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18; no. 4; pp. 492 - 504
Main Authors 조창현, Chang Hyeon Joh, 김진휘, Jin Whi Kim, 백진휘, Jin Hwi Baek, 안병민, Byeong Min Ahn, 라윤형, Yun Hyung R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15.18.4.492

Cover

Abstract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 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Many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have competitively implemented local festival events, some of which turned to be a success, while others not. This alerts the ne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s appropriate, in order to better execute the provincial finance. The paper investigates this using the data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2012 to 2014.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dimensions (festival success index)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n identify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and festival evalua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s after all indicates whether the festival success index are well reflected in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tell that choice dimensions well explai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ereas the visitors’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is potentially implies that the current scheme of the local festival evaluation needs more rigorous validity test and additional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improved evaluation protocol.
AbstractList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Many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have competitively implemented local festival events, some of which turned to be a success, while others not. This alerts the ne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s appropriate, in order to better execute the provincial finance. The paper investigates this using the data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2012 to 2014.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dimensions (festival success index)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n identify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and festival evalua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s after all indicates whether the festival success index are well reflected in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tell that choice dimensions well explai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ereas the visitors’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is potentially implies that the current scheme of the local festival evaluation needs more rigorous validity test and additional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improved evaluation protocol. KCI Citation Count: 5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Many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have competitively implemented local festival events, some of which turned to be a success, while others not. This alerts the ne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s appropriate, in order to better execute the provincial finance. The paper investigates this using the data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2012 to 2014.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dimensions (festival success index)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n identify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and festival evalua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s after all indicates whether the festival success index are well reflected in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tell that choice dimensions well explai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ereas the visitors'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is potentially implies that the current scheme of the local festival evaluation needs more rigorous validity test and additional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improved evaluation protocol.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 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 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Many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have competitively implemented local festival events, some of which turned to be a success, while others not. This alerts the need for investigating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s appropriate, in order to better execute the provincial finance. The paper investigates this using the data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from 2012 to 2014. More specifically,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oice dimensions (festival success index)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n identify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and festival evalua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s after all indicates whether the festival success index are well reflected in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tell that choice dimensions well explain the visitors’ satisfaction, whereas the visitors’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stival evaluation results. This potentially implies that the current scheme of the local festival evaluation needs more rigorous validity test and additional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improved evaluation protocol.
