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 횡단배수구의 유출구 피해 예측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 임도를 대상으로 횡단배수구의 유출구 피해 유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총 10개 인자를 조사하여 피해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도횡단배수구 피해유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인자는 배수구의 종단위치, 횡단위치, 토질 및 관암거 높이이며, 피해영향에 관련된 인자는 유출구 위치, 도수로 유무, 관암거 직경, 관암거 경사, 집수정 크기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이들 인자를 이용하여 임도횡단배수구 유출구 피해유무예측을 위한 판별함수식을 도출하였으며, 판별적중률은 68.8%로 산출되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07; no. 3; pp. 278 - 286
Main Authors 김명환, Myung Hwan Kim, 황진성, Jin Seong Hwang, 유영민, Young Min Yu, 차두송, Du Song C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산림과학회 30.09.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18.107.3.2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 임도를 대상으로 횡단배수구의 유출구 피해 유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총 10개 인자를 조사하여 피해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도횡단배수구 피해유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인자는 배수구의 종단위치, 횡단위치, 토질 및 관암거 높이이며, 피해영향에 관련된 인자는 유출구 위치, 도수로 유무, 관암거 직경, 관암거 경사, 집수정 크기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이들 인자를 이용하여 임도횡단배수구 유출구 피해유무예측을 위한 판별함수식을 도출하였으며, 판별적중률은 68.8%로 산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amage characteristics through investigation for a total of 10 factors (longitudinal position, crossing position, soil type, collecting well volume, outlet position, water apron material, waterway existence, pipe culvert diameter, pipe culvert gradient, pipe culvert height) affecting outlet damages of forest road cross drainage for forest roads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e predicted outlet damages of forest road cross drainage for forest roads using a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ongitudinal position, crossing position, soil type and pipe culvert height did not affect damages caused to forest road cross drainag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outlet damages were outlet position, waterway existence, pipe culvert diameter, pipe culvert gradient and collecting well volume, respectively. The discriminant ratio calculated from the developed discriminant function was 68.8% which is reasonably reliabl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1831960580882
http://e-journal.kfs21.or.kr/journal/view.asp?key=3630674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18.107.3.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