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기술과 예술의 융합에서 나타나는 앎의 역설

나노 아트는 주사 탐침 현미경 등과 같은 초고성능의 나노 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수준의 물질 상태를 제시해주는 예술로, 이에 나노 과학자 및 예술가들은 나노 아트의 이미지가 물질의 근본 구조와 그 실체를 밝혀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나노 아트를 통해 우리가 과연 물질의 실체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앎의 과정에는 재고해야 할 역설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나노 물질의 재현에 관한 문제다. 나노 규모의 물질은 특정 색이나 형태 등을 지니지 않으며, 따라서 나노 아트에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형상들은 역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0; no. 4; pp. 475 - 485
Main Authors 전혜현, Cheon Hea H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나노 아트는 주사 탐침 현미경 등과 같은 초고성능의 나노 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수준의 물질 상태를 제시해주는 예술로, 이에 나노 과학자 및 예술가들은 나노 아트의 이미지가 물질의 근본 구조와 그 실체를 밝혀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나노 아트를 통해 우리가 과연 물질의 실체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앎의 과정에는 재고해야 할 역설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나노 물질의 재현에 관한 문제다. 나노 규모의 물질은 특정 색이나 형태 등을 지니지 않으며, 따라서 나노 아트에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형상들은 역설적이 게도 나노 규모의 물질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 아니라 그 상태의 수정, 조작 과정을 거친 이미지들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음은 지각의 역설이다. 나노 아트에서 나노 기술로 재현되는 실재의 이미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현미경 탐침의 터치에 원자나 분자 단계의 물질 표면이 반응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나노 기술의 이런 촉각적 관찰은 과학화된 객관적 지각을 시사하며 촉각이 지닌 주관의 불안정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가 발생한다. 직접 감각인 촉각을 통해 물질의 실체에 접근하게 되는 주체가 엄밀히 말하면 예술가가 아니라 나노 기술 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노 기술의 촉각적 시각화를 통해 비가시적 물질이 드러난다는 점에서는 지각의 확장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때 지각의 직접적 계기인 촉각이 기술 장치에 의한 것이라는 측면에서는 인간의 고유한 지각 확장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아울러 나노 기술 장치의 촉각을 오감 중의 하나로 간주해야 할지, 아니면 나노 기술의 과학적 연산으로 이해해야 하는지도 애매해진다. 고로 기술 없이는 불가능한 과학화된 지각에서 감각적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는 분명 숙고해야 할 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노 아트는 기술 결정론적 산물에 머물게 될 것이다. Nanoscientists and nanoartists claim that the image of Nanoar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substance of matter. However, there is a paradox to reconsider in Nanoart. First, the ques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nanomaterial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pecific shapes and colors in Nanoart are not representations of nanoscale materials, but images that have been modified and manipulated through nanotechnology. The next problem is the paradox of perception. The image of reality in Nanoart is interpreted as scientific and objective. This is due to the way that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t the atomic or molecular level reacts to the touch of a microscope probe. This tactile observation of nanotechnology suggests scientificized objective perception and is evaluated to overcome the instability of subjective sense of touch. However, a problem arises about the subject of perception because the subject who approaches the substance of the substance through the tactile sense is not an artist but a nanotechnology device.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as an extension of perception in that the invisible material is revealed through tactile visualization of nanotechnology,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uman’s innate perception is extended in that the tactile sense. In addition, it is also ambiguous whether the tactile sense of nanotechnology device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five senses, or as scientific operations of nanotechnology. Therefore, the question of the subject of sensory perception in scientificized perception, which is impossible without technology, must be considered. Otherwise, Nanoart will be nothing more than a product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AbstractList 나노 아트는 주사 탐침 현미경 등과 같은 초고성능의 나노 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수준의 물질 상태를 제시해주는 예술로, 이에 나노 과학자 및 예술가들은 나노 아트의 이미지가 물질의 근본 구조와 그 실체를 밝혀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나노 아트를 통해 우리가 과연 물질의 실체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앎의 과정에는 재고해야 할 역설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나노 물질의 재현에 관한 문제다. 나노 규모의 물질은 특정 색이나 형태 등을 지니지 않으며, 따라서 나노 아트에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형상들은 역설적이 게도 나노 규모의 물질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 아니라 그 상태의 수정, 조작 과정을 거친 이미지들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음은 지각의 역설이다. 나노 아트에서 나노 기술로 재현되는 실재의 이미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현미경 탐침의 터치에 원자나 분자 단계의 물질 표면이 반응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나노 기술의 이런 촉각적 관찰은 과학화된 객관적 지각을 시사하며 촉각이 지닌 주관의 불안정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가 발생한다. 