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국립중앙박물관 교육 - 2010년대의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2010년대 국립중앙박물관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2010년대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자인 ·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특성을 제시하여 한국의 국립박물관이 갖는 일반적인 교육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교육 사례 조사 및 정리, 분석을 통한 특성의 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문헌연구에 있어서는 디자인·예술 교육론과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 각각의 교육론에 대해 박물관이 제공할 수 있는 특성, 장점 등을 고찰하였다. 교육 사례 조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0...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19; no. 5; pp. 71 - 8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19.5.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디자인·예술 교육기관으로서의 2010년대 국립중앙박물관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2010년대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자인 ·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특성을 제시하여 한국의 국립박물관이 갖는 일반적인 교육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교육 사례 조사 및 정리, 분석을 통한 특성의 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문헌연구에 있어서는 디자인·예술 교육론과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 각각의 교육론에 대해 박물관이 제공할 수 있는 특성, 장점 등을 고찰하였다. 교육 사례 조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0년도부터 2018년 6월까지 진행한 645개의 교육 사례를 전수 조사하여 중복을 제외한 디자인·예술 관련교육 215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디자인·예술 교육의 양적 변화, 교육주제 및 내용, 교육의 형태, 대상별 교육양상 등의 분석주제에 대하여 통계, 사례, 내용 분석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특성을 도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자인·예술 교육에 나타난 특성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재현 중심의 디자인·예술교육으로써 교육 주제가 전통문화와 예술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며 대상에 대한 부분적이고 간소화한 모방을 중심으로 교육을 기획하였다. 둘째, 실기체험 중심의 복합교육으로써 실기를 중심으로 한 체험활동 위주의 기획이 다수였고 단순 실기보다는 강의나 관람 같은 교육방식을 함께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다수 참여를 위한 반복교육으로써 대부분의 교육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준에 구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쉬운 난이도로 교육을 구성했다는 점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교육 특성이 이와 같은 이유로는 국립박물관이 갖는 국가와 민족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매체로써 우수한 전통문화예술 등을 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 공공기관으로써 다수의 대중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기획을 할 필요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he 2010s as a design and art education institution. The research method was processed in the order of literature research, education case study and arrangement, and drawing of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n 645 educational cases was conducted from 2010 to June 2018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based on this research,215 types of education-related design and art as research subjects had been selected, excluding duplicates.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uch methods as statistics, case and content analysis on the topics of quantitative change of design and art education, subjects and content of education, form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aspects by sub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design and art educ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types. First, as the design and the art education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reproduction, most of the educational subjects are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art and therefore the education is planned to focus on the partial and simplified imitation of the objects. Second, as a complex education centering on practical experience, there were a lot of practical activities centering on practical training, and the education methods such as lecture and viewing were conducted together rather than simple practical training. Third, as an iterative education for many participants, most of the education programs wer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education was made at an easy level so that anyone could participat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reasons for thes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that it shall deal with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and art as a medium to propagate the nation and national ideology of the national museum, and it was necessary to plan to benefit many public as a public institution.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2&idx=1167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