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의 변화와 남남갈등

한국 사회에서 북한, 통일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심각한 사회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현은 분단을 자양분으로 삼아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이데올로기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의 분단-냉전 체제가 변화하면서 과거의 이데올로 기적 정당성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어느 일방의 극단적 선택이 더 이상 정당성을 얻지 못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냉전구조의 해체는 지금과 같은 ‘이분법적 갈등’이 더 이상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과 국제정치 Vol. 34; no. 3; pp. 65 - 86
Main Authors 정영철, Youngchul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0.09.2018
극동문제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006
2713-7570
DOI10.17331/kwp.2018.34.3.003

Cover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북한, 통일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심각한 사회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현은 분단을 자양분으로 삼아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이데올로기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의 분단-냉전 체제가 변화하면서 과거의 이데올로 기적 정당성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어느 일방의 극단적 선택이 더 이상 정당성을 얻지 못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냉전구조의 해체는 지금과 같은 ‘이분법적 갈등’이 더 이상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분단-냉전 구조의 해체가 갈등 해결의 필요조건을 제공해줄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냉전의 담론 지형을 탈냉전의 담론 지형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며, 제3의 길을 찾기보다는 오히려 민주주의와 평화와 정의 등 보편적 가치를 통한 담론의 재편성을 통해서만 건전한 갈등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적 가치 그리고 평화와 정의에 대한 보편적 가치의 확산과 강화가 든든하게 밑받침되어야 한다. 냉전의 분단-안보-전쟁 패러다임이 근원적으로 의심받고 있고, 해체되고 있는 현실의 조건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바로 우리의 민주주의적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보편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기반을 둔 건전한 정책경쟁을 이끌어나가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s surrounding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form a pillar of serious in South Korea, while these issues are still not resolved.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recent “new inter-Korean relations”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ideological position. In other words, as the “Division-Cold War System” changed so far, past ideological legitimacy has been broken down and the extreme choices of either side(so called progressive vs conservative) are moving toward the inability to obtain justification from the public. The dismantling of this Cold War structure means that the “dichotomous conflict” like now can no longer be justified. However, the dismantling of the division-Cold War structure can provide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flict resolution, but i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We should change the discourse terrain of the Cold War to the discourse of the post-Cold War, and rather than seeking the third way, it can be transformed into sound conflict on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discourse with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peace and justice. Therefore, the diffusion and strengthening of the universal values of democracy value, peace and justice in South Korea should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paradigm of war like the division-Cold War-security has been suspected and dismantled, what we must pursue is to strengthen our democratic capacities and lead to sound policy competition based on social consensus on universal values.
AbstractList 한국 사회에서 북한, 통일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심각한 사회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현은 분단을 자양분으로 삼아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이데올로기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의 분단-냉전 체제가 변화하면서 과거의 이데올로 기적 정당성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어느 일방의 극단적 선택이 더 이상 정당성을 얻지 못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냉전구조의 해체는 지금과 같은 ‘이분법적 갈등’이 더 이상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분단-냉전 구조의 해체가 갈등 해결의 필요조건을 제공해줄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냉전의 담론 지형을 탈냉전의 담론 지형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며, 제3의 길을 찾기보다는 오히려 민주주의와 평화와 정의 등 보편적 가치를 통한 담론의 재편성을 통해서만 건전한 갈등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적 가치 그리고 평화와 정의에 대한 보편적 가치의 확산과 강화가 든든하게 밑받침되어야 한다. 냉전의 분단-안보-전쟁 패러다임이 근원적으로 의심받고 있고, 해체되고 있는 현실의 조건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바로 우리의 민주주의적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보편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기반을 둔 건전한 정책경쟁을 이끌어나가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s surrounding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form a pillar of serious in South Korea, while these issues are still not resolved.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recent “new inter-Korean relations”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ideological position. In other words, as the “Division-Cold War System” changed so far, past ideological legitimacy has been broken down and the extreme choices of either side(so called progressive vs conservative) are moving toward the inability to obtain justification from the public. The dismantling of this Cold War structure means that the “dichotomous conflict” like now can no longer be justified. However, the dismantling of the division-Cold War structure can provide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flict resolution, but i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We should change the discourse terrain of the Cold War to the discourse of the post-Cold War, and rather than seeking the third way, it can be transformed into sound conflict on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discourse with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peace and justice. Therefore, the diffusion and strengthening of the universal values of democracy value, peace and justice in South Korea should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paradigm of war like the division-Cold War-security has been suspected and dismantled, what we must pursue is to strengthen our democratic capacities and lead to sound policy competition based on social consensus on universal values.
