_6XwxJqB7u7g9eH_Z1v2detAi3b2c-2P5eyvYNfP79f0NYW62t-Qy_OAtHb8J90Qac8wNmPRYw3SxN3y5ROCm82NI2kGduWdBKBUMHmEVwJR9I5EGkYhjEPeRRL66I20-l2kktaSVhhIhFXuhHmJDWsyITVS5sIRSxhJqE7p83SBASP82wvQTH1c9p1TEjQjlsBZWSn-_1u0N4IEHfeDhxaBeIAaX40XyMCq3dqdYTxRN69fDzxK9qZsc5e1WY2N3rJNTi7m9G8kvRveWaEkw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5%84%EB%8F%99+%EB%86%80%EC%9D%B4%ED%96%89%ED%83%9C%EC%97%90+%EB%94%B0%EB%A5%B8+%EC%95%84%ED%8C%8C%ED%8A%B8%EB%8B%A8%EC%A7%80+%EB%86%80%EC%9D%B4%EC%8B%9C%EC%84%A4+%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B2%9C%EC%A7%80%ED%98%9C&rft.au=Cheon+Ji+Hye&rft.au=%EA%B9%80%ED%98%84%EC%A4%91&rft.au=Kim+Hyun+Joong&rft.date=2019-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20&rft.issue=4&rft.spage=567&rft_id=info:doi/10.47294%2FKSBDA.20.4.41&rft.externalDocID=3700240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