직접 감각인 촉각을 통해 물질의 실체에 접근하게 되는 주체가 엄밀히 말하면 예술가가 아니라 나노 기술 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노 기술의 촉각적 시각화를 통해 비가시적 물질이 드러난다는 점에서는 지각의 확장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때 지각의 직접적 계기인 촉각이 기술 장치에 의한 것이라는 측면에서는 인간의 고유한 지각 확장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아울러 나노 기술 장치의 촉각을 오감 중의 하나로 간주해야 할지, 아니면 나노 기술의 과학적 연산으로 이해해야 하는지도 애매해진다. 고로 기술 없이는 불가능한 과학화된 지각에서 감각적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는 분명 숙고해야 할 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노 아트는 기술 결정론적 산물에 머물게 될 것이다. Nanoscientists and nanoartists claim that the image of Nanoar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substance of matter. However, there is a paradox to reconsider in Nanoart. First, the ques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nanomaterial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pecific shapes and colors in Nanoart are not representations of nanoscale materials, but images that have been modified and manipulated through nanotechnology. The next problem is the paradox of perception. The image of reality in Nanoart is interpreted as scientific and objective. This is due to the way that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t the atomic or molecular level reacts to the touch of a microscope probe. This tactile observation of nanotechnology suggests scientificized objective perception and is evaluated to overcome the instability of subjective sense of touch. However, a problem arises about the subject of perception because the subject who approaches the substance of the substance through the tactile sense is not an artist but a nanotechnology device.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as an extension of perception in that the invisible material is revealed through tactile visualization of nanotechnology,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uman’s innate perception is extended in that the tactile sense. In addition, it is also ambiguous whether the tactile sense of nanotechnology device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five senses, or as scientific operations of nanotechnology. Therefore, the question of the subject of sensory perception in scientificized perception, which is impossible without technology, must be considered. Otherwise, Nanoart will be nothing more than a product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나노 아트는 주사 탐침 현미경 등과 같은 초고성능의 나노 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수준의 물질 상태를 제시해주는 예술로, 이에 나노 과학자 및 예술가들은 나노 아트의 이미지가 물질의 근본 구조와 그 실체를 밝혀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나노 아트를 통해 우리가 과연 물질의 실체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 앎의 과정에는 재고해야 할 역설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나노 물질의 재현에 관한 문제다. 나노 규모의물질은 특정 색이나 형태 등을 지니지 않으며, 따라서 나노 아트에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형상들은 역설적이게도 나노 규모의 물질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 아니라 그 상태의 수정, 조작 과정을 거친 이미지들이라는 점을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음은 지각의 역설이다. 나노 아트에서 나노 기술로 재현되는 실재의 이미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현미경 탐침의 터치에 원자나 분자 단계의 물질 표면이 반응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나노 기술의 이런 촉각적 관찰은 과학화된 객관적 지각을 시사하며 촉각이지닌 주관의 불안정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가 발생한다. 직접 감각인 촉각을 통해 물질의 실체에 접근하게 되는 주체가 엄밀히 말하면 예술가가 아니라 나노 기술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노 기술의 촉각적 시각화를 통해 비가시적 물질이 드러난다는 점에서는 지각의 확장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때 지각의 직접적 계기인 촉각이 기술 장치에 의한 것이라는 측면에서는 인간의 고유한 지각 확장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아울러 나노 기술 장치의 촉각을 오감 중의 하나로 간주해야 할지, 아니면 나노 기술의 과학적 연산으로 이해해야 하는지도 애매해진다. 고로 기술 없이는 불가능한 과학화된 지각에서감각적 지각의 주체에 관한 문제는 분명 숙고해야 할 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노 아트는 기술 결정론적 산물에 머물게 될 것이다. Nanoscientists and nanoartists claim that the image of Nanoar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substance of matter. However, there is a paradox to reconsider in Nanoart. First, the ques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nanomaterial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pecific shapes and colors in Nanoart are not representations of nanoscale materials, but images that have been modified and manipulated through nanotechnology. The next problem is the paradox of perception. The image of reality in Nanoart is interpreted as scientific and objective. This is due to the way that the surface of the material at the atomic or molecular level reacts to the touch of a microscope probe. This tactile observation of nanotechnology suggests scientificized objective perception and is evaluated to overcome the instability of subjective sense of touch. However, a problem arises about the subject of perception because the subject who approaches the substance of the substance through the tactile sense is not an artist but a nanotechnology device.