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의 후보 경선과 유권자 인식: 제19대 대선의 주요 정당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유권자 참여를 강화하고자 한 각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가 후보경선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향상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의 경선제도는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제16대 대선 이후의 개혁 방향에 부합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유권자의 인식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과반의 한국 유권자들이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인지하였다. 특히 대선 직후 유권자 의식조사자료에 의하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 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과 국제정치 Vol. 33; no. 3; pp. 61 - 91
Main Authors 한정훈, Jeonghun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0.09.2017
극동문제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006
2713-7570
DOI10.17331/kwp.2017.33.3.003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유권자 참여를 강화하고자 한 각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가 후보경선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향상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의 경선제도는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제16대 대선 이후의 개혁 방향에 부합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유권자의 인식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과반의 한국 유권자들이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인지하였다. 특히 대선 직후 유권자 의식조사자료에 의하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 대한 정당일체감을 지닌 유권자와 이념적으로 극단적 우파성향의 유권자가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상대적으로 더욱 잘 인지하였다. 또한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과 SNS을 통해 정치정보를 획득하려는 유권자의 노력은 정당의 후보경선제도를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이 유권자와의 연계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절차적 잠재력을 지닌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political parties in their primary elections for Korean Presidency. In particular, it analyzes whether and how those changes affect voters’ perception on the electoral events. In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first finds that the primary election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have consistently maintained the reformation trends since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parties have improved their institutional measures to mobilize more voters into their primary elections. Second, through the survey data analysis, three factors in fact are relevant to voters’ perception on parties’ primary elections: ideological extremism,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SNS, and party identification. In particular, those who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s of either the Minju party or the Justice party and have extreme right ideolog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primary elec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ties’ primary elections might be a good channel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and their supporters in Korea.
AbstractLis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유권자 참여를 강화하고자 한 각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가 후보경선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향상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의 경선제도는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제16대 대선 이후의 개혁 방향에 부합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유권자의 인식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과반의 한국 유권자들이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인지하였다. 특히 대선 직후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에 의하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 대한 정당일체감을 지닌 유권자와 이념적으로 극단적 우파성향의 유권자가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상대적으로 더욱 잘 인지하였다. 또한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과 SNS을 통해 정치정보를 획득하려는 유권자의 노력은 정당의 후보경선제도를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이 유권자와의 연계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절차적 잠재력을 지닌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political parties in their primary elections for Korean Presidency. In particular, it analyzes whether and how those changes affect voters’ perception on the electoral events. In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first finds that the primary election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have consistently maintained the reformation trends since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parties have improved their institutional measures to mobilize more voters into their primary elections. Second, through the survey data analysis, three factors in fact are relevant to voters’ perception on parties’ primary elections: ideological extremism,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SNS, and party identification. In particular, those who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s of either the Minju party or the Justice party and have extreme right ideolog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primary elec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ties’ primary elections might be a good channel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and their supporters in Korea. KCI Citation Count: 5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유권자 참여를 강화하고자 한 각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가 후보경선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향상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의 경선제도는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제16대 대선 이후의 개혁 방향에 부합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유권자의 인식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과반의 한국 유권자들이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인지하였다. 특히 대선 직후 유권자 의식조사자료에 의하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 대한 정당일체감을 지닌 유권자와 이념적으로 극단적 우파성향의 유권자가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을 상대적으로 더욱 잘 인지하였다. 또한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과 SNS을 통해 정치정보를 획득하려는 유권자의 노력은 정당의 후보경선제도를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정당의 후보경선과정이 유권자와의 연계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절차적 잠재력을 지닌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political parties in their primary elections for Korean Presidency. In particular, it analyzes whether and how those changes affect voters’ perception on the electoral events. In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first finds that the primary election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have consistently maintained the reformation trends since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in which parties have improved their institutional measures to mobilize more voters into their primary elections. Second, through the survey data analysis, three factors in fact are relevant to voters’ perception on parties’ primary elections: ideological extremism,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SNS, and party identification. In particular, those who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s of either the Minju party or the Justice party and have extreme right ideology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primary elec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ties’ primary elections might be a good channel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and their supporters in Korea.
