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을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0; no. 3; pp. 267 - 286
Main Authors 김부헌, Boo-heon Kim, 이승철, Sung-cheol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17.20.3.267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을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맥락과 정세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2) 접경지역의 발전 궤적을 다양한 힘들 간의 아쌍블라주를 통해서 파악 할 수 있다. (3) 지경학과 지정학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성은 기존 공간과 시간,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관계론적/변증법적, 사회-공간론적, 권력-위상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확장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위치성 전환을 통해서 북중 접경지역의 예외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북중 접경지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안보 불안이라는 `예외 상태`가 상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지경학적 논리가 작동하면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창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ith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which allows us to realiz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order regions could be identifi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s it is a kind of multiple space in which its sudden closure and opening should b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nges centering around border line.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border regions with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re fallen into three. Firstly, changes in border regions should be analyzed by investigating more broader contexts and conjunctural perspectives, and even an internal condition stemmed from locality. Secondly, trajectories of border regions could be analyzed by the assemblages of various powers. Finally, the positionality of economic actors should be examhttp ined by identifying dynamic relations between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has led to a number of insights into discussions on time-space, and spatiality in relationaldialectical, socio-spatial, and power-topolog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is concept of positionality, the research has identifie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It argues that the exceptionality of the region has stemmed from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nstability of geopolitical security and various geoeconomic benefits.
AbstractLis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ith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which allows us to realiz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order regions could be identifi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s it is a kind of multiple space in which its sudden closure and opening should b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nges centering around border line.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border regions with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re fallen into three. Firstly, changes in border regions should be analyzed by investigating more broader contexts and conjunctural perspectives, and even an internal condition stemmed from locality. Secondly, trajectories of border regions could be analyzed by the assemblages of various powers. Finally, the positionality of economic actors should be examined by identifying dynamic relations between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has led to a number of insights into discussions on time-space, and spatiality in relational-dialectical, socio-spatial, and power-topolog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is concept of positionality, the research has identifie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It argues that the exceptionality of the region has stemmed from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nstability of geopolitical security and various geoeconomic benefits.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을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맥락과 정세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2) 접경지역의 발전 궤적을 다양한 힘들 간의 아쌍블라주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3) 지경학과 지정학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성은 기존 공간과 시간,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관계론적/변증법적, 사회-공간론적, 권력-위상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확장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위치성 전환을 통해서 북중 접경지역의 예외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북중 접경지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안보 불안이라는 '예외 상태'가 상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지경학적 논리가 작동하면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창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을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맥락과 정세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2) 접경지역의 발전 궤적을 다양한 힘들 간의 아쌍블라주를 통해서 파악 할 수 있다. (3) 지경학과 지정학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성은 기존 공간과 시간,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관계론적/변증법적, 사회-공간론적, 권력-위상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확장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위치성 전환을 통해서 북중 접경지역의 예외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북중 접경지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안보 불안이라는 `예외 상태`가 상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지경학적 논리가 작동하면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창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ith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which allows us to realiz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order regions could be identifi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s it is a kind of multiple space in which its sudden closure and opening should b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nges centering around border line.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border regions with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re fallen into three. Firstly, changes in border regions should be analyzed by investigating more broader contexts and conjunctural perspectives, and even an internal condition stemmed from locality. Secondly, trajectories of border regions could be analyzed by the assemblages of various powers. Finally, the positionality of economic actors should be examhttp ined by identifying dynamic relations between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has led to a number of insights into discussions on time-space, and spatiality in relationaldialectical, socio-spatial, and power-topolog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is concept of positionality, the research has identifie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It argues that the exceptionality of the region has stemmed from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nstability of geopolitical security and various geoeconomic benefits.