한국 사회에서 북한, 통일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심각한 사회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현은 분단을 자양분으로 삼아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이데올로기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의 분단-냉전 체제가 변화하면서 과거의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어느 일방의 극단적 선택이 더 이상 정당성을 얻지 못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냉전구조의 해체는 지금과 같은 ‘이분법적 갈등’이 더 이상 정당성을 갖지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분단-냉전 구조의 해체가 갈등 해결의 필요조건을 제공해줄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냉전의 담론 지형을 탈냉전의 담론 지형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며, 제3의 길을 찾기보다는 오히려 민주주의와 평화와 정의 등 보편적 가치를 통한 담론의 재편성을 통해서만 건전한 갈등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적 가치 그리고 평화와 정의에 대한 보편적 가치의 확산과 강화가 든든하게 밑받침되어야 한다. 냉전의 분단-안보-전쟁 패러다임이 근원적으로 의심받고 있고, 해체되고 있는 현실의 조건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바로 우리의 민주주의적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보편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기반을 둔 건전한 정책 경쟁을 이끌어나가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s surrounding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form a pillar of serious in South Korea, while these issues are still not resolved. However, the emergence of the recent “new inter-Korean relations”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ideological position. In other words, as the “Division-Cold War System” changed so far, past ideological legitimacy has been broken down and the extreme choices of either side(so called progressive vs conservative) are moving toward the inability to obtain justification from the public. The dismantling of this Cold War structure means that the “dichotomous conflict” like now can no longer be justified. However, the dismantling of the division-Cold War structure can provide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flict resolution, but i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We should change the discourse terrain of the Cold War to the discourse of the post-Cold War, and rather than seeking the third way, it can be transformed into sound conflict on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discourse with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peace and justice. Therefore, the diffusion and strengthening of the universal values ​​of democracy value, peace and justice in South Korea should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paradigm of war like the division-Cold War-security has been suspected and dismantled, what we must pursue is to strengthen our democratic capacities and lead to sound policy competition based on social consensus on universal values. KCI Citation Count: 8
Author Youngchul Chung
정영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영철
– sequence: 2
  fullname: Youngchul Ch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54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zFLw0AUB_BDKlhrv4AuXRQcEu_du8vdjaVWLRQL0v1I0pyEaFsSRNxqcXDXwQ7uHZWKHyqp38HUFqf_e_x_PHi7pDIcDSNC9oG6IBHhJLkfu4yCcpG76FKKW6TKJKAjhaQVUgXGhIOUejuknmVxQCmAAMGwSo6K6bz4fsy_Jvniafn-1igWk5_Z63I2aaya6Tz_eC5ePvfItvVvsqi-yRrpn7X7rQun2zvvtJpdJ1EcHOtT4Q04swFXgR_6OkC-2ixixLgKRag0gA6t0lpZiR5T0gq0OqSi_ENgjRyvzw5Ta5IwNiM__svrkUlS07zqdwxKj2mpSnu4sXdpfBsNYt-My8FPH8xl77QNIAVVAKU7WLskzrJ_gp6HTHP8BWpiZn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17331/kwp.2018.34.3.003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남북관계의 변화와 남남갈등
The Chang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South-South Conflict