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as an extension of perception in that the invisible material is revealed through tactile visualization of nanotechnology,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uman’s innate perception is extended in that the tactile sense. In addition, it is also ambiguous whether the tactile sense of nanotechnology device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five senses, or as scientific operations of nanotechnology. Therefore, the question of the subject of sensory perception in scientificized perception, which is impossible without technology, must be considered. Otherwise, Nanoart will be nothing more than a product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전혜현
Cheon Hea Hyu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전혜현
– sequence: 2
  fullname: Cheon Hea Hyu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313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T9Lw0AYBvBDKlhrVxeXLA4OqXd573J3Y_-pxWJBu4c0vZMQbSXBwU20QnEQB0s7VHBwcRAEETr4idrrdzDW4vQ8L_x43nWU6XQ7CqFNgguUO5LuHp6UKsWCk54FoCso63ACNpMSMihLmBS2cIGtoXyShC1MKQfOqcyi0uxmNLubWNPJh-m_TD-_LTPqp808jywz_poP3szw0fTGVurmt9e_-v7JMoOHBRi-m97rBlrV_lmi8svMoeZetVk-sOuN_Vq5WLcjQZlNXQpKYpdwpUgbC819SXwVSBdrTZmiUnOXKg5aBkJrB6AVtEAqJgn3GSGQQzt_s51Ye1EQel0_XORp14tir3jcrHkuBsGZSO320l7G4blqh753kRY_vvKOGpUqIQJAOCx1W38uCpPknwDHOP0PP25_d0k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0.4.34
DatabaseName KISS(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나노 기술과 예술의 융합에서 나타나는 앎의 역설
A Paradox of Knowledge in the Convergence of Art and Nanotechnology
DocumentTitle_FL A Paradox of Knowledge in the Convergence of Art and Nanotechnology
EISSN 2713-5993
EndPage 48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038758
NODE11833825
370023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5-4643e90617ee1d08f7a91aec960ff45e49f764e73f9c8ff233bcb39e5917a511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45:24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6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나노 기술
nanotechnology tactile perception subject of perception paradox
촉각 지각
지각의 주체
역설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5-4643e90617ee1d08f7a91aec960ff45e49f764e73f9c8ff233bcb39e5917a511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48&idx=137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38758
nurimedia_primary_NODE11833825
kiss_primary_370023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9
  text: 2019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6976435
Snippet 나노 아트는 주사 탐침 현미경 등과 같은 초고성능의 나노 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수준의 물질 상태를 제시해주는 예술로, 이에 나노 과학자 및 예술가들은 나노 아트의 이미지가 물질의 근본 구조와 그 실체를 밝혀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나노 아트를 통해 우리가 과연 물질의...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75
SubjectTerms nanotechnology
paradox
subject of perception
tactile perception
나노 기술
역설
예술일반
지각의 주체
촉각 지각
Title 나노 기술과 예술의 융합에서 나타나는 앎의 역설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700233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382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3133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9, 20(4), 94, pp.475-48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FjrQS-iVLF-lCDOacmaZCbJzDFfsiqtB1foLeRjYmVhV9bdgx5EtELxIB4s3UMFD148CIIIPfiL2hT8Cb5Jstls6cF6SSZvZt68zHu8eW-Y9wah24YuMkJoqlJLJCq1M64yy6KqHtsRzWKNklTGDq-tW93H9P6GudFq_WmcWpqM407y8sS4kv_hKsCArzJK9hScrZECAMrAX3gCh-H5TzzGgYuZgTkrCiZ2WRsHDrywq-HAw4xhRysgBLteW4KgLUDndQDxAVjWedg1cQDfJnZ4AbExLzFRqG03xvMxI_KUxAIFDua0xGRiFhxDbmPHr1A5tGkTL5Ds0oo-Ry8gsr9EV1LFZ1S55W8BnfUub9FJk-irTl5VYHV8j7cphjK1V9TuvpgMmhseMsaKzVYKKaKzAb3ZOP4pyYSCg5nXVPqcgYSWaVNmq4KhNaSfNlQ8LW96Ob70UPBSKAjMg0eu73QMAHSqXdrFdN7ElmYSOYPOGuDYyDs31l4FcwNWLzIg1t9chhbPNSalNgF7nRdJgCuiy0ykxfB3FgYHIwN8kOdgNA1GYGudG0zkhRGgdRoGVO8iulB5PopTivEl1OoPl5F7-GZ6-G5fOdj_kW9_Ofj5W8mn21DKP0-VfO_X0c63fPdjvrWnQLujt69l6_eflHznQ9Fg93u-9fUy6t0Nel5Xra71UPuMmqAUKBFcWs5C6KnGMjvieiQScKWzjJqC8sy2qLBJxhOWZTBXcRITLkyu2xG4B-QKWhoMB-IqUuyEiJRFJqxBYEaTmImUGAlnaWJGUs2soGU5A-GzMnFLWM39CroFMxL2k6ehTK4u30-GYX8Uggt5L7TkgQ6TraDVesJqBOsP_QA8ckKAK9dORn4dnZ8L7Q20NB5NxE2wW8fxasHqv3Gudn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2%98%EB%85%B8+%EA%B8%B0%EC%88%A0%EA%B3%BC+%EC%98%88%EC%88%A0%EC%9D%98+%EC%9C%B5%ED%95%A9%EC%97%90%EC%84%9C+%EB%82%98%ED%83%80%EB%82%98%EB%8A%94+%EC%95%8E%EC%9D%98+%EC%97%AD%EC%84%A4&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C%A0%84%ED%98%9C%ED%98%84&rft.au=Cheon+Hea+Hyun&rft.date=2019-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volume=20&rft.issue=4&rft.spage=475&rft_id=info:doi/10.47294%2FKSBDA.20.4.34&rft.externalDocID=370023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