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맥락과 정세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2) 접경지역의 발전 궤적을 다양한 힘들 간의 아쌍블라주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3) 지경학과 지정학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성은 기존 공간과 시간,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관계론적/변증법적, 사회-공간론적, 권력-위상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확장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위치성 전환을 통해서 북중 접경지역의 예외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북중 접경지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안보 불안이라는 ‘예외 상태’가 상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지경학적 논리가 작동하면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창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ith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which allows us to realiz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order regions could be identifi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s it is a kind of multiple space in which its sudden closure and opening should b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nges centering around border line.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border regions with the concept of switching positionality are fallen into three. Firstly, changes in border regions should be analyzed by investigating more broader contexts and conjunctural perspectives, and even an internal condition stemmed from locality. Secondly, trajectories of border regions could be analyzed by the assemblages of various powers. Finally, the positionality of economic actors should be examined by identifying dynamic relations between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positionality has led to a number of insights into discussions on time-space, and spatiality in relationaldialectical, socio-spatial, and power-topolog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is concept of positionality, the research has identifie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It argues that the exceptionality of the region has stemmed from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nstability of geopolitical security and various geoeconomic benefits. KCI Citation Count: 3
Author 김부헌
Sung-cheol Lee
Boo-heon Kim
이승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부헌
– sequence: 2
  fullname: Boo-heon Kim
– sequence: 3
  fullname: 이승철
– sequence: 4
  fullname: Sung-cheol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885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tLw1AAhS9SwVr7C7p0cXBIvK_cx1iKj2qhINkvae5NCampJC5uDhlcnUwhgk5Ogg8EBf1D9fofjFZczhnOx-Fw1kEjnaUGgA6CLiaCom0zyRMXQ8RrcYmLGV8BTcwRcSRCXgM0EcbMEZKJNdDO83gMKeVEYEqagNvyws5fu4vnl8VDYav3z9vKFlXX3lwunj7s3bm9urfXZddWhX0rbfFYJ8XXvNwAq1EwzU37z1vA393x-_vOcLQ36PeGTiIodQyHUESQQsIjpkNkCMQaIx0wrCOOxiwQnokYjbTxYKjFWFJGab2WmFCHzJAW2FrWplmkkjBWsyD-9clMJZnqHfkDRUndL2nNbi7ZJM5PY5XqfKoOeoejn2cIkh6SDAoEa67zz-XqJIuPg-xMEY8KKRj5Bgwacb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8.9
DOI 10.23841/egsk.2017.20.3.267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DocumentTitleAlternate 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Switching Positionalikty of Border Region as Exceptional Space
EISSN 2713-9115
EndPage 28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340394
JAKO201731951960810
354898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844-e7008f04037f6dc1e302d21da62df71b6a85ef64fde50cd8b946442263ecdc6e3
ISSN 1226-8968
IngestDate Tue Nov 21 21:21:47 EST 2023
Fri Dec 22 11:59:12 EST 2023
Fri Dec 06 02:14:42 ES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4-e7008f04037f6dc1e302d21da62df71b6a85ef64fde50cd8b946442263ecdc6e3
Notes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73195196081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3195196081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2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340394
kisti_ndsl_JAKO201731951960810
kiss_primary_354898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7
  text: 2017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Publisher_xml – sequence: 0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SSID ssib044738243
ssib009283360
ssib001151505
ssib053377165
Score 1.6337926
Snippet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ity of North Korea and China border reg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67
SubjectTerms exceptional spac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positionality switch
relational/dialectical ontology
spatiality
topology
공간성
관계론적/변증법적 존재론
북중 접경지역
예외 공간
위상학
위치성 전환
지리학
Title 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4898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3195196081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8857
Volume 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7, 20(3), , pp.267-28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F61RQguCCiI8qgixJ4qF8e72cfRdoJKEXCgSL1ZtnddqlQxatILB8QhB66cSKUgwYkTEg8hgQR_KJj_wOzaSaxSicfFGc3uzo49m9lvkvEsQjdYDBiBaYhUFScOVTR14oQAkJMyE0LxmKY2y_ce23hIN7db2wuLJ2tZSweDZD19cux7Jf9jVeCBXc1bsv9g2ZlQYAAN9oUrWBiuf2Vj3AmxFFgIS0gciDXc8XFAcNCyhIsFtW0hDkLcCbDfNDRwgC_DNUP5LpZN29vDQdtyuMl_MMM49i1HtmGetUpSKTKQZupSUtCcSjJtbaNKeejzFPZaZstO7RvdjNT6hG6lVTUz6MmwH05HSUv4WMz7TNeJFSOrQQGzRNvoLcJ5F6t_YLUWtrtR34NZ5wkI9lsR5LmzofOjSUoPwB864SOd79V_IoFtt8rnmHl1wJiOkOX5PVO377m15U3qPrw8H6SCA15ZqfvoTgNIh5qtRu_0uyZBkMNlnazPxtbreh_Zb2dZkJv-nftmKHhBwNEMwJm7iE54nNt8g7tPO3Nca2BnzTFLAIW1Om-UciK8eV01gPBGiEnfnd16WXHLqn3zd6UBkEC80ocIzYQtuwC0evtZDWhtnUVnqgip4ZfL_Rxa6Obn0anpC_T9ZcSL0fPi8Etj8unz5P2wGH_78WZcDMeN4vWLycfvxdtnxct3xatRoxgPi6-jYvgBWoY_D0cX0Natzla44VTnfzhdQamjOeDTDDYZwjOm0qYmrqe8poqZpzLeTFgsWjpjNFO65aZKJJICuIf7JTpVKdPkIlrq5T19CTWSTJKW8oTHwRslgsUp87SI7d_SRBF3BS2b248elxVeIgJxvBRsBa3axxH1VH8vOsZcK-g6PKeom-5Gpky7-dzJo-5-BMHo7YgS0F3Sy3-ScgWdnq_aq2hpsH-grwHUHSSrdhn8Ato1hA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88%EC%99%B8+%EA%B3%B5%EA%B0%84%EC%9C%BC%EB%A1%9C%EC%84%9C+%EC%A0%91%EA%B2%BD%EC%A7%80%EC%97%AD%EC%9D%98+%EC%9C%84%EC%B9%98%EC%84%B1+%EC%A0%84%ED%99%98&rft.jtitle=%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EC%A7%80&rft.au=%EA%B9%80%EB%B6%80%ED%97%8C&rft.au=%EC%9D%B4%EC%8A%B9%EC%B2%A0&rft.au=Kim%2C+Boo-Heon&rft.au=Lee%2C+Sung-Cheol&rft.date=2017-09-30&rft.issn=1226-8968&rft.volume=20&rft.issue=3&rft.spage=267&rft.epage=286&rft_id=info:doi/10.23841%2Fegsk.2017.20.3.26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73195196081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896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