Author Byeong Min Ahn
Jin Hwi Baek
김진휘
Jin Whi Kim
라윤형
Chang Hyeon Joh
Yun Hyung Rha
조창현
백진휘
안병민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조창현
– sequence: 2
  fullname: Chang Hyeon Joh
– sequence: 3
  fullname: 김진휘
– sequence: 4
  fullname: Jin Whi Kim
– sequence: 5
  fullname: 백진휘
– sequence: 6
  fullname: Jin Hwi Baek
– sequence: 7
  fullname: 안병민
– sequence: 8
  fullname: Byeong Min Ahn
– sequence: 9
  fullname: 라윤형
– sequence: 10
  fullname: Yun Hyung Rha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034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L1Kw1AAhS-iYK19gi5ZHBwS71-Se91K8adaKEj3yzVNSkhNpXFxCxIHQegkKrTQDlIHhValU58oub6D0RaXc5aP78DZAuthN3QBKCNoYMIo2nPbUWBgiEwDMYMalOM1UMA2IjpHyFwHBYSxpTNusU1QiiL_HFJqE4YpKQCpJrF6fNfU_EGNBtp3_y6dxunHNP1cqOdYyyb3ajzL-omWThM1fNLSrzgbvapkpmXzRCXDfS0fxnoeNLtNVprsZaGpm7dsHGfjwTbY8GQnckurLoLm4UGzeqzXG0e1aqWuB4xCnTMGW9DiFrY8SF1oQ09Kp2ViB5pYSsSk5WFOsWdLlCexPNvkNiHMwcxDDJMi2F1qw54nAscXXen_dbsrgp6onDVrAmFCbQhzdmfJBn505YuwFXXESeW08fshNCGFNqOMs5wr_3ORuOz5F7J3LfJRTiEhP_Cthh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JDI
ACYCR
DEWEY 338.9
DOI 10.23841/egsk.2015.18.4.492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DocumentTitleAlternate 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An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Local Festival Evaluation and Visitor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n the period of 2012 to 2014
EISSN 2713-9115
EndPage 50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34700
JAKO201505040784898
338940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Q5X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840-9880d069626f04e070faacd52c052aa18a6f2942f7a142f36f7597338c28f1823
ISSN 1226-8968
IngestDate Sun Dec 31 10:49:57 EST 2023
Fri Dec 22 12:00:41 EST 2023
Fri Dec 06 02:14:42 ES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40-9880d069626f04e070faacd52c052aa18a6f2942f7a142f36f7597338c28f1823
Notes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1505040784898
G704-001359.2015.18.4.01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50504078489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34700
kisti_ndsl_JAKO201505040784898
kiss_primary_338940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5
  text: 2015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Publisher_xml – sequence: 0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 name: 한국경제지리학회
SSID ssib044738243
ssib009283360
ssib001151505
ssib053377165
Score 1.5798167
Snippet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The evaluation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that supports promising local festivals needs to well reflect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SourceID nrf
kisti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92
SubjectTerms choice dimensions
evaluation results
festival success
Local festival events
satisfaction level
만족도
선택속성
지리학
지역 축제
축제 성공
평가 결과
Title 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8940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50504078489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0349
Volume 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5, 18(4), , pp.492-50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b9MwFI_GuHBBoIEYH1OE8KlqSRwnsbklbafRaXApYrcoS5OtKrRoHwc4oArKAQlpJwRIm7Qe0DiAtAHaaX9RE_4H3nOSNtp2AMTFtZ6ff7Hfc_TeS-1nRbkTMhoaRmiWQ2aGZcYg3BHRCl73IsA9NYTB5K0lSw-shUessWwuT517Xdi1tLW5UglenHmu5F-0CjTQK56S_QvNjkGBAHXQL5SgYSj_SMekXiWOjZsVoCJs4tRKWHMtIkzZphFRBVKN8HnCBak7xNUkO1Qo1rFiELcqAQQ0AbcrMSXJ0YmrIwX7s1IOwCR7jQiekpjEdPF5Dsc24HB1CQVjSdmhhB6GUwJfgIJ8dSZxzRT35KAlmgkDk22cEicl6fmTdGAqOtY4SeiPPWFAJogin2StADoWFyBYEjPtJWTFyWeNPPlKzMUgZQwl4uHMCR8fG5InNEoLz8MeHgVbm_SEAYhMO4jJZE-Q3Hj7cKPdLT1ea5cW20-Ln190M0_ymL0w_2t2BRMEDnGZi_SyodM2avIBRhoclt4keNIQgiPG0BKGqxsd3L9oVnReYZWM-0SGcQOcVoYZc89T25Z7HZZe1ic-Nbq8BaMgwCEt5JhjzDY4neR0g_ABQXDr8HgmabYvOaa7p0cEzhDEShsQHWLI1AYnr7seFZy85iXlYhadqU76ql1Wpjq9GcVP9vvJh29qcvQ-2dtRf22_HR30R98PRj-Ok099Nd5_lwwP4-2BOjoYJLsf1dHPfrz3JRkcqvHRIBns3lPHSz5-M8hg4s_HavLqazzsx8OdK0pzvt6sLpSzm0nKHc60sgCj19IsYVEr0lgIVjPy_aBl0kAzqe_r3LciKhiNbF-H0rAiG-J2EHNAeQQBvXFVme72uuE1RW2xKAqMMPSpT3FDBqc20wKtZQSBsCNTzCozKBzvWZp7xst0NavMSWF53dbGE6_hLD5EkWqmhn_LMy74rHIbpOh1graHCeTxd7XnddY9CJPve-CuMlvTrp8NfkO5MFnpN5XpzfWt8Ba43psrc3Jp_AbQSak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C%97%AD+%EC%B6%95%EC%A0%9C+%ED%8F%89%EA%B0%80%EA%B2%B0%EA%B3%BC%EC%99%80+%EB%A7%8C%EC%A1%B1%EB%8F%84+%EA%B0%84%EC%9D%98+%EA%B4%80%EB%A0%A8%EC%84%B1+%EB%B6%84%EC%84%9D%3A+2012-2014%EB%85%84+%EC%B6%95%EC%A0%9C%EB%A5%BC+%EC%82%AC%EB%A1%80%EB%A1%9C&rft.jtitle=%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EC%A7%80&rft.au=%EC%A1%B0%EC%B0%BD%ED%98%84&rft.au=Chang+Hyeon+Joh&rft.au=%EA%B9%80%EC%A7%84%ED%9C%98&rft.au=Jin+Whi+Kim&rft.date=2015-12-31&rft.pub=%ED%95%9C%EA%B5%AD%EA%B2%BD%EC%A0%9C%EC%A7%80%EB%A6%AC%ED%95%99%ED%9A%8C&rft.issn=1226-8968&rft.volume=18&rft.issue=4&rft.spage=492&rft_id=info:doi/10.23841%2Fegsk.2015.18.4.492&rft.externalDocID=33894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896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8968&client=summon