Author Jeonghun Han
한정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한정훈
– sequence: 2
  fullname: Jeonghun Ha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570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L9Lw0AUB_BDKlhr_wFdsjg4JN7dy90lbqVWLRQL0lVCfkqItiVBxM2hWzsoKIimUtHRyYoo1H-oOf8Ho1WHx_c9-LzvIiq0O20foWWCNSIAyHp00tUoJkID0EDDGOZQkQoCqmACF1CRUMpUwJgvoHKShA7GhDDCKBTRvhxdZf13ObxWPm972fhFmT5_yN5oOp4oMh1NXwfy7lyRwzfZH24ocpQSMxucKfnk6PtLPkzkzaXyV9NT5OOF7D_JdJLdp0toPrAPE7_8myXU2qq1qjtqo7ldr1YaamToXNXBMR0H-5y4lFDDZ44eAKeBByYTwEkQ-OB6Orbz29RN4QUO43rge6bvco_bUEJrs9p2HFiRG1odO_zJg44VxVZlr1W3KGfENERuV3_tcRwe-V5oW918seNTa7e5WSNEMCwMnruVmYvCJPknwBjVmQ5fPriJr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17331/kwp.2017.33.3.003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정당의 후보 경선과 유권자 인식: 제19대 대선의 주요 정당을 중심으로
Voters' Perception on Candidate Selection Procedures of Major Parti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DocumentTitle_FL Voters’ Perception on Candidate Selection Procedures of Major Parti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EISSN 2713-7570
EndPage 9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651987
NODE11750786
355245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6-43b9bb0e61c2128e5b4f362fd3957361ffe3cd40a3959497dfb564fed9ec6d6a3
ISSN 1225-3006
IngestDate Sun Apr 21 03:23:23 EDT 2024
Thu Mar 13 19:38:33 EDT 2025
Tue Sep 03 02:19:10 EDT 2024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정치정보
정당일체감
Political Information
이념적 극단
후보경선제도
Ideological Extremism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제19대 대선
Primary Election
Party Identification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6-43b9bb0e61c2128e5b4f362fd3957361ffe3cd40a3959497dfb564fed9ec6d6a3
Notes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http://ifes.kyungnam.ac.kr/kor/PUB/PUB_0103V.aspx?code=PRI170929_0001
PageCount 3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651987
nurimedia_primary_NODE11750786
kiss_primary_355245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7
  text: 2017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과 국제정치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과국제정치(KWP)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name: 극동문제연구소
SSID ssib001151523
ssib009283472
ssib010775490
ssib044738240
ssib014284843
ssib030194618
Score 2.0013602
Snippe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와 그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유권자 참여를 강화하고자 한 각 정당의 후보경선제도 변화가 후보경선과정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향상시켰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제도적 측면에서, 제19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의 경선제도는 유권자의 참여를...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61
SubjectTerms Ideological Extremism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Information
Primary Electio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이념적 극단
정당일체감
정치외교학
정치정보
제19대 대선
후보경선제도
Title 정당의 후보 경선과 유권자 인식: 제19대 대선의 주요 정당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5245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75078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5700
Volume 3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과 국제정치, 2017, 33(3), 98, pp.61-9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etCLKFWsHyWIc1q25mMyO-MtyabUSquHir3I0nxVWdiVtYvgQTz01h4UFES3sqJHT1ZEof5D3fg_-F4ymx1oBfWQZPLm4817L5P5TTLzhpBrphU5TpxB-95wkzqLeQZtLsrq3JaJK7PEbghcKLyyypfusuV1d31qOtNmLfW3ooX46bHrSv7HqkADu-Iq2X-wbFUoECAM9oUzWBjOf2VjGgbUM6l0aehT4VNfIkU2qRQ1GsIFqAzjfIf6DEge9W3qNzEVREBWpEBcUCsyBmMSpyIoKCGVZk0V6osin49hx6uNmQeWLNhDFCZVIY3FpEaQAZkVJI9KVvujAELFMSotxdULVB2xALi1IKxD60JgFxOgBC71mpV0GkXVWWMcIFcpAGnfundH-zCilVelLVVazf5dTrudzQf9Tm1JtTH1-QS6ZDXXQz3wmuYhv009oSmqZCNVJQt9Q6hRKAMSLRZxhfylBSoBJKQxx7IVFIGG0_oZeI1CNUyud0SlRxDV4BytVynd1R_p7HC7TXhE20_Q76rVWHCcBXTX60y69mrCJaBKm7lsmpywYTiFW5ysPAsnsBlRrQYTJWBObVcBq3CTOPmbik76mLZNEPQRkvEJxmGs4Qi7XIs8llOtV8MqXz9SYYBDMFp6DPCu0wNUeLLTx60t4P2oQb21M-S0GqMZXtngzpKpdneW3M-Hr0c7P_K9N8avd9uj_a_G4Zef-fbwcP_AyAfDw2-7-fsXRr73Pd_Zu2Hkw4ElR7vPDTggEebKPx7kb18Z42K2jfzTy3zncz44GH0YnCNri-FasFRXe5PU24DY68yJZBSZKbdiwH4idSOWARTMEvzt7XAry1InTpi5AfeSyUaSRS5nWZrINOYJ33DOk5lOt5NeIEYU2yJLXTdKEtCqGwszyuI45mZkpYnNxRyZReW0HpXeZ1rKlHPkKiir1Y4fttBDPF43u612rwXj4Jstm7v4NXGOzFe6rApYvd0M0UEvDA74xeMLv0ROTdrKZTKz1eunVwB8b0XzxZPzGyMIrc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95%EB%8B%B9%EC%9D%98+%ED%9B%84%EB%B3%B4+%EA%B2%BD%EC%84%A0%EA%B3%BC+%EC%9C%A0%EA%B6%8C%EC%9E%90+%EC%9D%B8%EC%8B%9D%3A+%EC%A0%9C19%EB%8C%80+%EB%8C%80%EC%84%A0%EC%9D%98+%EC%A3%BC%EC%9A%94+%EC%A0%95%EB%8B%B9%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A%B3%BC%EA%B5%AD%EC%A0%9C%EC%A0%95%EC%B9%98%28KWP%29&rft.au=%ED%95%9C%EC%A0%95%ED%9B%88&rft.au=Jeonghun+Han&rft.date=2017-09-30&rft.pub=%EA%B2%BD%EB%82%A8%EB%8C%80%ED%95%99%EA%B5%90+%EA%B7%B9%EB%8F%99%EB%AC%B8%EC%A0%9C%EC%97%B0%EA%B5%AC%EC%86%8C&rft.issn=1225-3006&rft.volume=33&rft.issue=3&rft.spage=61&rft_id=info:doi/10.17331%2Fkwp.2017.33.3.003&rft.externalDocID=355245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300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