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렌즈기반 미디어 팀프로젝트 수업효과 분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우려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교육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렌즈기반 미디어를 활용하는 수업에 있어서 수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15주 교과과정 수업을 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1; pp. 323 - 336
Main Authors 유기상, Ryu Ki S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우려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교육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렌즈기반 미디어를 활용하는 수업에 있어서 수업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15주 교과과정 수업을 팀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 마지막 날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업방법은 렌즈기반 미디어 활용을 도구로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해서 진행하였다. 설문지 60부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환경에서 렌즈기반 미디어 활용 효과성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렌즈기반 미디어 활용을 남학생은 미래직업 준비, 여학생은 학업 활용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바라는 렌즈기반 미디어 활용 수업은 현장학습과 연계되는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의혁신 수업 만족도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물리적 거리두기와 심리적 거리두기는 학습집중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렌즈기반 미디어 활용은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렌즈기반 미디어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수업에 적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효과 향상을 위해 수업 프로그램 구상과 제작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cass efect for poject-based larnig with lns bsed mdia ater COVID-19 p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was concerned due to prolongation of COVID 19 pandemic and try to find the specific plan how to improve the effect of study so that we can recognize the changes of education surroundings and provide the chance of edu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 empirical study with questionnaires of 60 students was commenced. We select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of researcher for this study. The class had been progressed with team project-based learning for 15 weeks from March to June, 2021 and we did survey on the last day of the class. The method of study was utilizing both contact and untact by mixing as a tool of lends based media. Frequency, Difference, Chi squa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3.0 with 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effectiveness for Lens based media is high on COVID 19 pandemic situation. Second, it indicates that the male students are focused on seeking to have a job in future and female students want to use for their learning. Third, they prefer to have a study using Lends based media related to field trip. Fourth,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reative innovation class, fe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Also, it shows th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s are giving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s, it is positive on the learning using lends based media. Based on these findings,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ways how to use the project-based learning with lens based media and provide the objective data for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lass progra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7&idx=2076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