DocumentTitle_FL The Chang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South-South Conflict
EISSN 2713-7570
EndPage 8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762978
NODE11750811
366329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41-fa056d42fb48baca9b3442fbf33e248c5c89119cf8998f736287f53f9c0533153
ISSN 1225-3006
IngestDate Sun Apr 21 03:23:23 EDT 2024
Thu Mar 13 19:38:33 EDT 2025
Tue Sep 03 02:19:10 EDT 2024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Discourse
남남갈등
민주주의
Conflict
Unification
Democracy
담론
대북정책
North Korea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1-fa056d42fb48baca9b3442fbf33e248c5c89119cf8998f736287f53f9c0533153
Notes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http://ifes.kyungnam.ac.kr/kor/PUB/PUB_0103V.aspx?code=PRI180928_0001
PageCount 2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762978
nurimedia_primary_NODE11750811
kiss_primary_366329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8
  text: 2018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과 국제정치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과국제정치(KWP)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name: 극동문제연구소
SSID ssib001151523
ssib009283472
ssib010775490
ssib044738240
ssib014284843
ssib030194618
Score 2.0402668
Snippet 한국 사회에서 북한, 통일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심각한 사회갈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남북관계’의 출현은 분단을 자양분으로 삼아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이데올로기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의 분단-냉전 체제가...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65
SubjectTerms Conflict
Democracy
Discourse
North Korea
Unification
남남갈등
담론
대북정책
민주주의
정치외교학
Title 남북관계의 변화와 남남갈등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6329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75081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85446
Volume 3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과 국제정치, 2018, 34(3), 102, pp.65-8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fKOMAFgQai_JkqhLlUKU3sJPYxSTMNpI1LkXaLai9GqFI7lVZIHFCZOHCHAztw3xE0xIdqx3fgPSdtUxjS4BK9PLvPfn7pez8n9jMhD3PGVC_MlcO5Lx2eM99RTOaOCZTRDCKszvGL7u5esPOcP93392u1aobgyVi19Jtz95X8j1WBB3bFXbL_YNmlUGAADfaFK1gYrheyMU1jKjwaCSTiAFAhTSMac1y-gASjgtM0obJDpWjaSsyWwb2ksiiTwGmuSSoJENCmwnIko7FbxbFWhE9lYqv5NOqUDcZJs8JKaNS2lQrCRyKGlgValnFAt9UXvWvVoA6qA_WhN-3qywl3uZKifJxsgyEKxs5vo0pARPBTsdYFGaJGZe8sR8CYJRW_DG4HBLfLrNmW58H82gn94tyR0v8W504sInlwbozAUyrBsv3XmK7UFS3GW5jllq0i4mIVwG-Bci0ld1-_zF4Ms_4og4nHkwz8tAcT8kvksheGdr3A7tt0hUsRNlZwmIThraTtd20ewtXnSsyCxyvn8IATljxYgQjOQya8YrPvYmDKDWGo3OM_VAO8AdORV4CfBiOAXVcGEzw7AhxQBUt1r5Nr5SSoERVP9A1S6w83yaP50cn8x7vZ9-ns9P3Zl8-N-en05_Gns-NpA0uOTmZfP8w_frtJuttpN9lxylM8nL7grmN6ALEPuGcUF6qne1IxjneGsdzjQvtaQLyV2uDE34SAp0RofGakxl3iEI9vkY3BcJDfJo1QhewAtee6xw1TgrW1cpnClERG66BONlHL7LDI05IxQNOe5HXyALS2Bvu74epkazkoSwF7zzopprIF2OzeuYiUu-Tq6l9wj2yMR5P8PoDWsdqyD8QvrFlwP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2%A8%EB%B6%81%EA%B4%80%EA%B3%84%EC%9D%98+%EB%B3%80%ED%99%94%EC%99%80+%EB%82%A8%EB%82%A8%EA%B0%88%EB%93%B1&rft.jtitle=%ED%95%9C%EA%B5%AD%EA%B3%BC+%EA%B5%AD%EC%A0%9C%EC%A0%95%EC%B9%98%2C+34%283%29&rft.au=%EC%A0%95%EC%98%81%EC%B2%A0&rft.date=2018-09-30&rft.pub=%EA%B7%B9%EB%8F%99%EB%AC%B8%EC%A0%9C%EC%97%B0%EA%B5%AC%EC%86%8C&rft.issn=1225-3006&rft.eissn=2713-7570&rft.spage=65&rft.epage=86&rft_id=info:doi/10.17331%2Fkwp.2018.34.3.00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76297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300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300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